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끔한 구성으로 알차게 쓰인 중급 수준의 현대미학 서적이다 목차에사부타 명료하게 드러나듯이, 대략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중후반에 이르기까지의 미술사를 모더니즘-아방가르드-포스트모더즘 계열로 대별하여 총론을 다룬 뒤, 각 챕터별로 특정 작가 및 작품군들을 총론에서 정립된 틀에 따라 종합적으로 해설해준다 양적으로 다소 방대하고 질적으로도 적잖이 학술적이지만 쉬운 서술과 깔끔한 구성이 읽는 피로감을 덜해주기에, 적당한 독서역량을 갖춤과 더불어 인문학적 논의스타일에 익숙해있다면 대학생 이상의 성인층이 교양서로 읽기에도 적합한 편이다 에필로그에서 저자가 고백하는바 익명의 심사자가 지적했다던대로 특정 이론가들의 관점에 기대고 있는 부분이 많아 (이는 논의의 핵심적인 대목에서 인용 및 논지의 출처를 밝히는 주석만 일별하여도 쉬이 드러난다) 자칫 편향된 시각을 심어줄 위험성이 있긴 하지만, 해분야의 전문가로서 이 책을 엄밀한 학술적 근거로 활용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교양서로 읽고 향유할 알반 독자층이 크게 괘념해얄 정도의 단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학자로서의 분별력과 양심을 갖춘 전문가라면 이 정도의 특이사항은 알아서 잘 파악하고 참작하여 대처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아방가르드‘라는 용어와 얽힌 개념적 혼란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는 점이 기억에 남는 소득이다 그린버그의 불분명한 기준과 용어법으로 초래된 혼란이 80년대 후반까지 미술비평계에 만연해 있었다는 점, 미국의 비평적 미학적 담론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국내에도 이런 경향이 강했다는 점, 후대의 역사적인 평가와 분석이 좀 더 진행되면서 이런 혼란에 대한 진단과 교정을 위한 논의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는 점 등을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돠었다 현대미술에 관심하기 시작한 고등학생 시절부터 모더니즘-아방가르드 개념 간의 관계가 잘 이해되지 않아 늘 석연찮은 구석이 많았는데, 해묵은 갈증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어 좋은 독서경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