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장 속의 치요
오기와라 히로시 지음, 신유희 옮김, 박상희 그림 / 예담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7.7







 이 작가의 책은 <소문>으로 시작해 <내일의 기억>, <네 번째 빙하기>와 이번 단편집까지 총 4권 접해봤다. 그전까지 장편이었는데 이렇게 단편으로도 접하니 느낌이 또 색다르다. 이 책과 더불어 앞에 언급한 책을 모두 읽어본 사람이라면 이 작가가 소화하는 장르가 정말 다양하단 걸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소문>은 연쇄 살인범을 잡는 스릴러, <내일의 기억>은 알츠하이머에 걸린 남자를 둘러싼 가족 드라마, <네 번째 빙하기>는 개성 강한 성장 소설이다. <벽장 속의 치요>는 내가 지금까지 읽은 작가의 특징이 적절하게 혼합된 단편집이다. 어떤 작품은 서늘하고 어떤 작품은 웃기고 어떤 작품은 감동적이다. 개인적으로 이 작가의 감동적인 이야기는 <내일의 기억> 때도 그랬지만 별로 내 취향이 아니다. 서늘하거나 웃긴 이야기의 경우엔 수명은 짧지만 - 표현이 좀 이상한데 내 머릿속에서 그리 오래 남지 않을 것 같아서 하는 말이다. - 그런대로 만족감은 느껴지는 작품들이었다. 단, 표제작은 꽤 괜찮았다. 그런 주제의식과 설정은 언제나 환영이다.



 '벽장 속의 치요'


 주인공 남자가 새로 구한 집에 알고 보니 유령이 살고 있다는 서사는 지겹고 뻔해서 신물이 날 지경이고 이 작품이라고 그 전형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건 아니지만 뒤로 갈수록 읽을 만했다. 유령인 치요는 매력적이고 치요가 죽은 원인과 그 죽은 원인에 얽힌 일본 근대사의 온갖 그늘진 부분에 대한 비판적인 요소가 다분해 가볍게 넘길 이야기는 아니었다. 주제의식이 워낙 강렬해서 단편이 아닌 장편이었다면 또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기승전결이 괜찮은 단편이지만 이 작가라면 왠지 장편으로도 쓸 수 있을 것 같으므로.



 '예기치 못한 방문자'


 비슷한 포맷의 이야기는 많이 접한 것 같은데 이것도 재밌게 읽혔다. 나름 절박하게 발버둥치는 남자의 심리 묘사가 몰입도 있었다. 살인을 은폐하려는 남자가 위험하고 멍청한 짓을 하는데 그런 만큼 스릴 넘쳤다. 결말의 반전이 내 그럴 줄 알았다 싶긴 하지만.



 '살인 레시피'


 비슷한 제목의 스릴러가 기억이 날 듯 말 듯하다. 은근히 레시피란 단어는 여러 곳에서 쓰인다. 그런데 이 작품에선 정말로 레시피의 본뜻에 맞게 활용된다. 음식으로 상대를 죽이려는 계략을 열거하는 부분은 좀 감탄스러웠다. 까다롭지만 실용적으로도 보이는 이 살인 레시피를 보노라면 작가가 얼마나 연구했는지 보였다. 특히 재밌던 건 결말이다. 이야길 끝맺는 문장이 아주 기막혔다.



 'Call'


 서술 트릭이 가미됐다고 해서 읽기 전부터 기대한 작품인데 생각보다 시시해서 김샜다. 서술 트릭이 맞긴 한데 아주 충격적이지 않았다. 내가 제대로 이해한 게 맞겠지?



 '어머니의 러시아 수프'


 이 작품이 일본추리작가협회상 단편 후보에 올랐다고 해서 다시 읽어봤다. 결말에서 드러난 어떤 반전이 오싹하긴 했는데 그 상에 후보로 들 만한 작품인 건가 싶었다. 알 사람은 다 알겠지만 일본추리작가협회상은 상 이름과 달리 일반적으로 추리소설 같지 않은 소설도 수상할 수 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얼마나 추리소설 같은가 아닌가와 무관하게 수상작들이 다 재밌다는 건데... 이 작품은 상을 못 받을 만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