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학입문 - 제14판
IRVING M.COPI 지음 / 경문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도 않고 읽는 걸 굳이 말리고 싶지도 않은 책이다. 논리학의 기초적인 내용들을 체계적이고 좋은 구성으로 잘 전달해내고 있긴 하지만, 그 내용이 <양적>으로만 방대하고 예시문이 과하게 많아 논리학 초심자든 숙련자든 읽다가 지루해 하거나 지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논리학의 형식적인 측면에만 관심하는 사람이라면 이 모든 내용과 예시를 굳이 다 읽을 필요가 있을까 싶다. 다른 한편으로 논리학 지식이 요구되는 공인 시험이나 논술 등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을 대비하는 사람이라면, 굳이 이 책보다는 그런 측면만을 겨냥하여 출간된 연습문제집을 사서 훈련하는 편이 더 도움이 될 듯하다. 그렇다고 부교재로 활용하자니 내용이 많고 두꺼워 배보다 배꼽이 큰 형국이 될 것이다. 제시된 연습문제들(특히 형식논리의 문제들)의 패턴이 천편일률적이어서 발전성 있는 논리학 연습을 도모하기 어렵다는 점도 부차적인 단점이다.


 다만 초입에 말했듯 그 구성은 꽤나 좋은 편인 듯하다. 이 책이 논리학 교재로서 널리 인정받고 활용되어오며 판쇄를 거듭하게 된 데에는 이런 측면이 가장 강하게 작용한 듯하다. 여러 대학 출판부에서 본교의 철학과 내지 교양 논리학 강의를 위해 자체적으로 출간하는 논리학 교재들은 많은 것들이 이 책의 구성과 목차를 본따 그 내용을 다소 압축한 형태로 되어 있다. 내가 대학 시절 수강한 논리학 학 강의의 교재 역시 이 책의 구성을 따랐던바, 논리학이라는 학문 개관, 명제와 논증 개념 분석, 형식적/비형식적 오류, 아리스토텔레스 정언논리, 연역논리와 그의 두 가지 큰 표준 줄기인 명제/술어논리, 귀납논리, 과학적 추론과 설명 개념 등을 다루는 장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수님께서 강의 중간중간 인용하는 책들도 코피의 이 책(과 W. 새먼의 책)인 경우가 많았다. 현대의 대학 강의에서 일반적, 표준적인 형태로 자리잡은 논리학 교수법을 제시했다는 점은 분명 이 책의 큰 장점이며, 학습자의 입장에서도 효율성을 제고해주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양적인 부담감을 이겨내면서 형식논리와 자연언어 논리를 폭넓고 끈기 있게 연습할 결심이 있다면 읽어볼 가치가 있겠다.


 추가적으로, 6장 말미의 부록에 제시된, 아리스토텔레스 정언논리학에서 타당한 형식에 대한 연역을 소개하고 있는 절은, 개인적으로 처음 접하는 방법론이어서 신선하고 흥미로웠다. 논리학 저서를 많이 섭렵한 편은 못되지만, 이적지 읽어온 여타 논리학/논리철학 책에서는 보지 못했던 내용이다(닐 부부의 "논리학의 역사"에 제시되었을 법도 한데, 그 책을 읽던 당시엔 내가 이해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정언논리에 대한 이해가 풍부해짐과 동시에 그간 막연히 갖고 있던 의문점이 조금 해소되는 느낌이었다. 관심 있는 사람은 빌려서라도 이 부분을 읽고 연습해보면 재미있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im euiwon 2024-03-24 04: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런 논리학 책을 찾는데 이 책인가 보네.
 
가능세계의 철학 - 필연과 가능으로 읽는 ‘존재’와 ‘세계’ 철학의 정원 6
미우라 도시히코 지음, 박철은 옮김 / 그린비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상논리와 가능세계 형이상학을 흥미롭게 접할 수 있도록 준수하게 쓰인 수작이지만, 입문서로 의도되었음에도 주제 자체의 어려움으로 인해 진입장벽이 높은 책이다. 양상논리의 형식적 측면, 양상과 가능세계 개념에 얽힌 형이상학적 사항들, 자연과학과 가능세계 개념 간의 관계 등, 주제와 얽힌 내용들을 풍부하고 알차게 전달하고 있는 좋은 책임에는 분명하다. 논리학, 철학, 수학, 자연과학 등에 숙달해 있기에, 내용이 잘 전달되고 읽히게끔 매끄럽게 번역해내면서 필요한 부분에서는 전문적이고 세세한 역주를 통해 본문을 보충 첨언하고 있는 역자의 솜씨도 이 책의 가치를 더욱 높여준다. 

