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생물학 - 엉뚱하고 기발한 질문에 생물학이 대답합니다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이규원 옮김 / 은행나무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2.0






 생물학에 관련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는, 한마디로 썰을 푸는 정도의 책이다. 목차를 살펴보면 제법 구미가 당기는 질문이 많이 있는데 가령 '바퀴벌레를 죽이는 나, 잘못된 생각인 걸까요?' 라든가 '스테이크를 좋아하면서 동물 애호를 말할 자격이 있을까요?', '우리 아이는 피망이라면 질색하는데 자라면서 음식을 가리지 않게 될까요?' 등 자질구레하면서도 궁금하기 짝이 없는 질문에 저자가 생물학자로서 나름의 의견과 관련된 이야기를 풀어낸다. 각 질문에 약 5페이지 정도 할애하면서 진행되기에 가독성은 상당한데... 내용물이 다채로운 것에 비해 은근히 내실이 없었다. 질문에 대한 답보다는 작가가 독자에게 생물학에 근거한 시야 넓히는 것에 주력하기라도 한 모양인지 정작 질문에 대해선 어딘지 아리송한 말만, 이른바 동문서답을 쏟아낸다. 입심은 인정하지만 그러다 보니 논점을 저 스스로 잊어버린 느낌이다.

 특히 압권은 '방사선을 많이 발산하는 라듐이 전국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건가요?' 란 질문에 대한 작가의 답이었다. 라듐 얘기하니까 퀴리 부인의 일생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대답을 끝내는데 질문의 요지는 방사선을 발산하는 물질이 왜 전국(일본)에서 발견되느냐 하는 것이지 않은가. 생물학자가 아니라서 명확히 설명할 수 없지만 외국인 입장에선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일인데 - 차마 입에 담기도 귀찮다. - 그걸 돌려 말하는 걸 넘어서 아예 다른 소리만 하고 있으니까 어이가 없었다. 이 질문 전에도 이런 느낌이 강해서 건성건성 읽었지만 이건 좀 아니다 싶었다. 이 정도면 거의 책임 회피가 아닐까.


 혹여 책의 제목과 목차의 질문에 흥미가 돋아 이 책을 읽으려는 사람들한테 말하는 거지만, 그냥 관심 있는 분야의 생물학 책을 읽는 게 더 나을 테니 시간 낭비를 자처하지 않았으면 한다.

유전자는 우리에게 자손을 남기라고 지령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렇게 명령하고 있다고 말입니다.

네 마음대로 해라. - 5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