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끓는 모양은
제일 먼저 새우 눈알 같은 것이 나고
조금 있으면
게 눈알, 물고기 눈알, 구슬꿰미같은 것이 올라 와.
아직, 아직 아니야. 아직은 물이 익지 않았어.
물이 솟구쳐 오르는 소리를 잘 들어봐.
처음에는 싸~하는 소리가 나고
그 다음엔 쿠르르 바퀴 소리가 날꺼야.
땅이 진동하는 소리, 말 달리는 소리가 났다가
모든 소란이 잦아들 듯
소나무 숲을 지나는 은은한 바람 소리가 난~다!
곧 그 바람 소리마저 잦아들고 이제 더는 아무 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
지금이야!
지금이 바로 순숙, 물이 익었다는 말이야.
영화 「협녀, 칼의 기억」의 한 대사예요. 영화를 보신 분들은 인상깊게 기억하실 것 같아요. 자신의 부하들이 자객들과 혈투를 벌이는 속에서도 송유백(이병헌 분)은 무심히 찻물을 끓이죠. 지난 날 설랑(전도연 분)이 알려주던 찻물 끓이는 방법을 회상하면서요. 설랑의 나래이션은 안단테와 모데라토를 거쳐 프레스토로 치닫죠. "지금이야!" 순간, 자객이 던진 표창이 유백을 향해 날아오고 유백은 찻잔을 들어 튕겨내죠. 그리고 다시 설랑의 안단테 나레이션. "지금이 바로 순숙, 물이 익었다는 말이야." 유백은 드디어 야망의 성취를 위한 마지막 결단을 내리죠.
위 대사는 송유백의 결단 과정을 암시하는 내용이기도 하지만 송유백과 설랑의 사랑이 무르익음을 보여주는 대사이기도 하죠. 물이 익어가는 과정은 곧 송유백과 설랑의 사랑이 익어가는 과정에 다름 아니니까요.(고상한 찻물 익는 과정을 너무 저급하게 해석했나요?).
사진은 어느 음식점에서 찍은 목각이에요. 팽다(烹茶), '차를 끓이다'라는 표제어를 대하니 문득 영화의 한 장면이 생각나 주절댔네요. 팽다 밑에 나온 내용들을 읽어 볼까요?
竹影有何餘 대 죽/ 그림자 영/ 있을 유/ 어찌 하/ 남을 여 대 그림자 뜰을 쓸어도 자국 남지 않나니
此心讀聖書 이 차/ 마음 심/ 읽을 독/ 성인 성/ 글 서 이 마음으로 성현의 글을 읽노라
烹茶耽自暇 삶을 팽/ 차 다/ 즐길 탐/ 스스로 자/ 겨를 가 차를 달이며 홀로 있는 시간을 누리노니
眉月掛雲虛 눈썹 미/ 달 월/ 걸 괘/ 구름 운/ 빌 허 구름 낀 하늘엔 초승달 한 조각
壬辰雨水 아홉째천감 임/ 다섯째지지 진/ 비 우/ 물 수 임진년(2012년) 우수에
玄史吟 검은 현/ 역사 사/ 읊을 음 현사 읊다
인터넷을 찾아보니 현사라는 분은 현대 분이더군요. 그리고 이 시의 원제는 '우음(偶吟, 우연히 읊다)'이구요. 표제로 새긴 '팽다'는 적절치 않아 보여요. 원 제목인 '우음'을 새겼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시의 전체적인 내용이 차를 달이는데 중점을 둔 것이 아니고 맑고 여유로운 마음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지요. 차을 달이는 것과 성인의 글을 읽는 것은 맑고 여유로운 마음을 즐기는 부차적인 행위일 뿐이죠. 첫째 구와 마지막 구의 풍경은 맑고 여유로운 마음을 대신하는 풍경이에요. 마지막 구절의 '구름 낀 하늘'은 분주한 현실을, '초승달'은 그 속에서도 여유를 발하는 시인의 마음을 대신한 거라고 볼 수 있어요.