 다만 기본적으로 현대 분석적 경향의 언어철학, 명제/술어논리, 논리철학, 집합론 등에 대한 강도 높은 선지식이 없이는 논의의 맥락을 따라가기 어려울 듯하다. 역자 주에서 제시되고 있는 내용도, 그 분야에 대한 맥락적인 선이해가 없능 사람이라면 이런 내용까지 알아야 하나 싶은 생각과 함께, 이해가 풍부해지기보다는 어려움만 느끼기 쉬울 것 같다. 양상논리와 가능세계 개념에 대한 배타적인 저서가 내가 알기로는 이 책을 포함하여 네 권* 정도밖에 없으니, 이 책을 읽고자 하되 상술한 하위분야들에 대한 선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그 분야들에 대한 지식을 먼저 갖추고 이 책에 도전해야 읽는 소득이 있을 듯하다. 어쨌든 이 분야를 다룬 저서의 희소성으로 인해서도, 책 자체의 탁월함으로 인해서도, 읽을 가치가 높은 책이다. 

 

*손병홍, "가능세계의 철학"(절판)

  김우진, "양상논리와 형이상학"(절판)

  미우라 도시히코, "허구세계의 존재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 자연주의 철학
바나 바쇼.한스 D. 뮐러 지음, 뇌신경철학연구회 옮김 / 철학과현실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철학, 신경철학이라는 자연주의적 기획 하에서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과 심리철학 등 철학의 굵직한 분야들을 조감하고 있는 논문 선집이다. D. L. 스미스의 "생물학이 철학을…"과 함께 구매하여 읽어보았는데, 그 책보다 먼저 읽어볼 걸 하는 생각이 들게끔 그 책보다 <약간> 더 읽기 수월한 편이었다. 아무래도 그 책에 비해서는 자연과학적 내용보다 철학적 내용의 비중이 좀 더 많은 듯하고, 전술하였듯 철학의 분야에 따라 의도적으로 편집되었기 때문인 듯하다. 대부분 저자들의 뚜렷한 논지와 논증적 구성이 책의 내용을 명료하게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어쨌든 그 책과 마찬가지로 다소 학제적인 분야를 다루는 책이니만큼, 전통/현대철학(특히 프래그머티즘, 콰인의 철학, 분석적 경향의 심리철학)과 생물학, 신경학, 심리하 등의 자연과학 양자에 숙달해 있어야만 수월하게 읽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막연하게만 알고 있는 현대적 자연주의의 기조가 철학의 하위 분야들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어 논증 및 옹호될 수 있는지를 알게 해준 결실 있는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물학이 철학을 어떻게 말하는가 - 자연주의를 위한 새로운 토대
데이비드 리빙스턴 스미스 지음, 뇌신경철학연구회 옮김 / 철학과현실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렵고 생소하고 번역이 좋지 못한 편이지만, 신생 분야에 대한 책이니만큼 신선하고 흥미로운 독서경험을 가져다 주는 책이다. 제목 그대로 생물학이라는 자연과학이 철학을 어떻게 꼴지을 수 있는지를 논증해내고자 (진화)생물학, 신경학, 뇌과학 등에서의 연구성과를 철학의 다양한 분야와 문제들에 적용하고 있는 논문들 선집이다. 이렇다 보니 전통/현대철학 및 생물학과 연관된 자연과학 양자에 대한 강도 높은 지식이 없이는 꽤나 읽기 버거우며, 안 그래도 이리 어려운데 직역투의 번역이 이를 가중시킨다. 개인적으로 생물학 분야에 아는 바가 적다 보니, 각 글들의 논지는 파악했어도 그를 뒷받침하고자 동원된 근거들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솔직히 내용을 논증적으로 이해한 글이 적었다. 하지만 어렴풋이 포착되는바 '철핫은 자연과학과 연속적이어야 한다'는 미국 실용주의와 콰인의 기치를 좇는 저자들의 근본 기조를 통해, 전통적으로 철학에서 제기되어 온 문제들에 이렇게도 접근할 수 있구나 하는 지적인 신선함을 느낄 때가 많았다. 어떤 식으로든 자연과학을 신뢰하며 살아가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에게 가장 설득력 있게 여겨지는 방식의 철학함을 제시해주는 분야가 이와 같은 생물/신경철학 분야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싹틔워준 독서였다. 번엿은 그다지 좋지 않지만, 융합적인 신생분야의 전문적인 글들을 한국어로 읽을 수 있도록 긴 기간 노고를 쏟아가며 함께 공부하고 번역해온 뇌신경철학 연구회 구성원들과, 학문적으로 양질인 책을 기획, 출판하여 일반 독자층이 접할 수 았게 해준 출판사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사족1. 책 첫 장에 '생물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the the biosphere!)' 라는 문구가 써 있다. 읽기 전에는 그저 그런 수사인 줄 알았는데 다 읽고 나니 편자가 왜 저런 문구를 삽입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 분야의 프론티어에서 활동하는 학자들이 본질주의, 의식적 경험, 언어와 의미론, 의도와 지향성, 합리성, 윤리와 삶, 인간 본성, 일부다처제와 젠더문제, 인종 개념 등, 실로 다양한 분야에 걸친 여러 문제들을, 자연과학의 토대에서 접근하여 해결하고자 시도하는 지적 분투를 엿볼 수 있는바, 말 그대로 활발하고 생동감 있게 살아 숨쉬는 사유의 생물권을 조감한 듯한 기분이 들었다. 특히 그 명칭만 알고 있던 목적의미론 분야를 다룬 파피노의 글은 언어철학에 관심하는 나로서는 흥분감마저 느끼게 하였다(여타 철학책의 인용 서지사항에서 그의 이름을 간간이 보기는 했었는데, 글도 아주 잘 쓰는 학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묘사하고 비유하는 문장으로서 아주 적합한 문구였던 셈이다. 


