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거기 있어 줄래요?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7.5



 스포일러 있음


 기욤 뮈소의 작품은 처음 읽은 작품이 가장 재밌다는 말이 있다. 두 번째, 세 번째 접하는 작품은 다 처음 읽었던 작품의 복사 붙이기 같다는 말이 많은데 나 역시 거의 동의한다. 물론 이 작가도 나름대로 시도를 많이 하지만 특유의 가벼운 문체와 오그라드는 작풍 때문에 비슷비슷하게 느껴지는 것 같다.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는 내가 처음으로 읽었던 기욤 뮈소의 작품이며 무려 13년만에 다시 읽었다. 그동안 많은 책을 읽었고 그 사이에 기욤 뮈소의 책도 몇 권 있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평점을 보면 알겠듯 다시 읽으니 처음의 감동이 무척이나 많이 반감됐다. 그 당시에 나는 달달함에 내성이 없었고 이 작품의 결말처럼 다소 작위적인 해피엔딩에도 감동을 받았으나 이제는 달라졌다. 이제 나는 냉소적이고 확실한 건 취향도 많이 변했다. 물론 이 작품을 단순히 취향 차이라고 둘러댈 만큼 객관적으론 괜찮은 작품이냐고 묻는다면 할 말이 궁하지만... 그래도 13년 전에 감동을 받았던 과거의 나를 위해 이 이상은 말을 아끼겠다.


 다만 작품의 핵심 소재인 시간 여행에 대해선 좀 더 얘기하고 싶다. 과거의 엘리엇과 현재의 엘리엇이 의사로서 협동하여 일리나를 살리는 과정은 개인적으로 명장면이라 생각하고 현재의 앨리엇이 폐암으로 죽을 예정인 자신의 운명을 바꾸는 것엔 안중에 없고 대신 그저 일리나를 한 번 더 보는 것에 간절했던 모습, 일이 틀어졌을 때도 자신의 딸 엔지가 아예 없던 사람이 되지 않았으면 해 현재와 과거의 자신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제안을 고민하는 전개는 다 좋았다. 요새는 '과거를 바꿈으로써 미래도 바뀐다'는 고전적인 시간여행물의 법칙에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은 많지만, 이야길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과학적인 개연성이 없더라도 작가가 해당 작품만의 법칙을 준수한다면 거부감 없이 즐기는 편이다.

 하지만 매트가 엘리엇이 죽은 다음에 시간여행 알약을 먹어 과거를 바꾸는 후반부의 전개는 사족이자 누워서 침 뱉기 아니었나 싶다. 이는 과학적인 개연성과 더불어 해당 세계관의 개연성도 저버린 전개였다. 작가가 감동적인 결말을 위해 그 장면을 넣은 건 알겠는데 그 의도가 너무 뻔히 보였다. 최초의 앨리엇과 달리 시간여행의 위험성을 알게 된 후반의 앨리엇이 어떤 경위로 알약을 얻었고 10개 중 하나만 남긴 이유가 설명이 안 되는 등 은근히 앞뒤가 안 맞는다. 현재의 앨리엇이 과거로 간 시점에서 현재와 과거의 앨리엇은 엄연히 다른 인물이므로 이렇게 디테일하게 둘의 미래가 일치하는 건 명백히 작위적이지 않은가. 13년 전의 나는 이러한 작위적인 전개를 무시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게 안 된다. 그 사이에 적잖이 예민해졌나보다.


 과거를 바꿔 미래도 바꾼다는 전개는 늘 설레는 전개다. 제아무리 말이 안 되고 위험천만한 계획이더라도 한 번쯤 해보고 싶다고 생각할 사람이 많으리라. 나 역시도 이 작품을 처음 읽고 13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만큼 과거를 후회하는 사람이라면 굉장히 보편적으로 몰입할 만한 소재일 것이다. 그렇기에 이 소재로 남들에게 감동을 선사하는 것은 까다로운 일일 텐데 기욤 뮈소는 어느 정도는 성과를 거뒀다. 영화화도 이뤄졌고 이렇게 개정판으로도 나왔다.

 아까 후반부의 작위적인 전개를 꼬집으면서 차라리 새드엔딩이면 어떨까 이 생각도 해봤다. 다른 작품의 스포일러라 말을 할 수 없지만 아무튼 기욤 뮈소의 작품 중 새드엔딩의 작품이 있긴 하다. 이 작품도 그랬으면 어땠을까? 아마 그러면 이 정도로 많이 회자되는 작품은 못 됐을 것이다. 하지만 후반부의 전개가 앞뒤가 안 맞는 건 너무 아쉬운데... 참 아쉽다.

조만간 기욤 뮈소의 몇 안 되는 새드엔딩 작품도 읽으려고 한다. 그 작품 포스팅에서 이 작품에 대한 얘기도 해볼 예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