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7 - 개혁과 자주를 외치다 (1800년~192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7
김윤희 지음, 여미경 그림 / 웅진주니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고등학교 다닐 적 국사 시간을 떠올리면 ... 

구석기 시대부터 더듬어 알아가는 한국사 여행, 국사 시간이 재미있었던으로 기억됩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시대를 절정으로 남북국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전기, 후기까지 

그래도 그 시대까지는 지금도 큰 사건들이 생각나고, 제법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왜 한국사가 근대사로 넘어오면 왜 이리 작아지고 움츠려지는지 모르겠습니다.

엄마가 근대사를 어려워해서 일까요, 울 아이도 어려워하며 작아지려고 합니다 ㅠ.ㅠ   

그럼, 엄마와 아이를 작아지게 만드는 우리의 근대사, 알아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겠지요^^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7권 개혁과 자주를 외치다  

              1800년~1920년 그 시대로 떠납니다. 

 

이양선이 출몰하면서부터 시작되는 우리나라 근대사는 정조 이후 세도 정치로 인한

조선 안 상황과 나라 바깥 세상 돌아가는 사정을 함께 꿰고 있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렵 

습니다. 

'근대화'하면 바로 생각나는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 흥선대원군으로 인해 근대화가  

늦어졌다고만 단정하고 있었지, 흥선대원군이 나라 재정을 튼튼히 하는 한편, 왕권  

강화에 힘을 쏟으며 조선을 강하게 만든 후, 좀 더 대등한 입장에서 그들과 마주하고 

싶었던 소망에 대해서는 이 책을 읽고 알았습니다.  그 전까지는 우리나라 근대화를 

어렵게 만든 인물로만 생각 속에 가두어 두었습니다.

책 속으로 점점 빠져들며 근대사 공부가 어려웠던 진짜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세상 모든 사건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게 마련인데 교과서에서 결과만 중요하게 배웠던 

까닭이었습니다. 1895년 민 왕비의 시해 사건 이후 1896년 아관 파천, 1897년 대한제국 

선포 그 이후 숨가쁘게 돌아가는 일들이 사실 지금까지 잘 몰랐던 앞 사건과 뒷 사건   

사이의 긴밀한 연결 고리가 존재했고, 이 고리를 지금 책 속에서 찾게 되었습니다.  

찾은 그 연결 고리로 사건을 꿰어 알아볼까요?

러시아가 청을 대신해 동아시아의 강자로 떠오르자 조선을 먹으려는 야심을 가진 일본을  

막기 위해 민 왕비는 러시아를 끌여 들었고, 자신들을 몰아내려는 민 왕비를 일본 입장에 

서 어떻게든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결국 참혹하게 시해 

했던 것입니다.  왕비가 살해되는 엄청난 일을 당한 고종은 무서웠을 겁니다. 궁궐에서  

조차 자신의 목숨을 보존하기 어렵다고 판단 내렸고 일본의 감시와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관 - 아라사 공사관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하게 되는 사건, 아관 파천이  

일어 나게 됩니다. 그러나 한 나라의 임금이 다른 나라 힘 뒤에서, 러시아 공사관에서  

나라를 꾸려간다는 것은 독립국가로 말이 되지 않는 일, 결국 백성들과 독립 협회의 요구에  

경운궁으로 환궁하고 어느 나라의 간섭도 받지 않겠다는 뜻을 담아 황제의 나라 대한  

제국으로 다시 태어남을 알립니다. 오호~~ 어려웠던 근대사가 이렇게 원인과 결과를  

하나 하나 짚어가니 밑그림이 그려지고 이해되기 시작합니다 ㅎㅎㅎ  

하나 더!!!

1919년 3.1 운동 결과로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고 알고 있었는데 이는 조금 잘못 알고  

있었던 것으로 3.1 운동의 결과로 나라 안팍의 여러 개의 임시 정부가 통합되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세워졌다고 보는 편이 옳습니다. 1919년 9월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상하이에 세워졌습니다. 이리 알아야겠지요. 

이렇게 근대사를 보는 안목이 높아졌습니다^^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7권 개혁과 자주를 외치다, 책 속에 1800년 ~ 1920년 중요한 사건 

들이 그 시대 상황과 함께 생생하게 펼쳐집니다.  

이 책 열면 우리 근대사를 좀더 쉽게 그리고 생생하게 만날 수 있는 이야기들이 우리를 

부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