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21 | 122 | 123 | 1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오늘부터 며칠간 경복궁 현판 기행을 해보도록 하죠. 경복궁은 광화문부터 들어가야 하는데, 아쉽게도 옆구리(국립고궁박물관 주차장)로 들어가다보니 광화문 사진을 찍지 못했네요. 일행이 없었으면 가서 찍었을텐데, 아쉬워요. 그러고보니 경복궁은 이상하게 옆구리로 들어가게 구조가 되어 있어요. 경복궁역을 나오면 바로 경복궁 정문이 아니라 옆구리에 있는 국립고궁박물관쪽으로 나오게 되어 있거든요. 경복궁을 제대로 보려면 세종 문화회관 쪽에서 경복궁을 향해 걸어 오면서 봐야 할 것 같아요. 그래야 예전의 궁궐 밖 육조거리의 모습도 상상할 수 있고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부터 경복궁 관람을 시작할 수 있거든요.

 

그럼 이제 현판을 보도록 할까요? 위에 있는 것은 광화문 다음에 나오는 勤政門(근정문) 현판이고, 아래에 있는 것은 勤政門 다음에 나오는 勤政殿(근정전) 현판이에요. 勤은 부지런할근, 政은 정사정, 門은 문문, 殿은 큰집전이라고 읽지요. 門과 殿의 이름을 勤政(정사에 부지런하다)이란 한 것이 상당히 독특(?)해요. 다분히 임금을 압박하는 내용이잖아요^ ^ 점잖게 표현해서 그렇지 막발로 하면 "똑바로 해! 안그러면..." 정도의 의미 아니겠어요? ^ ^  역대 임금님들은 이 현판을 보면서 늘 자신을 경계했을 것 같아요. '나는 과연 정사에 부지런한가?' 

 

자, 이제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勤은 力(힘력)과 菫(진흙근)의 합자에요. 어려움을 이기고 맡은 일에 전력 투구한다란 의미의 글자에요. 그래서 力으로 뜻부분을 삼았죠. 菫은 음부분인데 뜻도 일부분 갖고 있어요. 진흙은 가뭄과 추위에 강하기 때문에 파종하기에 좋은 흙이죠. 그래서 어려움을 이겨내고 맡은 일에 충실하다란 의미를 일부분 보충하고 있죠. 勤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勤勉(근면), 出勤(출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政은 正(바를정)과 攵(칠복)의 합자에요. 攵은 독려하고 가르친다는 의미이고, 正은 추구해야할 목표의 의미이죠. 따라서 政은 백성들을 독려하고 가르쳐 모두 올바른 길로 나아가게 한다란 의미에요. 正은 음도 담당하고 있지요. 政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政治(정치), 臨政(임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門은 戶(지게호: 한쪽자리 문) 두개가 합쳐진 자에요. 동시에 열고 닫으며 출입할 수 있는 문이란 뜻이에요. 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出入門(출입문), 大門(대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殿은 殳(창수)와 展(臀(볼기둔)의 옛글자)이 합쳐진 자에요. 본래는 '용감히 군대의 후미에 서다'란 의미에요. 그래서 殳를 뜻부분으로 삼은 것이지요. 후미에 서면 적의 예상치 못한 공격을 받기 쉽기 때문에, 용감해야 후미에 설 수 있었지요. 展은 음(음이 약간 변했지요)을 담당하면서 본 뜻을 보충해주고 있어요. 볼기라는 신체의 후미 부분으로 뒤에 서다란 의미를 보충해주고 있는 것이지요. 그런데 왜 이 글자가 큰 집(대궐)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는지는 정확히 모르겠어요. 혹 큰 집을 의미하는 말은 있는데 글자가 없는 상태에서 殿의 음과 동일하기에 殿을 큰 집이란 의미로도 사용하게 된 것은 아닌지 모르겠어요. 殿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殿閣(전각), 殿堂(전당)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이제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부지런할근, 정사정, 문문, 큰집전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治,  (      )堂,  (      )勉

 

3. 여러분 집의 당호(堂號: 집 이름)를 지어 보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은 근정전 뒤에 있는 궁궐의 현판을 알아 보도록 하죠. 혹 무슨 현판이 있는지 아시는지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연히 서울 나들이를 하게 되었어요. 경복궁 근처를 어슬렁 거리다 가게의 간판이 멋져 사진기를 들이밀었네요. 한자는 조형미가 뛰어난 글자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색다른 느낌을 줍니다. 두 개의 간판중 특히 아래 간판이 그런 특징을 잘 살려 쓴 것 같아요.

