얼음 속의 소녀들
톰 롭 스미스 지음, 박산호 옮김 / 노블마인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7.5






 내 개인적으로 올 해 읽은 소설 중에, 그야말로 '발견'에 가까운 놀라운 작품이 몇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톰 롭 스미스의 데뷔작인 <차일드44>다. 단순히 작품 내적으로뿐만 아니라 외적인, 이를 테면 삶을 살아가는 방식이라든가 소설 집필에 아주 유용한 팁을 얻는 등 많은 도움을 받은 작품이었다. 정말 좋은 작품이었고 그래서 그 작품을 미처 다 읽기도 전에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이 책이 있는 걸 보고 주저 않고 샀다. 난 본래 책을 사는 건 좀 신중히 하는 편인데 그때는 신중하고 자시고도 없었다.

 책을 신중히 사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일단 사고 싶다고 다 살 수 있을 만큼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편도 아니고 - 내 부모님은 책을 소비하는 걸 전혀 아깝다고 여기시지 않지만 정작 나는... - 산 책을 놓을 자리도 부족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놓고 읽지 않아 읽어야 될 책들이 많아서 무분별한 소비를 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이렇게 까다롭게 구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난 모든 책에 반드시 사서 읽을 만한 가치가 없다는 강한 확신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책마다 완성도가 천차만별이니 나의 이 확신을 무를 생각은 들지 않는다. 오히려 더더욱 확신이 강해지기만 할 뿐. 작가가 같은 경우에도 그러는데 뭘.


 이 작품은 <차일드44>에서 내가 겪은 그 모든 것이 결여된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글쎄, 이 작품을 먼저 접했으면 혹시 모르겠다. 하지만 그런 가정은 무의미하다. 적어도 이 작품이 나에겐 재미없었다는 것만이 중요하다.

 '아빠가 좋아, 엄마가 좋아?' 질문을 성인 버전으로 푼 잔혹 동화다. 사실 저 질문은 매우 유치하지만 이 작품에선 결코 그렇지 않다. 정신병원에 들어갈 만큼 엄마가 미쳐버렸다고 전화한 아빠, 이 모든 게 아빠의 모함이며 자신은 미치지 않았다는 엄마의 전화. 주인공의 멘탈 붕괴를 시작으로 이 작품은 주인공의 엄마의 호소로 장기간에 걸쳐 이야기를 쏟아낸다. 엄마가 말하는, 이방인인 자신이 겪어야 했던 그 모든 역경을 얼마나 믿을 수 있느냐가 관건인 이 작품은 가족간의 신뢰와 붕괴를 시사하는 부분에선 인상적이긴 했다. 하지만 소설로선 몰입도가 좋았냐고 물으면 '글쎄, 그건 좀 좀 아니올시다' 였다.


 <차일드44>가 실제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한 소설이면 이 작품은 좀 더 자전적인, 그러니까 작가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소설이다. 그래서 더 절절하게 느껴지는 부분은 있는데 이번엔 너무 단순하게 접근했다. 치밀하게 구성 하에 썼다기 보단 실제 자신이 격은 일에 살만 적당히 추가한 느낌에 지나지 않는다. 스웨덴에서 벌어지는 일은 그래도 나름 독특한 맛이 있긴 하지만 과거 회상식의 이야기가 맞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집중이 안 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나같은 사람이 그렇다. 이야기 구성상 어쩔 수 없긴 했지만 그래도 현재의 사건이 더욱 집중이 가는 나로선 과거를 이야기하는 것만이 극중의 긴장감을 낳게 되는 단조로운 구성은 시시하기만 했다.

 그래서 작품에 대한 감상은 중반을 넘어서기 전부터 대부분 이끌어졌는데 아직도 페이지는 많이 남아서 읽느라 지칠 수밖에 없었다. 후반부와 결말에서 느낌있는 무언가가 시도됐지만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한 것이라서 특별히 기억에 남거나 하진 않았다.

 이거 아무래도 '차일드44' 연작의 후속작을 읽던가 해야겠다. 너무 기대를 했는지 이 작품은 지루하게 읽혀버렸네.

어쩌면 넌 한 번도 이 진실을 제대로 인시갛지 못했는지 모르겠지만, 누군가에게 욕망의 대상이 된다는 건 위험한 거야. 사람의 정신을 사란하게 하고, 집착하고 설레게 만드는 대상이 된다는 거 말이다. 그것보다 더 위험한 건 없어. - 104~10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