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너스에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3
권하은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6





 아직 살면서 동성애자를 만나본 적은 없지만, 나는 왜 이렇게 동성애자에게 관대한지 모르겠다. 아니, 그렇다고 자신한다. 막상 동성끼리 애정행각을 벌이는 영화나 이야기를 접할 때면 눈과 귀를 어디에 둘지 몰라 곤혹스러워하지만 이건 생리적인 거부감일 뿐 철학적으로는 늘상 지지한다.

 아무래도 이건 네이버 웹툰 중 명작이라 손꼽히는 <어서오세요, 305호에!>의 덕이 클 것이다. 평범한 주인공이 하필 게이랑 동거하면서 겪게 되는 요지경을 지극히 평범한 시선으로 보여준 그 작품은 처음엔 덮어놓고 혐오감을 품었던 주인공이 게이와 진정한 베스트 프랜드가 되면서 끝이 난다. 그 과정에서 독자였던 나는 주인공과 같이 여러 깨달음을 얻었던 것 같다. 그 중 하나는 동성애자도 평범한 사람이라는 것. 그러고 보니 오늘 본 <로렐>이란 영화(개봉하자마자 봄)에서도 이런 대사가 나왔다. '우리는 평범한 사람이에요.'


 동성애를 비롯해 성소수자를 주제로 다룬 영화(<아가씨>는 논외다)를 보면 일맥상통한 주제가 있다. 어떤 식으로든 주인공 혹은 주인공의 주변인이 동성애자로 나와 세상에 자신들의 정체성을 어필하게 되는 사건을 겪고 그 과정에서 한 단계 성장해나가는 줄기를 갖고 있다. 그들의 정체성이란 내가 봤을 때는 이렇다. 동성을 좋아한다. 그런데 그뿐이다. 우리는 평범하다. 벌써 세 번째 말하고 있다. 그럼에도 몇 번이고 더 말해야겠는데 왜냐하면 나는 그들이 진짜 평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이 얘기는 <로렐> 후기에서 자세히 다루겠다).

 이 작품도 여느 동성애 작품처럼 동성애자인 주인공이 등장한다. 주인공은 이를 부정하고자, 숨기고자 여자친구를 사귀지만 번번이 그들로부터 도망친다. 자신의 불순한 교제 동기에 비해 너무나 순수하게 자신을 좋아해주는 그녀들의 진심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그래서 이제 그는 자신에게 솔직해지고자 남자에게 대쉬한다. 하지만 그 결과 사상 최악의 방식으로 인생은 파탄길에 오르고 마는, 적어도 오르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존경하는 사람 중 한 명이 바로 홍석천 씨다. 활발히 활동하는 방송인이고 특출난 미적 감각의 소유자이며 성공한 외식업자이기도 해서? 물론 그것도 이유가 되지만, 알다시피 그가 게이임에도 이런 외적 성공을 거뒀기 때문에 그를 너무나도 존경한다. 최초이자 아직까지도 유일한 커밍아웃 연예인인 그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만큼 편견에 시달려본 사람인데 나는 동성애자가 아님에도 그의 현재 모습이 멋있는데 동성애자들에게는 어떨지 정말 궁금하다. 처음엔 홍석천 씨도 동성애자 사이에서 치부의 대상이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아마 한국 동성애 역사의 한 페이지에 장식될 위인이 아닐지 모르겠다. 여담이지만 김조광수 감독도 그런 의미에서 그 자신의 행보의 성과를 꼭 거두었으면 좋겠다. 제발.


 이 책은 모든 동성애자가 후에 홍석천 씨처럼 세상에 녹아들 수 있는 마인드 컨트롤 비법이 녹아있는 성장 소설이다. 수많은 사람을 놓고 하필 홍석천 씨를 언급했냐면 그가 동성애자일 뿐 아니라 외적으로도, 그리고 내적으로도 완벽에 가까운 사람이라 여겨서다. 어쨌든 주인공이 학교에서 자퇴하고 정상적인 학생 생활을 영위하기 힘들어진 마당에 찾아야 하는 자아는 일반 청소년들은 물론이거니와 같은 처지인 동성애자 친구들 또한 찾아야 하는 것이라서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많으리라 생각된다.

 대신에, 이건 흥을 깨는 말일 수도 있지만 작가의 <발이 닿지 않는 아이>를 기대하고 읽은 나로선 주제는 더할 나위 없이 마음에 들지만 실상은 평범해서 실망이었던 작품이었다. 초반부는 흥미진진한 걸 넘어 머리칼이 쭈뼛 설 만큼 소름 끼쳤던 것에 비해 중반부부터는 교과서적인 성장 소설이라서 괜히 김샜다. <발이 닿지 않는 아이>는 진짜 걸작이었는데......

네, 정말 공부를 하고 싶다는 것과 대학을 가고 싶다는 것은 개와 고양이만큼이나 다른 것 같아요. - 37p




내가 물소 떼 속의 물소처럼 행동하고 있을 뿐인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이 나를 몹시 착잡하게 한 거지. 하아....... 나는 그냥 나면 안 되는 건가? - 42~43p




어떤 누구라도 자신의 본모습은 절대 수치스러운 게 아니야. 자연에 가장 가까운 모습이거든. 단지 그 모습을 인정할 수 없는 자신은 수치스러워해야 해. 자신을 인정할 수 없으면 더 나은 사람이 될 가능성도 없기 때문이야. - 46p




잘못 없는 인생이라니, 그건 그거대로 끔찍하지 않니? - 201p




그래서 나는 한 사람을 사랑하듯 내 삶도 사랑하는 법을 배워가고 있어. - 25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