 

위에 있는 간판 글씨를 먼저 볼까요? 餠(떡병)이에요. 행서체로 쓴 것이죠. 왠지 떡시루에서 김이 올라오는 듯한 느낌이 들지 않나요? 아마 행서 이외의 다른 서체로 이 자를 썼다면 그런 느낌이 들기 어려울 것 같아요. 아래 있는 간판글씨는 碧帝(벽제, 푸를벽 임금제)입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碧은 碧昌牛(벽창우)의 의미이고 帝는 蹄(굽제)의 의미라고 나와 있더군요. 碧昌牛는 '벽동(碧潼)과 창성(昌城)지역에서 생산되던 소'란 의미로 고집세고 힘좋은 소란 의미입니다. 흔히 고집세고 답답한 사람을 벽창호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유래한 말이지요. 그런데 인터넷에서 帝를 蹄의 의미로 푼 것은 이해가 잘 안되더군요. 帝를 蹄의 의미로 풀면 碧帝는 '벽창우의 발굽, 혹은 좋은 소의 발굽' 정도로 의미가 풀이되는데 무슨 의미인지 잘 통하지 않는 것 같아요. 帝는 원래 의미대로 임금이란 뜻으로 푸는게 좋을 것 같더군요. 그러면 '벽창우 중에서 최고의 소, 가장 좋은 소' 정도의 의미가 되겠지요(이것도 저의 생각일 뿐이지요 ^ ^ ).

 

碧帝에서 帝의 디자인이 참 멋지죠? 최고의 소라는 의미가 글자에 잘 나타나 있는 것 같지 않아요? 우람하고 날카로운 두 개의 뿔 모양으로 말이죠. 碧帝 오른 쪽에 있는 한글 '봉피양'은 외래어가 아니고 평양 사투리입니다. 봉은 본(本: 근본본)의 사투리이고 피양은 평양의 사투리입니다. 굳이 풀자면 '원조 평양' 정도의 의미라고 할 수 있죠. 좀 더 자세히 하자면 '원조 평양냉면'이라고 할 수 있어요. 봉피양에서는 냉면을 팔거든요.

 

이제 좀 자세히 한자를 알아 볼까요?

 

餠은 食(먹이식)과 幷(어우를병)이 합쳐진 글자에요. 본래 보리가루를 반죽하여 만든 식품이란 뜻이었어요. 그래서 食으로 뜻을 삼았죠. 그리고 물을 넣어 반죽해서 만들기에 합친다는 의미의 幷으로 음부분을 삼았죠. 幷은 뜻과 음을 함께 담당하고 있는 셈이죠, 종합하면, 보리가루에 물을 넣어 반죽해 만든 식품이란 의미가 되겠네요. 餠은 본래, 우리가 머리속에 그리는 그런 떡이 아니라, 보리 개떡이었어요 ^ ^ 餠이 들어간 유명한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렇죠! 五餠二魚(오병이어).

 

碧은 王(玉의 변형)과 石(돌석)과 白(흰백)의 합자에요. 푸른 빛이 도는 옥같이 생긴 돌이란 의미였죠. 白은 음을 담당하는데, 소리값이 약간 바뀌었죠. 碧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碧溪水(벽계수), 碧眼(벽안) 정도가 있겠네요.

