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17일

 

반딧불이 - 무라카미 하루키 <헛간을 태우다>

 

오래 전 수중에 넣은 하루키의 <반딧불이> 소설집에 실린 <헛간을 태우다>를 읽었다. 계기는 이번에 이창동 감독이 영상화해서 칸느 영화제에 연출했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였다.

 

마침 책장에 꽂혀 있던 터라 바로 읽을 수가 있었다. 단편은 심심했다. 오마이뉴스에서 영화 <버닝>에 대한 기사를 읽고나서 영화에 대한 상당한 정보는 입수했는데 소설과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 같았다. 역시 귤이 회하를 건너면 낑강이 되는 법인가.

 

마라톤, 레코드 그리고 화이트 와인 같이 일본적이라기 보다 코스모폴리탄적인 요소들로 특징 지워진 하루키의 글은 1990년대에는 우리나라에서 먹혔을 진 몰라도 이제 그런 분위기들이 일상이 되어 버린 2018년 대한민국에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어 버린 ‘쿨함’이라고나 할까. 그 시절에는 누가 봐도 우와하고 감탄을 내지를 법한 페데리코 펠리니의 흑백영화를 연상시키는 은빛 색깔의 독일산 스포츠카도 그닥 감흥을 자아내진 못하는구나. 그렇다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이 변하는 법이다.

 

기이한 인연으로 알게 된 그녀와 소설을 쓰는 기혼의 남자 나 그리고 북아프리카를 여행하다가 우연히 만난 그녀의 남자 친구가 빚어내는 기묘한 조합이 낯설기만 하다. 다른 곳도 아니고 북아프리카라니. 게다가 무역 일을 한다는 남자의 스타일은 기가 막힐 정도로 멋지다. 스포츠카에 그래스를 마는 남자라...

 

그녀는 물론 두 남자의 긴장을 교묘하게 만들어내는 그런 팜므파탈이 아닐까 싶기도 했지만 역시 하루키 스타일답게 어느 순간 사라져 버린다. 대신 남은 두 남자는 기묘한 욕망, 헛간 태우기에 대한 비밀을 공유하기에 이른다. 그녀의 애인 못지않게 집착하는 남자, 그러니까 소설의 나레이터는 그녀의 애인이 태우겠다고 선언한 주변의 헛간 찾기에 나선다.

 

어디로 가는지 방향성도 없고, 헛간 태우기라는 기묘한 맥거핀을 내세웠지만 결국 이게 뭐야?라는 식으로 끝이 나는 엔딩도 하루키답게 싱거웠다. 뭐 그런 거겠지.

 

 

[뱀다리] 영화 <버닝>에서 ‘쓰리투탱고’는 종수(유아인), 해미 그리고 벤이라고 한다.

 

원작 소설에서 그녀의 애인은 헛간을 태우러 다니지만, 영화 <버닝>에서 벤은 비닐하우스를 노린다. 비닐하우스가 아마 우리에게 더 적합할 테니까. 탁월한 선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