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해록 - 바다 건너 뭍길 따라 붓으로 그려 낸 명나라 풍경 책 읽는 고래 : 고전 4
최부 원작, 김충수 지음, 이해정 그림 / 웅진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해록(漂海錄), 처음 책 제목을 보고 생소했습니다.

 

저는 처음 접하는 책이었지만, 알고보니 세계 학계에서는 15세기 명나라에 관한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는 소중한 책입니다.

 

최부의 '표해록'은 세계 학계에서 일본 스님 예닌이 쓴 '입당구법순례기'와

 

이탈리아 상인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과 함께 세계 3대 중국 여행기로

 

손꼽히는 작품입니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좀 낯선 고전이지요.

 

 

표해록은 성종 19년(1487년)  제주도에 추쇄경차관으로 있던 최부가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에 급히 배를 띄워 돌아오던 중 풍랑을 만나

 

중국에 표류하여 돌아오기까지 지나친 수 많은 다리들, 호수와 방죽, 성곽과 성문,

 

사당과 누각, 사찰과 탑, 시장과 역참, 행정 관청과 군사 시설, 각 고을의 풍경과 풍속 등을

 

꼼꼼하게 그리고 상세히 기록한 기록서입니다.

 

소흥에서 항저우, 쑤저우를 거쳐 베이징으로 오는 길은 운하를 이용한 뱃길로 운하를 통해

 

뱃길을 따라 오는 동안 보았던 도시와 성곽의 세부적인 풍경, 운하를 경영하는 방식과

 

운하의 물이 흘러가는 방향까지 꼼꼼하게 기록하였습니다.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기록하고, 작은 것까지 세세하게 기록하는 모습과

 

더구나 이 기록할 당시 상황이 표류하여 고난 중에 이루어진 기록물이기에

 

더 놀랍습니다. 왜인으로 오인받아 진실이 밝혀지기까지 가는 곳마다 신문을 받았고

 

돌아오는 그 먼 길이 몹시 지치고 힘들었음에도 자세히 매일 매일 기록한 그 기록 정신에

 

현재 7건의 세계기록유산이 등재되어있는 지금의 자랑스러움이 바로 이 기록하는 선조들의

 

힘에서 나온 것임을 알게 해주었습니다.

 

 

최부의 '표해록'의 첫 장을 넘기며 많이 어렵고 그 내용이 지루할까 걱정이 되었습니다.

 

아이와 함께 읽을 첫 고전으로 내용이 많이 어려워 우리 고전은 어렵고 지루하다하고

 

느끼게 될까 걱정이 되었지요.

 

웅진주니어  '바다 건너 뭍길따라 붓으로 그려 낸 명나라 풍경, 표해록'은

 

그 제목처럼 풍경 다큐멘타리 영상물을 보는 듯 하여 글을 읽으나 시각적으로 책 내용이

 

다가옵니다.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표해록 책 내용에 지루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개인적인 감정을 배제한 채 객관적으로 명나라 풍경과 그 모습들을 실제로 보고

 

혹은 들은 내용을 그대로 < ~~를 지나 ~~도착했다, ~처럼 보였다, ~라 불렀다,

 

 ~~있었다 >로 표현되어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한 백과 사전을 읽는 듯한 느낌이 납니다.

 

하지만 중국의 수 많은 지명은 표해록 원전의 내용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3분의 1 

 

이상 줄여서 나타냈음을 알려주었음에도 읽으며 아이와 저 둘 다 약간 부담이 되었습니다.

 

아마도 생소한 지명에 기억하지 못한 채, 그냥 그 지명이 묻혀 지나칠까에 대한 부담이었

 

겠지요.

 

내용 곳곳에 '표해록 더 잘 읽기'와 '이야기 한 자락'을 통해 그 당시 시대 상황과 용어를

 

이해할 수 있었고, 특히 아이는 이야기 한 자락의 <와신상담, 장량의 신발 줍고 병법을

 

얻다 등> 이야기에 열광하였습니다.

 

혹 자칫 모르고 흘리고 지나갈 수 있는 용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최부의 강직함과

 

우직함을 넘어 선 그리 답답하고 미련해보이는 행동들이 그 시대를 산 조선 선비들의

 

신념의 실천임을 알려주는 표해록 더 잘 읽기는 말 그대로 표해록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도와주었고, 이야기  한 자락은 표해록 책 읽기에 큰 재미를 주고 즐거움과 더불어

 

국의 고사와 전설 이야기로 친근하게 느끼지게 합니다.

 

덕분에 최부의 표해록, '바다 건너 뭍길 따라 붓으로 그려 낸 명나라 풍경' 읽기가

 

한결 수월하고 즐거웠습니다.

 

표해록, 고전을 읽으며 단지 그 때 당시의 시대적 지식, 우리나라와 명나라의 상황을 알게

 

된 것에만 의의를 두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세계 학계에서는 그 사실이, 그런 사료와

 

근거가 중요한 가치를 지니겠지만 아이와 저는 그런 험한 상황에서도 잃지 않았던 조선의

 

선비로의 자긍심과 당당함, 자신의 신념을 상황에 따라 이리 저리 바꾸지 않았던

 

그 모습에서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는 강한 메세지를 얻었습니다.

 

어찌 사는 것이 훌륭한 삶인지는 그 때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