 

帝는 두 가지 설로 어원을 설명해요. 하나는 이 글자가 본래 꽃받침을 나타낸 글자라는 설이에요. 가운데의 冖 부분이 꽃받침과 꽃의 경계로, 冖 윗부분은 꽃을 나타낸 것이고 冖 아래 부분은 꽃받침을 나타낸 것이라고 봐요. 임금이라는 의미는 후대에 이 글자를 차용해서 나타낸 것이지요. 왜 이 글자를 차용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추측컨대, 꽃과 꽃받침의 관계가 임금과 백성(신하)들의 관계와 유사하다고 여겨서 차용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어요. 또 한 가지 설은 윗 부분의 亠 는 上의 옛 글자로 최고의 존재인 임금을 나타낸 것이고 나머지 부분은 음에 해당한다는 설이에요. 글자 자체가 곧바로 임금의 의미를 표현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죠. 어느 것이 맞을까요? ^ ^ 둘 다 일리가 있어요. ^ ^ 帝가 들어간 예는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皇帝(황제), 帝國主義(제국주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떡병, 푸를벽, 임금제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五(      )二魚,  (     )眼,  (     )國主義

 

3. 다음 (   )안의 한자를 상호에 맞게 디자인 해보시오.

 

   해맑은 안(眼)과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멋진 간판을 단 가게는 대개 좋은 물건들을 파는 것 같아요. 그런데 간혹 좋은 물건을 갖다 놓고도 어설픈 간판을 다는 경우도 있는 것 같아요. 사치를 부려야 좋은 간판이 나온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그 가게에 어울리는 좋은 간판이 나오지 않을런지요? 요는 심미안이 필요한 것인데, 이는 문화의 수준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 면에서 우리 나라의 간판 수준은 아직은 조금 더... (위의 두 경우는 예외겠죠? ^ ^)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햇살 따스한 어느 절집 툇마루에 앉아 있는 고양이-- 조는 듯 눈을 감았다가 나그네 발자국 소리에 살짝 눈을 뜹니다. 그리고는, 다시 무심히 눈을 감습니다. 조심스레 다가가 한 컷 찍었습니다. 고양이 옆에 참 잘 어울리는 목판 하나가 세워져 있습니다. 靜肅(정숙).

 

고양이는 이 절집 스님의 시자인 모양입니다. 그런데 어느 스님의 시자보다 더 충실한 시자같습니다. 누가 이 고양이 보다 더 상대를 조용히 시킬 수 있을까요?

 

언젠가 김용옥 선생님이 대중강연회에서 猫心(묘심: 고양이의 마음)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지요. 공부하는 사람은 고양이에게서 호기심과 자존감과 고독을 배울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었지요. 이 고양이를 바라보노라니 그 강연 내용이 떠오르는군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볼까요?

 

靜은 靑(푸를청)과 爭(다툴쟁)의 합자에요. 이 글자의 본래 의미는 '분명하게 살펴 본다'란 뜻이에요. 靑은 초목이 싹을 틔울때의 색으로, 그 빛깔이 분명하죠. 그래서 이 글자로 '분명하게 살펴 본다'란 의미를 표현했어요. 爭은 여기서 소리값을 담당해요(소리값이 좀 변했죠). 그런데 爭에는 '이끌어 들인다'는 의미가 있어요. 분명하게 살펴 보려면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이끌어 들여야 하겠죠? 爭은 소리값도 담당하지만 글자 전체의 의미를 일부분 보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죠. 종합하면, 靜은 '자신의 생각과 판단으로 대상을 분명하게 살펴본다'란 의미가 되겠네요. 그런데 靜은 보통 '고요할정'으로 읽죠? 왜, 고요하다란 의미를 갖게 됐을까요? 추측컨대, 분명하게 살펴보려면 요란하지 않고 고요해야 하기에 '고요하다'란 의미가 연역되지 않았을까 싶어요. 靜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靜寂(정적).

