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방 과학자의 인문학 필사 노트 - 인문학을 시작하는 모든 이를 위한 80 작품 속 최고의 문장들
이명현 지음 / 땡스B / 2025년 3월
평점 :
*이 글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직접 읽고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작성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흔히 학문을 문과와 이과로 구분한다.그러다 보니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거리가 멀게 느껴진다.이 책은 그런 과학과 인문학 사이에서 다리를 놓아주는 책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이 책에서는 과학자인 저자가 자신이 읽은 책을 쉽게 풀어서 소개해준다.그 안에는 과학 교양서도 있지만 인문학과 관련된 책이 여럿 포함된다.인문학 전공자가 아닌 저자가 인문 교양서를 쉽게 풀어서 소개해주니 더욱 흥미로운 책이다.또 그 과정에서 책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좋은 문장도 소개해준다.비록 책의 내용을 모두 기억하지는 못하더라도 책의 정수가 되는 좋은 문장을 기억한다면 독서한 보람이 있다고 생각된다.
과학, 인문학, 예술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이 책에 소개된 책들은 과학, 인문학, 예술의 경계를 뛰어넘는다.책을 읽으면서 학문의 경계를 뛰어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학문의 경계를 뛰어넘다 보면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도 더욱 풍성해질 수 있다.책 속 저자의 단상은 이미 읽은 책도 또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과학 교양서를 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일도 학문의 경계를 뛰어넘는 일이다.어떤 사람들은 학문의 경계를 뛰어넘는 일을 통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이 책도 통섭의 매력을 느껴볼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통섭에 관심이 있다면 이 책의 매력에 매료될 것이다.
사색은 서로 다른 학문들 사이에 다리를 놓는 일에 도움이 된다.학문의 경계를 뛰어넘는 일도 사색에서 출발한다.책을 읽고 저자의 사색이 이 책을 빛나게 만들어 준다고 생각했다.저자는 쇼펜하우어, 마키아벨리, 장자의 글을 사색의 재료로 삼는다.그래서 이 책은 고전과 저자의 사색을 모두 만나볼 수 있는 책이다.또 그 고전과 사색을 필사하기도 좋은 책이다.저자가 선별한 문장과 저자의 사색은 모두 음미할 가치가 충분하다.고전 독서에 관심이 있다면 이 책에 길잡이 역할을 맡겨도 좋다.고전 독서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마중물 같은 책이라는 생각도 들었다.교양과 고전에 관심이 있다면 적극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