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1 - 진시황과 이사 - 고독한 권력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1
김태권 글.그림 / 비아북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려서부터 중국 역사에 많은 관심을 뒀었다. 그래서 읽지도 못하는 한자가 있는 <사기 열전>이며 진순신 선생이 쓴 <황하> 같은 역사서들을 아주 즐겨 읽었었다. 이번에 김태권 작가가 중국 문화의 원형을 이루는 한(漢)나라 시대를 아우르는 <한나라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자그마치 10권이나 되는 대작을 비아북과 출간한다고 해서 많은 기대를 했다. 어제 드디어 <한나라 이야기>와 만날 수가 있었다.

<한나라 이야기>의 김태권 작가를 알게 된 것은 2003년에 한동안 프레시안에 연재된 <십자군 이야기>를 통해서였다. 당시 미국을 이끌던 부시를 당나귀에 비유하면서, 천 년 전의 십자군 전쟁을 부시와 공화당 매파가 주도한 이라크 전쟁에 비유하면서 풍자와 해학의 묘미를 보여주던 만화를 보는 재미가 쏠쏠치 않았다. 다만, 무슨 사정인지 시리즈를 매조지 하지 못해서 아쉬웠다.

그 후 작가가 그리스와 라틴 고전을 공부한다는 뉴스를 접했었는데, 이번에는 서양이 아니라 동아시아 그중에서도 중국의 한나라에 대한 만화를 그린다고 해서 많은 기대를 품었다. 한제국의 세운 유방에 앞서, 전국시대를 통일한 진(秦)나라 시대로 김태권 작가는 400년 한제국 역사를 그리는 대장정에 나선다.

역시 중국 최초의 제국을 건설한 진시황에 대한 이야기가 빠질 수 없다. 작가에 의하면 <한나라 이야기>의 큰 줄거리는 태사공 선생의 <사기>와 한나라의 반고가 쓴 <한서>를 텍스트로 삼았다고 하는데, 그중에서 진나라와 관련되어서는 <사기 열전>의 “이사 열전”이 주를 이룬다고 한다. 진나라가 아직 7개의 제후국 중의 하나였던 시절에 즉위한 진왕 정(훗날 진시황)이 본격적인 친정을 개시하면서,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에 작가는 초점을 맞춘다. 노애의 쿠데타, 문신후 여불위의 실각과 자살 등 굵직굵직한 당대의 사건을 이야기하면서, 정치세력의 신구교체를 다룬다. 이사라는 신예 정치세력을 바탕으로 해서 나머지 여섯 나라를 차례로 멸망시킨 진왕 정은, 황제(皇帝)라는 새로운 호칭을 개발해 내면서 만인지상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동안 후세의 사가들에 의해 아방궁이라는 호화궁궐과 만리장성 같은 대토목 사업으로 백성을 피폐케 하고, 분서갱유라는 희대의 지식인 탄압정책으로 폭군으로 규정된 진시황에 대해 작가는 새로운 해석을 할 것을 주문한다. 진시황은 하루에 30킬로그램에 달하는 죽간을 직접 결제했을 정도로, 국정운영에 왕성한 정력을 자랑했는데 이게 어떻게 해서 폭군의 요건에 해당하느냐는 말이다. 그의 주장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졌다. 모름지기 폭군이라 하면, 국정은 젖혀두고 주색으로 날을 세우지 않았던가.

전국시대를 주름잡았던 제자백가 사상 중에서 인의를 중시하는 유가사상보다 법치에 의한 국가의 지배를 숭상하는 법가사상을 국시로 삼았던 진시황과 그의 브레인들은 언제나 고래의 종법제도야말로 검증된 국가경영을 위한 이데올로기라는 주장에 넌더리를 낸다. 그래서 결국, 분서라는 후대에 악명을 남길 지식인 탄압과 일단의 방중술사를 처단한 ‘갱제생’이 갱유, 다시 말해 유생들에 대한 탄압으로 왜곡되면서 진시황에 대한 후세의 폭군 이미지가 낙인이 찍혀 버린다.

역시 비주얼을 중시하는 만화답게, 김태권 작가는 고대의 그림들이나 삽화, 화상석들을 참조해서 복식의 치밀한 고증을 보여준다. 작가가 팁을 준 대로, 만화를 보면서 밑에 달린 각주들을 읽다 보면 큰 맥을 잃을 수도 있으니 일단 한 번 스토리만 보고 나서 나중에 재독할 때 각주를 볼 것을 권장한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각주, 미주에 신경을 쓰다 보면 이야기의 큰 흐름이 끊어지기 쉬운 게 사실이다.

아무래도 큰 줄기를 짚다 보니 디테일에 있어서 부족한 면이 눈에 띄었다. 예를 들어, 진시황에 대한 암살을 시도했던 희대의 자객 형가 편에서 보면 형가가 진왕 정을 알현하기 위해 준비한 연나라 독항 땅과 진나라에서 망명한 장수 번어기의 목 등에 대한 부분 그리고 나중에 형가의 복수를 하기 위해 실명까지 해가면서 진왕의 곁에 접근한 축의 명수 고점리에 대한 이야기가 쏙 빠져 있지 않은가.

진시황의 죽음과 2세 황제 호해의 즉위에 관한 음모에 대한 해석도 흥미롭다. 태자인 부소 대신 호해를 황위로 올리자는 환관 조고와 이사의 밀담을 어떻게 태사공 선생이 알았느냐는 것이다.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그 사실은 세상에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야 하지 않은가 말이다. 진왕 정의 출새에 얽힌 비밀 역시 마찬가지다. 원래 여불위의 무희였던 조희가 임신한 채, 조나라의 수도 한단에서 볼모 살이를 하던 자초에게 시집을 가서 진왕 정을 낳았다는 설 역시 그 진위가 의심스럽다. 아마 예나 지금이나 남의 이야기하기 좋아하는 호사가들이 지어낸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진제국에 처음으로 반기를 들었던 진승과 오광의 난에서 민중의 구호로 사용된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더냐”라는 프로파간다는 <한나라 이야기> 2편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게 될 한고조 유방(劉邦)에게 아주 딱 들어맞는 말이 아닌가. 그야말로 재주는 진승과 오광이 부리고, 돈은 유방이 걷어간 셈이라고 할까. 개인적으로 김태권 작가가 그리는 역사의 재구성이 아주 흥미롭다. 계속해서 출간될 후속편들이 기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