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시체의 죽음
야마구치 마사야 지음, 김선영 옮김 / 시공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7.2


 이 소설은 어떤 사람에겐 독특한 설정을 잘 살린 이색 추리소설로 읽힐 것이다. 또 어떤 사람들에겐 죽음에 대한 철학이 진지하게 녹아든 무게감 있는 소설로도 읽힐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매력적인 도입부 제시와 분량 조절에 실패한 벽돌 소설로 다가올 것이고 완독에 성공하는 경우도 제법 드물 것이다. 다른 건 몰라도 분량이 제법 되는 소설은 어지간히 흡입력이 있지 않은 이상 읽는 이의 컨디션에 작품 만족도가 크게 좌우되는 것 같다. 이 소설처럼 분량 못지않게 내용의 무게감이 강조된 작품의 경우가 특히 그렇다.

 설령 완독하더라도 이 소설에 만족할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하는 의문도 든다.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0주년 결산에서 이 작품이 1위했으며 수많은 추리소설 팬들의 극찬의 이유를 확인하자는 게 아니라면 <살아 있는 시체의 죽음>은 완독을 하고 싶은 동기부여가 매력적으로 이뤄지는 작품이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소설이 결말에 도달할 지점인 300페이지 중반 즈음에서야 본격적으로 사건다운 사건이 터지고 이후의 전개는 그간의 느릿한 전개와 달리 재빠르게 흘러가지만 오히려 그러한 속도감의 변화 때문에 당혹감을 느낄 독자도 있을 듯하다.


 그전까지 작품 전체를 지배하고 지탱하다시피 했던 죽음에 대한 철학도 작품 이해나 '갑자기 살아나는 시체들'이란 설정을 해석할 중요한 장치로 기능하진 않아 작품 후반부의 활극이나 끝없이 엎어지고 난무하는 추리들이 갈수록 어찌 돼도 상관없는 내용으로 느껴지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다. 인물들의 사망 여부, 언제 사망했는지 여부가 굉장히 중요하단 점, 그리고 범인의 동기가 독특하고 설득력 있지만, 그것만으로 만족도나 고양감을 느낄 독자가 과연 몇이나 될까 싶다.

 과거엔 시대를 앞서간 독특함으로 크게 주목을 받은 작품이고 나 역시 10년 전에 읽었을 땐 재밌게 읽었지만, 그 이후에 깊이나 분량면에서 이 작품보다 압도적인 작품을 적잖이 접한 지라 요번에 다시 읽으니 과거에 좋았던 인상마저 빛이 바랬다. 죽음에 대한 흥미로운 사유마저 지금은 아무래도 좋을 형이상학적인 토론으로만 읽혀서... 작품의 6할이 사유라 볼 수 있는데 일주일이 지난 다음엔 특별히 기억나는 내용이 없다.


 내가 컨디션이 별로여서 유독 이렇게 삐딱한 감상을 내놓는 것인지 모르지만, 한편으론 독자의 컨디션에 좌우되는 작품성이라는 것도 요즘 들어선 영 믿을 만한 것이 못 된다고 생각한다. 이 작품이 취향에 맞았거나 대단히 뛰어난 작품이라 평가한 사람들의 신경을 건드리는 말밖에 하지 않은 것 같은데, 그럼에도 이제는 조금 고리타분한 작품이 돼버렸지 않나 싶다.

 작가가 본인이 쓰고 싶은 모든 걸 다 쏟아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 경외심이 들지만 딱 그 정도다. 내가 이 소설에 대해 10년 전엔 '죽음이다' 라고 감탄한 어조의 포스팅을 올렸지만 지금에 와선 다른 의미로 '죽음이다' 라고 외쳐야 할 것 같다. 정신줄을 붙잡고, 마치 좀비처럼 퀭한 표정으로 완독해낸 나 자신이 뿌듯하다기보단 독하다고 느끼는 건 어째서일까? 좀비처럼 끝날 듯 끝나지 않은 지겨움 때문이었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