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사생활 아이의 사생활 시리즈 1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 지음 / 지식채널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내 아이가 어렸을 때 이런 책과 프로그램을 볼 수 있었던 것에 감사한다 ..

작년에 매우 감명깊게 보았던 프로그램인데 ..
올해 2편이 제작되었고 .. 또 책으로도 출간되었다 ..

책은 방송내용을 충실하게 담아낸 것은 물론 ..
방송에서 다루지 않았던 많은 내용들을 보강하였다 ..

프로그램에서 다룬 가장 핵심적인 아이의 품성 두가지는
'도덕성'과 '자아존중감' ..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도덕적인 사람은 손해본다고 생각할텐데 ..
프로그램은 절대 그렇지 않음을 보여준다 ..

도덕성이 높은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자제력(만족 지연능력)과 집중력이 높고 ..
과잉행동과 공격성이 낮아 또래관계가 좋으며 ..
미래의 인생관이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
삶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사고를 하며 ..
삶의 주인의식이 높고 좌절극복 능력이 높기 때문이란다 ..

즉 도덕적이면 단기적으로는 손해보는 것 같지만 ..
장기적으로 보면 도덕성은 커다란 강점이 된다는 것 ..

'도덕성' 못지 않게 중요한 품성이 '자아존중감(self-esteem)'인데 ..
자존감은 신체상, 자아상, 공감능력, 리더십, 성취도와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한다 ..

무서운 사실은 부모의 자존감이 아이에게 대물림된다는 것 ..

그리고 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긴밀하게 관련되는데 ..
아이의 자존감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먼저 공감하고 다음에 문제해결 방안을 찾으라는 것 ..
목표했던 것을 스스로 해냈을 때 아이의 자존감은 높아진다는 것 ..
그래서 아이가 잘 못하고 안쓰러워 보여도 ..
아이가 스스로 하도록 기다려 주는 ..
부모의 여유로운 마음가짐과 인내심이 중요하다는 것 ..
아이가 스스로 호기심을 보이는 것에서 작은 성공을 많이 맛보게 하라는 것 ..
불행한 아이는 부모가 그 아이를 억지로 조작하려고 할때 생긴다는 것 ..

이 밖에도 20개월 사내아이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특히 기억에 남는 것은 ..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뇌는 서로 다르고 ..
다른 순서로 발달한다는 것 ..

하지만 사과와 오렌지가 다르듯이 ..
이러한 차이가 열등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 ..
이러한 차이를 알고 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 ..
특히 남자아이의 경우 좀 더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가 스스로 준비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

욕심을 버리고 여유로운 태도와 인내심을 갖자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거벗은 통계 - 숫자의 난세를 이기는 지혜로운 통찰
발터 크래머 지음, 염정용 옮김 / 이순(웅진)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매우 쉽고 가볍게 쓰여진 책 ..

뉴스, 신문기사, 각종 통계 수치, 설문조사 결과, 정교한 수치, 도표, 그래프 ..
이런 것들에 속지 않기 위해서 꼭 읽어야 할 책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 앞의 야만인들 - RJR 내비스코의 몰락
브라이언 버로.존 헤일러 지음, 이경식 옮김 / 크림슨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오비맥주를 약 18억 달러(2조3천억)에 인수한 외국 사모펀드는 ?
바로 콜버그 크래비스(KKR, Kohlberg Kravis Roberts & Co.) 다 ..

이 KKR의 거래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아마도
RJR내비스코라는 담배 및 식품 회사를 LBO방식으로 인수한 사례일 것이다.

이 책은 바로 1988년 10월에 발생한 RJR내비스코 인수 전쟁과
관련된 긴박했던 순간들을 세밀하게 그려낸다 ..
당시 KKR은 내비스코를 250억 달러에 LBO 방식으로 인수했는데
이 거래는 LBO역사상 최대 규모의 LBO 이자
LBO시대의 대미를 장식한 사건이었다 ..