 

肅을 볼까요. 肅에서 윗 부분의 글자는 손에 일감을 갖고 있다는 의미이고, 아래 부분은 淵(연못연)의 옛 글자로 수심이 깊고 험한 물가란 의미이지요. 합쳐서 '수심이 깊고 험한 물가에 임한 것처럼 조심스럽게 일에 임한다'란 의미지요. 肅을 보통 '엄숙할숙'이라고 읽는데, '엄숙하다'란 의미는 바로 그런 의미지요. 肅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嚴肅(엄숙).

 

猫의 원래 글자는 貓에요. 貓는 豸(狸(삵리)의 줄임 글자)와 苗(싹묘)의 합자지요. 삵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식물을 싹을 갉아먹는 쥐를 퇴치하는 동물이란 의미에요. 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犬猫(견묘, 개와 고양이).

 

정리할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고요할정, 엄숙할숙, 고양이묘

 

2.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嚴(       ),  (        )寂,   犬(        )

 

3. 다음 (      )안에 들어갈 적절한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실내(       )

 

학교 다닐 때 가장 많이 듣던 말중의 하나가 '靜肅' 아니었나 싶어요 ^ ^  십대에겐 참으로 힘겨운 단어였죠 ^ ^ 나이 먹은 지금은 너무도 쉬운 단어지만... ^ ^

 

자,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면 좋아하세요? 저는 좋아하는 편이긴 한데, 이상하게 먹고나면 -- 특히 국물을 마셨을 때-- 살짝 뱃속이 안좋아요. 그래서 요즘은 잘 안먹어요. 그래도 이따금 라면 맛의 유혹을 이길 수 없어, 아픈 배를 무릅쓰고, 먹을 때가 있죠 ^ ^ (바보!)  전에는 약간 덜 익은 꼬돌꼬돌한 면발을 좋아했는데, 요즘은 푹 익은 면발이 더 좋아요. 아무래도 나이 탓인 듯 ㅎㅎ

 

오늘은 딱 한 자만 공부하도록 하죠 ^ ^  辛은 매울신이에요. 라면 용기에 뜻과 음이 써 있군요 ^ ^  윗 부분의 는 이마를 표현한 것이고, 나머지 글자는 죄목을 새기는 형벌 도구를 표현한 글자에요 辛은 본래 '이마에 죄목을 새길 정도의 큰 죄'라는 뜻이었어요. 그런 벌을 받을 때는 고통스럽겠죠? 죄목을 달고 다녀야 하는 상황은 더 말할 나위 없구요. 그래서 이 글자가 고통스럽다는 의미의 '맵다'라는 의미로도 사용하게 된 것이죠. 실제 매운 맛은 맛이 아니라 혀에 가해지는 통각(痛覺: 고통스런 느낌)일 뿐이라고, 학교 다닐 때 배운 것 같아요 ^ ^ 지금은 마음이 고통스럽다라는 의미의 '맵다'라는 의미보다는 단순히 맛이 '맵다'라는 의미로만 사용하죠.

 

辛이 들어간 예로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맵고 시다라는 맛의 의미를 차용하여 삶이 고달프고 힘들다는 의미를 표현한 것이 있는데, 무엇이죠? 辛酸(신산). 너무 짧으니 하나만 더할까요? 다섯가지 맛을 한자로 어떻게 표현하죠? 酸鹹辛甘苦(산함신감고: 시고 짜고 맵고 달고 씀)

 

오늘은 문제를 아니 내겠어요 ^ ^

 

얼마 전 JTBC 뉴스를 보니 비만에 관한 사회 문제를 보도하더군요. 비만은 이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라는 거에요. 가난한 사람일수록 비만이고 안(?)가난한 사람일수록 비만이 아니라는 거죠. 비만을 예방하는데 좋은 과일과 채소 곡물을 사려면 적어도 한 번 장을 볼 때 6만원 이상은 들어요. 그런데 그 비용이면 라면 100개를 살 수 있는 거에요. 과일과 채소 곡물이 비만 예방에 좋은 줄은 알지만 가난한 사람에겐 그림의 떡인거죠. 또 운동을 해야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데, 가난한 사람들은 먹고 살기 바빠 운동하기가 힘들다는 거죠. 살찌고 싶어 살찌는 것이 아니라 어쩔수 없어 살찐다고 해야 맞는 상황인 거죠. 비만이 결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라는데 공감이 가더라구요. 라면이 주식(主食)이 아니라 부식으로 먹는 사회가 되어야 할텐데, 주식처럼 먹는 사람이 느는데 우리 사회의 고민이 있는거죠.