사족2.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신경철학'이 여타 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순수철학적 내용이 많기도 하고 자체적으로 읽기 쉽게 쓰이기도 해서였는지, 개인적으로 그나마 잘 읽힌 글이었다. 그녀의 글을 읽어보기는 이번이 처음인데, 신랄하면서도 설득력 있는 논조로 자신의 생각을 잘 풀어내는 학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의 저서 "신경철학"을 예전부터 눈여겨보기만 했었는데, 이번 기회에 그 책을 꼭 사서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이 책을 통독하고자 하거나 생물/신경철학 분야에 관심하는 사람이라면, 먼저 이 글 한 편으로 입문해보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어 논리학 - 논리적 추론과 증명 테크닉
이병덕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깔끔하고 적당한 수준의 논리학 교재이다. 부제가 말해주듯이 현대 명제/술어논리의 추론규칙 및 증명법의 핵심을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이 소개하면서도, 논리학을 이해하고 숙달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들을 놓치지 않고 알기 쉽게 잘 전달해낸다. 특히 겐첸의 자연연역법을 저자가 나름대로 변형한 형태 역시 직관적이고 깔끔한 편이라 쉽게 이해하고 연습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여타 논리학 교재들을 더 읽어본 뒤 비교해보고 싶어진다). 연습문제의 양과 난이도도 적당하다. 논리학을 전혀 모르는 쌩 입문자도 혼자서 읽어가며 논리학을 습득할 수 있을 만큼, 입문 수준의 논리학 교재로는 여러모로 더할 나위 없이 적당하다. 논리학을 이미 알고 있는 사람이라도 자신이 아는 바를 한번쯤 깔끔하게 정리하는 데에 유용하다. 

 다만 첨언하자면, 논리적 추론을 숙달시키겠다는 저자의 의도가 꽤나 관철되었으니 귀결된 장점들이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렇다 보니 논리학이라는 분야 자체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이해는 가져다주지 않는 듯하다. 오로지 논리적 증명법을 실질적으로 익히는 데에 관심한다면 만족하겠지만, 그 이상의 고차적인 이해에만 배타적으로 관심할 만큼 이미 논리학에 충분히 숙달해 있다든가, 실질적인 추론방법뿐만 아니라 깊은 수준의 논리학적/논리철학적 지식까지를 병행하여 습득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조금 아쉬워할 수는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