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논리학
앤서니 그레일링 지음, 이윤일 옮김 / 북코리아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주제와 형식 면에서 희소성 있는 문헌이라는 점이 큰 장점인 듯하다 논리철학 내지는 다소 느슨하게 보자면 언어철학을 다루는 국내 문헌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주제를 형식 면에서 철학사별 혹은 철학자의 이론별로 다루지 않고 주제별로 다루는 문헌도 거의 없는 실정에서, 이 책은 그 주제에 배타적인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요긴하다

하지만 주제 자체의 어려움 및 원저자의 서술 방식의 개략성이 이해를 어렵게 만들며, 가뜩이나 그 어려움을 수준 이하의 번역이 가중시킨다는 점은 명백한 단점이다 서문에서 원저자는 이 책이 입문자들의 방향을 잡아주기 위한 도구라고 공언하지만, 다뤄지는 주제가 워낙 폭넓다 보니 한 이론 내지는 논제가 꽤나 약식으로 서술되고, 그에 대한 비판이나 문제점 역시 핵심적이고 압축적으로 서술된다 전자에 대한 사전지식이 있어도 후자를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전자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다면 후자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니 결국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결실이 매우 적을 수밖에 없다
서술방식 자체가 이러한 어려움을 지닐진대, 번역의 난삽함은 이 책을 더욱 읽기 어려운 것으로 만들고있다 나는 이 책의 주제에 대해서도, 번역작업이라는 것에 대해서도 전문가가 아니기에 번역의 '전문성'에 관해 자신있게 평가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한국어 문장으로는 매끄럽게 읽히지 않게끔 번역되어있다는 것만은 지적할 수 있겠다 주술구조가 갖춰지지 않은 비문도 몇몇 있고, 어절의 순서를 굳이 왜 이런 식으로 두어 번역했을까 싶은 문장들이 매우 많다

그래서 이 책은 해당 분야에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 한정으로,논리철학, 언어철학, 형이상학에서 이뤄진 논의들을 주제별로 개관하거나 필요에 따라 한 주제를 간략히 정리해보는 데에 읽는 의의가 있다고 평가하고싶다 지적되었듯이 서술은 압축적이지만, 다뤄지고 있는 주제별 항목들 자체는 매우 세세하기에, 원저자의 말대로 개별 주제들에 대한 서문격의 글로서 활용한다면, 이 분야에 대해 알던 지식을 조금 더 다듬는 데에는 분명 일익이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