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방콕 - 방콕은 또 한 번 이겼고, 우리는 방콕에 간다 아무튼 시리즈 11
김병운 지음 / 제철소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4







 며칠 전에 방콕을 다녀왔다. 좋은 여행이었다. 가기 전엔 반신반의했는데 가보니까 다들 왜 방콕, 방콕 하는지 알겠더라. '도대체 방콕이 어땠기에-' 라는 생각이 드는 사람은 이후에 포스팅할 방콕 여행기를 읽어주시길. 이변이 없는 한 올해 마지막 여행이니 애정을 갖고 포스팅해보겠다.

 아무튼, 방콕에 가져가서 읽을 책을 물색해봤는데 생각보다 방콕과 어울리는 책이 없어서 놀랐다. 방콕 혹은 태국 태생의 작가가 쓴 책이나, 어떤 식으로든 태국을 배경으로 한 책을 가져갈 - 가급적 소설을 - 생각이었는데... 우리나라에 태국 소설이 한 권도 출간되지 않은 것에 한 번, 그리고 태국을 배경으로 했거나 소재로 삼은 소설을 이미 읽었다는 데서 두 번 놀랐다. 요 네스뵈의 <바퀴벌레>와 엘러리 퀸의 <샴 쌍둥이 미스터리>가 그러한데 두 작품 다 나쁘지 않지만 좀 새로운 책을 읽고 싶었던 나는 조금 마뜩찮지만 이 책 <아무튼, 방콕>을 이번 방콕 여행 때 가져가서 읽기로 했다.


 조금 마뜩찮았던 데엔 일단 5박 6일 여행에 들고갈 책으로썬 너무 앏거니와 당장 서두만 읽었을 땐 그렇게 구미가 당기지 않았던 게 크게 작용했다. 사실 얇은 분량이야 조금씩 나눠서 읽으면 되니까 딱히 문제될 건 없으나 너무나 일기처럼 읽히는 책의 내용엔 크게 눈길이 가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거의 연례행사처럼 연인과 방콕을 방문한다는 저자의 경험에 이끌려 결국 이 책을 읽게 됐다.

 서두가 길었는데... 결과적으로 생각 이상으로 흥미진진하게 읽어내려갔다. 작가 소개란을 보면 신인상으로 등단한 사람이라는데 아니나 다를까 문장력이 준수했고 그래선지 다소 커다란 줄기 없이 툭툭 끊어지는 구성의 글들도 흥미롭게 읽혔던 것 같다. 작가 소개란을 마저 살펴보면 작가는 사실 방콕보단 방콕을 함께 여행하는 사람에 대한 애정이 더 크다고 하는데 이 부분이 참 커다란 장점으로 작용하지 않았나 싶다. 난 연애세포가 메마른 편이라서 남의 연애론 좀처럼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 편이었는데 이번엔 좀 설레고 부럽더군. 여행엔 참으로 다종다양한 목적이 있다지만 이렇게 '함께' 하는 여행의 즐거움에 대해선 생각해본 적이 없어서 참 싱숭생숭해졌다.  


 방콕 여행에 대한 정보를 얻기엔 조금 부적절한 책이라 할 수 있겠다. 그 흔한 그림이나 사진도 없고 드문드문 나오는 거리나 가게 이름도 단편적이기 그지없다. 이 책은, 아울러서 이 '아무튼' 시리즈는 저자 자신의 세계를 만든 키워드에 대해서 얘기하는 시리즈라 그런지 방콕 또한 저자의 인생에 대해 얘기하는 매개체로 기능할 뿐이지 작가는 독자에게 굳이 방콕의 매력을 어필하려 들지 않는다. 이 점이 글에서 한 번 언급되는데 이 책은 여행책이 아니니까. 어쩌면 방콕은 굳이 저자까지 매력을 어필해야 할 정도로 덜 알려진 곳이 아니니까 특별히 손을 거들지 않은 것뿐인지도 모른다. 여담이지만 방콕 가기 전에 주변에 물어보니까 일본은 안 가봤어도 태국은 가본 사람이 진짜 많더라. 신기했다.

 개인적으론, 아무래도 나 역시 소설가 지망생이다 보니 여행 중간에 저자가 카페에서 책을 읽다 느낀 자괴감이 심히 공감됐다. 나도 간혹 여행을 하는 중에 참담함을 느끼곤 하는데, 저자처럼 나 역시 글 한 줄 제대로 못 쓰는데 여행이나 오고 있느냐고 스스로를 꾸짖는 마음이 들어서다. 하지만 저자 맞은편에 있는 애인이 바로 대답하길, 여행 때 겪은 어떠한 에피소드라도 일단 쓰라고 한다.


 여행 때 겪은 일? 그러니까 우리가 여행 중에 겪은 어떤 사소한 일이라도 그냥 지나치지 말고, 이게 소설로 적합한지 아닌지 저울질하지 말고 그냥 쓰라고. 바로 이 부분 때문에 내가 이 책에 비로소 빠져들며 읽었던 것 같다. 나는 왜 여행을 떠나는가, 그 물음에 대한 일종의 답을 얻은 것 같아서... 게다가 앞으로 여행을 더 자주 가야겠다는 일종의 좋은 핑계를 발견한 것 같아서 말이다. 아니, 오히려 조금은 나를 꾸짖었던 것 같다. 나도 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이 여행을 간 편인데 왜 지금 이 글을 읽을 때까지 저런 생각을 못했느냐면서. 차마 그동안 여행을 헛 다녔다곤 말 않겠지만 그래도 지난 여행을 더 뒤돌아보게 됐다. 여행 에세이는 잘 안 읽는 편인데 지금 이 책에 대한 감상을 적으면서 왜 지금까지 안 읽었는지 하고 생각해봤다. 왜 그랬을까. 어쩌면 여행만 다녔지 여행 에세이는 너무 등한시해서 위와 같은 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했는지 모른다. 내가 너무 비관적인 걸까. 하지만 여행이 끝났으니 이젠 비관을 좀 해서라도 글을 써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이젠 진짜 뭐라도 써야지.

 이 책엔 비단 소설 이야기만 있는 건 아니다. 오히려 소소한 이야기가 훨씬 많고 물론 방콕 이야기도 많다. 그 이야기들에 대한 감상은 나중에 방콕 여행기 때 섞어서 해보겠다. 짧은 글이지만 이렇게 많은 감상이 나오다니, 참 신기하고 좋은 글이었다.

라이프 노노, 드라마 오케이, 라이프 노노, 트래블 오케이. - 42p




원하는 거 고집하고 관철하는 것만이 최선은 아니라는 것을, 어쩌면 최선은 서로 한발씩 물러서는 과정에서 우연히 맞닥뜨리게 되는 무엇일 수도 있다는 것을, 우리는 모르지 않으니까. - 73p




정말이지 쓰기 전까지는 알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으니까. 아는 것 같아도 그건 아는 게 아니니까. - 82p




아마도 우리는 우리일 수 있을 때까지 방콕을 찾지 않을까. 우리는 우리이고 싶을 때까지 방콕을 좋아하지 않을까. 만약 우리가 더는 방콕을 찾지 않는다면, 더는 방콕을 찾지 않기로 동의한다면, 그건 우리가 더는 우리가 아니라는 뜻이 아닐까. 그때의 우리는 지금의 우리와는 완전히 다른 사람들이지 않을까. -13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