시에서 첫째 구의 해석이 좀 이상하다는 생각을 하실 것 같아요. 첫구는, 제가 보기에, 야보(冶父)선사의 "대 그림자 뜰을 쓸어도 자국이 남지 않고(竹影掃階塵不動)"를 응용한 구절로 보였기 때문에 원 의미로 풀이했어요(추정이기에 틀릴 수도 있어요).
다도(茶道)라는게 있죠? 다도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위 시의 내용대로라면 끽다(喫茶) 자체보다는 그 이전의 마음 자세가 다도의 본질 아닐까 싶어요. 마음이 맑다면 그 어떤 것을 마셔도 다 좋은 차가 되지 않을까요? 설령 맹물을 마실지라도요. '협녀, 칼의 기억'에서 유백은 늘 차맛에 대해 만족을 못하죠. 왜 일까요? 설랑처럼 차를 달이지 못해서 그럴까요? 그보다는 야망으로 가득찬 마음때문에 그랬던 것은 아닐까요?
낯선 자를 몇 자 자세히 알아 볼까요?
影은 彡(形의 약자, 형상 형)과 景(경치 경)의 합자예요. 형체를 드러낸 경치가 갖고 있는 그림자라는 뜻이에요. 그림자 영. 影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影像(영상), 撮影(촬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餘는 食(먹을 식)과 余(나 여)의 합자예요. 풍족하게 먹어 배가 부르다는 의미예요. 食으로 뜻을 표현했어요. '남다'라는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배가 부르기에 더 먹을 수 없어 남겼다란 의미로요. 余는 음을 담당해요. 남을 여. 餘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餘裕(여유), 餘談(여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烹은 灬(火의 변형, 불 화)와 亨(바칠 형)의 합자예요. 음식물을 익혀서[灬] 바친다[亨]는 의미예요. 삶을 팽. 烹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烹卵(팽란, 삶은 계란), 兎死狗烹(토사구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茶는 艹(草의 약자, 풀 초)와 余(나 여)의 합자예요(지금은 茶를 쓸 때, 余에서 一자 하나를 빼고 쓰죠). 쌉싸름한 풀 혹은 그 풀로 우려낸 음료란 의미예요. 艹로 뜻을 표현했어요. 余는 음을 담당해요(여→다). 차 다(차). 茶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茶道(다도), 綠茶(녹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耽은 耳(귀 이)와 冘(흔들 임)의 합자예요. 귀가 늘어져 있다란 의미예요. 耳로 뜻을 표현했어요. 冘은 음을 담당하면서(임→탐)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늘어진 귀는 머리를 돌릴 때마다 잘 흔들린다는 의미로요. '즐기다'라는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늘어진 귀처럼 마음이 풀어져 있는 상태가 즐기는 것이란 의미로요. 즐길 탐. 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耽溺(탐익), 耽讀(탐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暇는 日(날 일)과 叚(빌려줄 가)의 합자예요. 여유있는 시간이란 의미예요. 日로 뜻을 표현했어요. 叚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남에게 무언가를 빌려 주려면 여유가 있어야 하는데 그같이 여유있는 시간이란 의미로요. 겨를 가. 暇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休暇(휴가), 年暇(연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眉는 눈과 눈썹을 그린 거예요. 目은 눈을 그린 것이고 윗부분은 눈썹을 그린 것이에요. 눈썹 미. 眉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眉間(미간), 蛾眉(아미, 아름다눈 눈썹)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掛는 본래 挂로 표기했어요. 후일 卜이 추가되었죠. 원형으로 살펴보도록 하죠. 挂는 扌(手의 변형, 손 수)와 圭(홀 규)의 합자예요. 높은 곳에 걸어 놓았다는 의미예요. 扌로 뜻을 표현했어요. 圭는 음을 담당하면서(규→괘)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신하가 지닌 홀은, 임금이 보기에, 꼭 가슴에 매단 것처럼 보인다는 의미로요. 걸 괘. 掛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掛圖(괘도), 掛念(괘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影 그림자 영 餘 남을 여 烹 삶을 팽 茶 차 다 耽 즐길 탐 暇 겨를 가 眉 눈썹 미 掛 걸 괘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年( ) 撮( ) ( )圖 ( )間 兎死狗( ) ( )道 ( )裕
3. 차와 관련한 에피소드가 있으면 소개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