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공지영 작가의 책을 마지막으로 읽은 것은 몇 년 전인가 읽었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었다. 오래되어 기억이 휘발되어 버리고 지금 나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것은, 공지영 작가에게 자신의 글에서 다루었던 사형수들의 삶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생각일 뿐이다. 내가 삐딱선을 탄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과연 작가들에게 타인의 리얼리티는 단순하게 작가적 상상력의 소재에 지나지 않는건 아닐까.

작가는 <도가니>에서 보다 한층 자극적인 소재로 독자들에게 접근을 시도한다. 어떤 분은 책의 내용을 알고 차마 못 읽겠다고도 말했었다. 보통의 경우에 책에 대한 편견 없이 대하려고 하기 때문에 사전 정보 없이 바로 책읽기에 뛰어 들었다. 그리고 바로 책을 읽으면서 그 분이 왜 책을 읽지 않겠다고 선언을 했는지 바로 이해가 갔다.

<도가니>의 배경은 안개로 유명하다는 지방의 무진(霧津)이다. 그 유명한 김승옥 작가의 <무진기행>을 미처 읽어 보지 못해 그 내용에 대해 알 수는 없지만, 역시 무진을 배경으로 한 <도가니>에서 그 이야기를 빼놓고 갈 수는 없겠지.

중국에서 사업을 하다 실패하고, 아내의 소개로 무진의 어느 농아학교로 오게 된 기간제 교사 강인호가 등장한다. 사립학교 채용을 위해 관행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다섯 장의 학교발전기금은 그에겐 차라리 모멸이었다. 처음에 강인호에게 자애학원은 자신의 재기를 도모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교사로 일하게 된 자애학원에서 원치 않았던 엄청난 사건의 소용돌이 속에 내동댕이쳐지게 된다.

<도가니>는 최근에 본 윤태호 작가의 만화 <이끼>와 일맥상통하는 점이 많다. 우선 토착화된 지역민들이 일심동체가 돼서 외부에서 온 인사들(강인호와 서유진)의 진리와 정의를 밝히려는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우리는 아무런 문제없으니 공연히 문제를 일으키지 말고 조용히 우리와 지내거나 아니면 이곳을 떠나라는 식의 양자택일을 강요한다.

도저히 상식이라고는 통하지 않는 추악하고 끔찍한 사실을 감추기 위해, 금력과 관권 그리고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자신들의 악행을 덮으려 하는 지역 기득권층에 대해 공지영 작가는 날카로운 활시위를 겨눈다. 소설에서 거대한 빙산에 작은 망치 아니 맨손으로 달려드는 서유진의 모습에 작가의 그것이 얼비치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

많지 않은 소설의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악머구리 끓듯한 작은 도가니탕 같은 무진의 이야기들을 읽기가 사실에 다가가기가 너무 힘들었다. 작가의 글쓰기 패턴을 볼 때 분명 대한민국의 어디선가 일어났던 사건을 모티브로 삼았을 텐데, 그 생각을 할수록 책장을 넘기기가 버거워졌다. 더 힘들었던 건, 어떤 일이 있더라도 정의는 승리한다는 식의 도식적인 결말 대신에 그래도 이런 광란의 도가니 속에서 삶은 계속 되더라라는 엔딩이 예상되서였다.

그런데 작가가 <도가니>에서 다루고 있는 더 본질적인 것은 바로 사실을 대하는 우리네 보통 사람들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었다.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 일들이 벌어졌을 때, 우리는 받아들일 수 없는 진실보다는 차라리 위선적이지만 포장되고 가공된 거짓들에게서 위안을 받는다는 것이다. 왜냐구? 참혹한 진실보다는 적당히 뚜드려 맞춘 거짓이 우리들의 마음에 자책으로 수치심을 덜어 주기 때문에. 자애학원에서 벌어진 사건에 대한 무진 시민들의 일반적인 속내 또한 다르지 않았다.

비록 민주화의 성지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무진이지만, 이제는 빛바랜 옛 추억에 불과하고 지금은 모두 한 자리씩 잡고 공고해져 가는 기득권층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밝혀져야할 진실 따위는 슬쩍 눈감아 버리면 그만이라는 암묵적인 합의가 예의 도시에 농무처럼 번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공지영 작가의 종교에 대한 다소 회의적인 시각은 무진 영광제일교회 신도들의 불의와 부조리에 대한 아멘과 할렐루야 선창을 통해 청각화되고 있었다. 교회 울타리 안에 있는 ‘우리’들은 옳고, 그 밖에서 우리들을 핍박하는 무리들은 모두 사탄이라고 외쳐대는 맹목적인 신앙의 모습들이 자못 두렵기까지 했다. 나중에 법정에서 진실이 가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악당들의 잘못에 대해 비판 없이 아멘을 읊조리는 그네들의 모습이 참으로 안타까웠다.

IMF 이후 하루가 다르게 보수화되어 가는 우리 사회에서 다시 한 번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사회는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경종을 울려주는 것 같은 공지영 작가의 <도가니>가 무척 반가웠다. 비록 책읽기가 쉽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네 현실을 무시하고 살 수는 없지 않은가 말이다. 어쩌면 거짓이 우리네 양심을 잠깐 동안 자유롭게 해줄지도 모르겠다. 그렇다고 해서 불의에 대해 언제나 눈을 감고 살 수는 없지 않은가 말이다. 정답은 스스로에게 달려 있다. 과연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모든 것을 이미 알고 있으면서도 우리는 진실과 거짓이 뒤범벅이 된 광란의 도가니 속에서 오늘 하루를 사는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