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늙은 여자 - 알래스카 원주민이 들려주는 생존에 대한 이야기
벨마 월리스 지음, 짐 그랜트 그림, 김남주 옮김 / 이봄 / 2018년 4월
평점 :
북극에 가까운 극한의 지역에 기근과 상상을 초월하는 추위가 몰아닥친다. 알래스카 인디언 부족 중의 하나인 그위친족은 유목민들로 수렵으로 생존하는 부족이다.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그들은 선택을 해야 한다. 사냥을 할 수 있는 이들에게 가지고 있는 자원을 몰아 주어야 한다. 그래야 부족 전체가 살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노약자들은? 아이들은 미래의 자원이니 그렇다 치고, 나이 든 80세의 칙디야크(박새)와 사(별, 75세)는 부족원들에게 외면당하고 생존을 위한 아무런 방비 없이 가을 야영지에 버려진다.

그러니까 알래스카 인디언판 고려장의 희생자들이었던 것이다. 그들이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 부족원들은 부족 전체를 살리기 위한 고육책이었다고 자위하지만, 모두에게 그것은 하나의 경고가 아니었을까. 그 어느 누구라도 생산에 참여할 수 없는 잉여 같은 존재가 된다면 그들 역시 칙디야크와 사의 운명과 다를 게 없을 거라는.
북극의 가혹한 환경 만큼이나 칙디야크와 사를 고통스럽게 한 것은 그들이 생사고락을 같이 해온 부족원들에게 버림을 받았다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게다가 그들을 위해 부족민들은 아무런 자원도 남겨주지 않았다. 칙디야크의 딸인 오즈히 넬리가 남겨준 사슴가죽으로 만든 끈발과 손자 슈러 주가 몰래 남긴 손도끼 정도가 전부다. 과연 칙디야크와 사는 엄혹한 현실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캠프에서 불평과 불만을 일삼던 두 늙은 여인들은 죽기 전에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는 생각에 땔감을 구해서 몸을 덥히고, 토끼덫을 놓으면서 생존을 도모한다. 사냥에 나선 첫날 다람쥐를 잡은 것이 어쩌면 그들의 빛나는 영광을 위한 전조가 아니었을까. 가을 야영지에서 겨울을 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아는 두 늙은 여인들은 오래전 기억을 더듬으면서 먼 길을 나선다. 가는 도중에 그들은 죽음을 능가하는 고통스러운 여정을 체험한다. 어쩌면 잠에 빠져 매순간 조여 오는 고통을 없애기 위해 영원한 잠을 자청하려고 마음 먹었던 적도 없지 않다. 하지만 나의 포기는 곧 동료의 죽음을 의미했기 때문에 그들은 서로를 위로하며 고난의 여정을 계속했다.
그들이 살아남은 것은 정말 천운이었다. 물고기 사냥을 하던 야영지에 도착한 두 여인은 야생동물만큼이나 위협적인 다른 부족 아니 솔직하게 말해서 자신을 버린 자기 부족과 대면을 극도로 꺼리게 된다. 그동안 타인에게 의존하며 살던 잉여 인간의 삶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된 칙디야크와 사는 기력을 회복하고 다가올 겨울을 대비해서 어마어마한 식량 확보에 나선다. 많은 양의 말린 물고기와 연어는 물론이고, 맛좋은 황소사슴을 잡기 위해 사가 벌인 모험을 보라!
자 그렇다면 두 여인을 버린 부족은 과연 번영과 평화를 구가했을까? 아니 그렇지 않았다. 어찌어찌해서 지난겨울을 날 수 있었지만, 돌아오는 겨울은 암담하기만 했다. 두 여인을 방기한 죄책감에 시달리던 족장은 나이든 안내꾼과 사냥꾼들로 구성된 특공대를 파견해서 두 여인의 흔적을 추적한다. 그리고 그들은 마침내 두 여인의 야영지를 찾아내는데 성공한다. 다른 사람도 아닌 자기 부족과 가족에게 버림 받은 두 여인의 위풍당당한 모습에 사냥꾼들은 감복해 마지않는다. 자신들처럼 원기왕성한 이들도 배를 주리며 사는 판에, 청년 못지않은 정력을 자랑하는 칙디야크와 사의 모습은 정말 대단했다. 하지만 두 여인을 넉넉하게 확보한 식량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버린 부족원들에 대한 원망이 가시지 않는다. 어른들이야 그렇다 치고, 죄 없는 아이들까지 굶주리고 있다는 전언에 두 여인의 마음에 조금씩 해빙되기 시작한다. 게다가 자기 가족들의 안위도 걱정되지 않은가.
나머지는 해피엔딩이다. 다른 누구보다 칙디야크가 가장 원망했던 딸 오즈히 넬리에 앞서 사랑하는 손자 슈러 주와 눈물의 상봉을 하지 않았던가. 어떻게 보면 엔딩은 그야말로 전형적인 행복한 결말을 지향하고 있다. 과거 농경시대에는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의 지혜가 중요했지만, 디지털 시대에 방대하게 축적된 정보의 힘으로 이제는 구세대에 대한 공경의 필요성이 사라진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사실 자신만의 경험이 최고라고 들이대는 세대와의 불화도 어르신들과의 대화를 어렵게 하는 요소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우리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저자 벨마 월리스는 우리에게 생각해 보라고 주문한다. 늑대 무리에서 더 이상, 무리를 이끌 체력을 지니지 못한 늙은 우두머리가 제거되는 것처럼 우리 인간 그룹에서도 그런 일이 벌어져야 하겠는가. 물론 부족민들에게 불평쟁이로 낙인찍힌 칙디야크와 사에게도 문제가 없는 건 아니었다. 하지만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협력해서 선을 이루는 대신, 희생양(scape-goat)을 지목되어 방기되어 버린다는 게 얼마나 슬픈 일이었던가. 특히나 유목민 부족에게 있어서 그것은 바로 생존과 직결된 문제가 아니었던가.
한국을 일으켜 세운 산업전사 세대의 성공담도 분명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이상의 무엇이 미래세대에게 달려 있지 않을까? 진부하지만 창업보다 어려운 것이 수성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사회의 다양한 욕구들과 이해들이 상충하는 가운데, 그 어느 때보다 정치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면서, 충분히 토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갈등들을 방치하는 작금의 상황이 칙디야크와 사를 버리자고 주장하던 부족민들의 그것과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늑대 같은 짐승이 될 것인가, 아니면 인간이 될 것인가. 박새(칙디야크)와 별(사)의 이야기는 그래서 보다 더 현실적으로 느껴졌던 게 아닐까. 멋진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