내비스코 인수전쟁은 내비스코의 최고경영자인 로스 존슨이 MBO를 선언하면서 시작된다
로스 존슨 진영에는 시어슨 리먼(Shearson Lehman Hutton)과
살로먼 브라더스(Salomon Brothers)가 포진하고 있었는데 ..
두 회사 모두 1980년대 중반이후 월가를 지배했던 LBO 시장에서 소외되어 있던터라
어떻게든 LBO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내비스코 인수에 총력을 기울이게 된다.

로슨 존슨 진영에 대항하여 전쟁을 선언한 곳이 바로
80년대 LBO시장의 제왕이었던 KKR 이다 ..
KKR진영에는 드렉셀 번햄 램버트와 모건 스탠리가 참여했는데 ..
당시 LBO 뒤에서 거대한 현금지급기 역할을 했던 것이 바로 정크 본드였는데
드렉셀 번햄이 당시 정크 본드의 제왕이었다 ..

처음 내비스코 경영진과 시어슨 측이 제시한 가격은 주당 75달러 ..
하지만 두 진영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결국 KKR이 주당 109달러에 내비스코를 최종 인수하게 된다 ..

내비스코 인수 전쟁에는 이 두 진영이외에도
골드만 삭스와 메릴 린치를 포함하여
내노라하는 월가의 모든 투자은행들이 총 출동하였는데 ..
그 중에서도 인수전쟁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곳이
포스트먼 리틀 진영과 퍼스트 보스턴 진영이다 ..
LBO 시장을 타락시킨 크래비스와 로버츠를 심판하기 위해
게임에 참여한 포스트먼 리틀은 월가의 다양성을 보여준 매우 독특한 인물이었고 ..
퍼스트 보스턴의 도전은 다소 무모한 편이었지만
세법의 허점을 교묘하게 파고든 전략이 상당히 흥미로웠다 ..

결국 KKR이 내비스코를 인수했고 살로먼과 시어슨 진영은 치명상을 입게 된다.
전쟁에 참가했던 당사자들은 대부분 이 사건 이후 별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
살로먼의 존 구트프룬드 회장은 1991년 뇌물 사건을 일으킨 뒤
살로먼 브라더스에서 물러났고 살로먼은 스미스 바니 그룹에 인수된다 ..
정크본드의 제왕 마이클 밀켄은 감옥에 갔고 드렉셀 번햄은 파산했다 ..
내비스코를 인수한 KKR 역시 워낙 엄청난 자금을 들여 인수한 탓에
별로 재미를 보지 못하고 1995년 내비스코를 정리한다 ..

이 책은 내비스코 전쟁에 참가했던 주요 인물들과 기업들의
과거와 당시 모습을 세밀하게 포착해내고
인수전쟁이 일어난 그 시점을 곁에서 지켜보듯 생생하게 그려냈다 ..

LBO와 정크본드의 80년대 ..
탐욕으로 미쳐 돌아가던 월스트리트의 한 단면을 생생하게 묘사한 대작이다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이어스 포커 - 월가 최고 두뇌들의 숨 막히는 머니게임
마이클 루이스 지음, 정명수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1979년 10월 폴 볼커 연준위 의장은
통화 공급은 고정될 것이고 금리는 자유롭게 변동될 것이라고 발표한다 ..
그리고 채권시장의 황금시대가 개막된다 ..
황금시대는 1985년 정점을 지나 1988년 막을 내렸고 ..
이 시대의 주역은 살로먼 브라더스였다 ..

저자는 채권시장의 정점이자 살로먼의 최고 전성기였던
1985년에 살로먼에 입사해서 회사가 기울어져 가던 1988년 초까지
런던 사무소에서 채권 세일즈 업무를 담당했던 인물이다 ..
지금은 여러 권의 베스트셀러 경영 서적 저자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
저자가 런던 사무소에서 채권 세일즈를 했던 방식을 읽다보면
왜 책 제목이 라이어스 포커인지 이해할 수 있다 ..