 

자,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똥 잘 싸셨는지요 ^ ^ 쾌변은 건강의 척도라죠? 똥을 잘 싸면 '아, 오늘 잘 살았구나' 라고 생각하고, 그렇지 못하면 반성이 필요합니다. 음식을 잘못 먹었거나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몸이 아프거나 뭔가 하나라도 잘못되었기 때문에 쾌변을 못본 것이죠.

 

초장부터 똥 얘기를 한 이유는? 어느 절집 뒷간 현판에 나온 한자를 보려구요. 자, 이 간판은 가로로 쓴 것이니 왼쪽부터 읽어야 겠죠? 解는 풀해 憂는 근심우 所는 곳소, 解憂所는 '해우소'라고 읽어요. '근심을 푸는 곳'이란 뜻이죠. 절집에서 뒷간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상당히 철학적인 표현이죠 ^ ^ 똥을 잘싸면 그게 곧 '해탈' 입니다 ^ ^

 

한자를 하나씩 자세히 알아 볼까요?

 

解는 角(뿔각)과 刀(칼도)와 牛(소우)를 합친 글자에요. 칼을 가지고 소의 머리에서 뿔을 해체시킨다는 의미이죠. 解가 들어가는 한자는 무엇이 있을까요? 解剖(해부), 解決(해결).

 

憂는 心(마음심)과 頁(머리혈)이 합쳐진 형태에요. 마음속에 고민이 많다는 의미이기에 心으로 뜻을 삼았지요. 아울러 고민이 많으면 그러한 것이 얼굴에 드러나기에 얼굴이 있는 머리 부분을 표현한 頁로 음을 삼았지요(소리값이 확 바뀌었죠). 종합하면 얼굴에 수심이 가득할 정도로 마음 속 고민이 많다, 정도의 의미가 되겠네요. 憂가 들어가는 한자는 무엇이 있을까요? 憂患(우환), 憂鬱(우울).

 

所는 戶(지게문호)와 斤(도끼근)이 합쳐진 글자에요. 본래 의미는 '벌목할때 나는 소리'라는 의미에요. 그래서 斤을 뜻부분으로 사용했지요. 戶는 반쪽짜리 문을 의미하는데 완전히 닫히지 않고 열렸다 닫혔다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지요. 벌목을 할 때는 계속 도끼질을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이 글자를 가지고 음부분을 삼은 것이에요(소리값이 좀 바뀌었죠). 이 글자가 왜 '곳'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억지 추측을 해보면, 벌목소리가 나는 장소라는데서 '곳'이란 의미로도 사용하게 되지 않았을까 싶어요. 所는 방법 또는 일이라는 의미의 '바'라는 뜻으로도 많이 사용하죠. 所가 들어간 한자는 무엇이 있을까요? 場所(장소), 所期(소기).

 

자, 정리할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써 보시오.

 

    풀해, 근심우, 곳소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써 보시오.

 

    場(     ),  (     )患,  (      )剖

 

3. 다음의 한자를 넣어 짧은 글을 지으시오.

  

    解憂所,  憂鬱

 

4. 사진의 글씨체는 무슨 체인지 말하시오.

 

 

여담인데, 혹 중국에 가서 '화장실'을 본 적이 있으신지요? 정말 '후덜덜'해요. 문이 없더라구요 ^ ^;; 

자, 매일매일 쾌변을 보는 하루가 되시길 빌며...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뵈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양물감 2015-01-22 2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우소... 전 변볼때 어려움이 없어서 ㅎㅎ 큰 근심은 아니어요.

찔레꽃 2015-01-22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탈하셨네요 ㅎㅎㅎ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21 | 122 | 123 | 1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