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작들 - 당신의 작품을 출간할 수 없는 이유 망작들 1
리카르도 보치 지음, 피아 발렌티니스 외 그림, 진영인 옮김, 김태권 / 꿈꾼문고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9.2







 블랙 유머 모음집인데 유머의 대상들이 하나같이 예사롭지 않다. 그 유명한 <돈키호테>를 시작으로 <오이디푸스 왕>, <햄릿>, <노인과 바다>, <세일즈맨의 죽음>, <변신>, <빅 슬립>, <모비 딕>, <피노키오>, <이방인>, <죄와 벌>,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등 익히 알려진 고전 명작을 한껏 조롱하고 있다. 화자는 현대를 시점으로 둔 어느 출판사의 편집자란 설정으로 앞서 열거된 고전 명작을 어째서 출간할 수 없는지, 당신의 작품이 왜 망작인가를 작가에게 설명하며 거절하는 뜻의 편지가 나열된 책인데 어떤 편지는 정말 웃기고 어떤 편지는 우스꽝스럽고 또 어떤 편지는 제법 날카롭다.

 나는 문학을 꼭 고전까지 접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인데 그 이유로 고전의 작법부터 시작해 집필된 당시의 시대상과 지금의 시대상 사이에 괴리감이 커서 의외로 큰 감동을 주지 못하는 걸 들곤 했다. 오늘날에도 통용되는 과거의 이야기가 바로 고전이 아니냐고 따질 사람도 있을 것 같지만 정말로 모든 고전이 그렇다고 믿는다면 거기에 대고 나는 그저 순진하다는 말밖엔 할 말이 없다. 물론 오늘날까지 생존한 점에서 출간 가치를 살펴보는 재미는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러한 수고가 곧 모든 독자의 몫이어야 하는 건 아니다.


 나도 모르게 진지하게 말을 해버렸는데, 사실 <망작들>은 그렇게 진지하게 읽어야 할 책은 아니다. 이 책은 고전을 앞에 두고 극단적으로 몰지각한 편집자로 분한 화자가 같잖은 비판을 하며 웃음을 자아내는 책이다. <돈키호테>를 두고 왜 스페인이 배경이냐, 시장이 좀 더 괜찮은 미국을 배경으로 한 개척담을 그려달라는 등의 말 같지도 않은 내용이 질리지도 않고 이어진다. 작품의 제목이 경쟁력이 없다느니 왜 사느냐 죽느냐가 문제느니 너무 야하지 않고 점잖다느니 너무 길다느니 환상적이라느니 도대체 부끄러움이 있으면 쓰지 못할 내용이 마구 적혀져서 정말 웃겼다. 개중엔 너무 몰지각하고 무성의한 내용도 있어 속된 말로 갑자기 분위기가 싸해진 적도 있었지만 대체로 여러 요건, 가령 수준이 낮은 독자나 지금은 많이 바뀐 출판 업계의 사정에 의해 외면을 받기도 하는 고전의 처지를 작가가 총대 제대로 매고 잘 희화화하지 않았나 싶다. 특히 <오만과 편견>을 두고 화자가 자기는 <브리짓 존스>스러운 작품을 원했다는 게 압권이었는데 문맥을 보면 감이 오겠지만 <오만과 편견>이 오리지널 <브리짓 존스>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오리지널과 후대의 작품을 도치시키다니, 마치 <명탐정 코난>을 본 다음에 <셜록 홈즈>를 읽고 '코난 따라했네, 이 작가...' 하는 것과 같지 않은가.

 정치적 올바름이란 이유로 고전이 뜻밖의 재평가나 훼손이 이뤄지는 것도 다뤘는데 이는 유머인 동시에 상당히 일리가 있는 지적이 아닐 수 없었다. 어쩌면 고전의 너무 길다란 생명력 때문에 벌어지는 평가의 전환이야말로 우리가 고전을 맹신하면 안 되는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를 두고 왜 선과 악이 다냐, 여성, 흑인, 레즈미언, 멕시칸, 아메리카 원주민, 채식주의자 등 여러 인격이 있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건 순 트집으로 웃어 넘길 수 있지만 이런 시점이 곧 무용하다고 할 수도 없다. 이른바 현대의 독자가 아니면 가질 수 없는 이런 시점은 과거엔 미처 거론되지 못한 새로운 감상 포인트를 낳는 동시에 고전이 범한 우를 되짚는 데도 유용하기 때문이다.


 단순하지만 꽤 괜찮은 설정의 유머 모음집이라 생각하는데 편집에 있어서 아쉬움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일러스트가 수록된 건 좋은데 그것 때문인지 가격이 너무 높게 책정됐다. 빌려 읽어서 망정이지 이걸 돈 주고 사서 읽었으면 누구라도 돈이 아까울 것이다. 분량을 2배 이상이었으면 저 가격을 수긍할 수 있었으려나? 사실 다루는 작품 수가 적은 건 아닌데 유머에 치중하다 보니 편지가 대부분 짧아 더욱 내용이 부실하게 여겨지는 것이 아닌지... 그나마 뒤에 실린 해설이 아니었으면 부실한 걸 넘어 썰렁하다고 느꼈을지 모르겠다. 말이 나와서 말인데 책이 문제가 아니라 가격을 저렇게 책정한 출판사가 정말 대단하지 않은가 싶다. 세상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