1980년대 레이건 정부는 국채를 발행해 적자를 충당했고
재정적자와 경상수지적자라는 쌍둥이 적자를 만들어낸다 ..
이 시기 미국 정부와 기업들은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하게 차입규모를 늘렸고 ..
정부와 기업 외에도 새로운 차입자들이 대거 등장하게 되는데 ..
개인들 .. 바로 주택소유자들이다 ..
개인들은 주택담보대출(모기지)를 받아 집을 샀고 ..
모기지 채권시장을 개척한 살로먼은 돈방석에 안게 된다 ..

이 책은 1980년대 미국 최고의 채권 전문 투자은행이었던 살로먼 브라더스가
1979년 봄 월가에서 처음으로 모기지 증권 부서를 만들게 된 순간부터
1988년 구조조정을 겪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1980년대 미국 채권 시장, 특히 모기지 채권 시장의 변화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

특히 주택 담보대출이 모기지채권(MBS)으로 바뀌고
조기상환 위험을 갖고 있던 모기지채권의 결정적 약점을 극복해내기 위해
1983년 CMO가 등장하기까지의 이야기는
2008년 전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의 씨앗이 잉태되는 바로 그 순간의 모습으로
지금 읽어보니 특히 더 흥미롭다 ..

월스트리트의 변방이었던 채권시장이 황금 알을 낳는 거위가 되고
살로먼의 모기지 부서가 회사에서 가장 돈을 잘 버는 부서가 되는 과정 ..
1980년대 초반 살로먼이 채권시장을 사실상 독점하던 시기를 지나
경쟁이 치열해지고 내리막길을 걷게 되는 과정은
삶의 모습과도 많이 닮아 있다 ..

1980년대 초반 채권시장을 독점하다시피한 살로먼이 놓치고 있었던 분야가 정크본드인데 ..
1980년대 후반은 정크본드 시장을 창조한 드렉셀 번햄의 마이클 밀켄 시대였다 ..
저자는 책의 후반부에서 넘치는 정크본드 투자자금을 처리하기 위해
1985년 LBO 시장이 탄생되는 모습과
1986년 드렉셀 번햄이 살로먼을 제치고 월가 최고의 투자은행으로 등극하는
과정에 대한 얘기도 곁들인다 ..

1987년 9월 살로먼은 로날드 페렐만과 드렉셀에 의해 적대적 M&A의 대상이 되는데 ..
이 과정에서 워렌 버핏이 살로먼의 백기사로 개입하게 된다 ..
이 후 살로먼은 직접 LBO시장에 뛰어드는데 결국은 실패하고
점점 내리막길을 걷다가 결국 스미스 바니 그룹에 흡수되는 운명을 맞는다 ..
살로먼이 LBO시장에서 실패한 이야기는
'문앞의 야만인들(Barbarians at the gate)'라는 책에 생생하게 담겨있다 ..

1980년대 채권시장의 모습, 월가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낸 뛰어난 책이다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설득의 심리학 2 - Yes를 끌어내는 설득의 50가지 비밀 설득의 심리학 시리즈
노아 J. 골드스타인 외 지음, 윤미나 옮김 / 21세기북스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기본적인 내용은 치알디니의 전작인 '설득의 심리학'에 모두 나온 것들인데 ..
거기에 풍부한 사례와 실험 결과들이 덧붙여졌고
구체적으로 응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침들과 아이디어들이 제시되어 있다 ..

치알디니의 전작은 너무나 유명한데 ..
워렌버핏과 함께 버크셔 헤서웨이를 이끌고 있는 최고의 투자자 찰리 멍거는
이 책의 저자인 치알디니와 '설득의 심리학'이라는 책이 너무나 마음에 들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버크셔 헤서웨이 주식을 공짜로 치알디니에게 선물했다고 한다 ..

실제로 책에 나온 심리적 통찰들을 알고 실천한다면
삶의 다양한 분야에서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이런 심리적 통찰들은 윤리적으로 이용되어야 하는데 ..
그렇지 않을 경우 단기적인 이익을 얻을지는 몰라도
대개 장기적인 손실이 뒤따를 것이라고 저자는 경고한다 ..

세상을 현명하게 살기 위해 꼭 읽어볼 책이다 ..

http://blog.naver.com/moot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