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 - 바퀴에서 로켓까지, 탈것의 역사
리처드 브래시 지음, 이충호 옮김 / 한겨레아이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 책을 펼쳐 열심히 읽던 아이가 고개를 들고 말합니다. 

"엄마, 이 책 엄청 재미있어요." 

얼마 전부터 미래의 탈 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는 아이가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 

이 속으로 빨려 들어가 운송 수단의 역사에 집중합니다.

사실 인간 만큼 지구상에 특별한 생물은 없습니다.  

인간은 탈 것을 만들어 하늘을 새보다 빨리 날고, 바다에서 그 어떤 물고기보다 깊이  

잠수합니다. 또 땅에서 가장 빠르다는 치이타보다 더 빨리 차를 타고 달립니다.  

지구상 생물들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그러니까 구체적으로 말하면 잡아 먹히지  

않기 위해 그리고 또 반대로 먹이감을 잡아 먹기 위해서 '다른 생물보다 빠른 것'이 살아 

가는데 많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인간은 지구상 일반 생물들이 가지는 공통된 이유보다 불편함 해소와 능률을 위해  

탈 것을 발달시켰습니다.

인간은 하늘을 날고 싶은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기구, 비행기를 발달시키고, 세계 일주 

항해와 탐험을 하기 위해 배를 발전시키며 물 속으로 깊이 내려가고 싶은 호기심 때문 

에 가죽을 둘러싸인 보트를 타고 템스 강 밑으로 들어갔다고 합니다. 

그러니 생존보다는 결국 인간의 호기심 때문에 탈 것의 역사가 점점 발전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책을 읽으면 인간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과 열정에 놀라게 됩니다. 

탈 것의 놀라운 발전이 탈 것을 만든 사람과 이를 발전시키려고 노력하는 많은 사람들의  

희생 위에 이루졌다는 사실입니다. 운송 수단의 발달 속에는 많은 폭발 사고와 재난 사고들이  

숨어 있었습니다. 크게 다치기도 하고 죽음까지도 많았습니다. 

이런 실패와 어려움에도 인간은 포기하지 않고 지구를 넘어 우주까지 나갈 수 있는 탈 것을  

만들어 우주로 나가고 있습니다. 

탈 것의 역사를 알아가며 '경이롭다'는 생각까지 하게 되지요. 

인간은 인간의 호기심과 더불어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 탈 것을 향한 열망을 이루기 위해  

인간이 존재하는 동안 더 휼룡한 더 신기한 탈  것들을 계속 만들고 발전시킬 것입니다. 

미래에는 더 멋진 운송 수단이 등장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책에서 알려준 앗, 이런 여행도?  '시간 여행'까지도 가능한 날이 오지 않을까 행복한 상상  

속으로 빠져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