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이들이 이 책은 소설이 아닌 것 같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도대체 소설이란 무엇인가? 소설은 그 양상이 다양하고 충분히 많은 글을 소설 카테고리에 포함시킬 수 있다. 소설이 아니라고 느끼는 독자들은 아마 소설에서 보통 얻지 못하는 '불쾌감'을 얻었기 때문일 거다. 그렇다면 그 불쾌감은 어디서 올까?

사실 나 역시도 마찬가지로 현실적이라는 이유로 이 책이 어디가 소설이냐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또 지극히 현실적인 이야기가 소설이 될 수 없다는 법은 없다. 그렇게 따지면 사람들의 고된 삶을 사실적으로 그렸다는 이유만으로 수많은 소설, 만화 등이 똑같이 매도당해야 할 것이다.

최규석의 <송곳>은 다큐멘터리, 에세이 만화일까?

우리가 학창 시절에 그렇게 배웠던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1920년대의 대표적인 리얼리즘, 사실주의 단편소설이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소설이다. 그저 '사실적인' 소설일 뿐이다.


나는 이 책이 왜 베스트셀러가 됐는지 모르겠다는 사람들에게서 기시감을 느낀다. 많은 독자들에게 사고 싶은 책이었기에 자연스럽게 베스트셀러가 된 것일 거다. 그리고 많은 독자들이 리뷰에서 '내가 바로 그 김지영이다'라며 공감을 표시했다. 그런데 이 책의 수준을 깎아내리는 사람들은 마치 소설 속에서 김지영 씨가 언급했던 '가사노동의 난이도를 깎아내리는' 사람들처럼 보였다.

가사노동을 아무것도 아닌 일로 치부해 버린 것처럼 이 책을 아무것도 아닌 책으로 격하시키려는 사람들.

책이 많은 여성들에게 공감을 얻었다는 사실을 무시하고 눈감아 버리고 싶었던 건 아닐까. 이 소설에서 묘사되는 상황들에서 고개를 돌리고 그저 '아무'것도 아닌 일로 치부해 버리고 싶었던 건 아닐까. 그 생각이 들었다.


나도 이 책을 읽는 내내 반감이 들었다.

그리고 그 반감이 드는 이유를 생각해 봤다.

나는 목소리를 잃어 버린 김지영 씨가 초반에 김은영 씨가 그랬던 것처럼 목소리를 내기를 바랐고,

고구마 같은 답답한 상황이 이어지는 와중에 사이다 같은 해결책이나 상황이 나오기를 바랐다.

물론 아주 없는 건 아니었다. 하지만 그건 이 책의 주요 인물이었던 김지영 씨를 통해서 벌어진 일은 아니었다. 그리고 그런 일들은 아주 잠깐의 해프닝으로 끝나고 말았다. 이 책의 주요 문제는 결국 해결되지 않은 채로 말이다.

거기서 불쾌감이 시작되었다.

그 불쾌감은 김지영 씨로 대표되고 있는 수많은 여성들이 행복하지 않고 아직도 그런 환경에 놓여 있다는 데에서 비롯된 분노였다.

그런데 현실에서 행복하지 않은데 소설에서 행복하다고 무엇이 달라지는가. 그때뿐인 헤피엔딩에 대한 기쁨일 뿐이다. 현실은 여전히 책의 결말과 더 가까우니까.


현실과 비슷하기 때문에 불쾌하다는 이유도 생각해 보았다.

그건 아마도 그 사회 문제가 결국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책임져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 아닐까. 나도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


이 책을 읽으며 그동안 김지영 씨들에게 무심했던 나에게 반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제는 정말로 이 시대의 김지영 씨들이 행복해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