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레놀이 독이 되는 경우
최초의 항암제가 태어난 배경

약이 독이 되고 독이 약이 되는 예는 우리가 어렵지 않게 접한다. 오랫동안 진통제로 널리 쓰인 아스피린이 위궤양을 일으킨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그 자리를 빠르게 차지한 타이레놀은 현존하는 진통제 가운데 가장 안전하다고 평가받는다. 타이레놀의 주성분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안전성이 입증되어 편의점에서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아세트아미노펜을 기준량보다 많이복용하거나 알코올과 함께 복용하면 치명적인 간 손상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타이레놀 10그램을 24시간 안에 복용하거나 소주세잔과 함께 복용할 경우 급성 간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타이레놀과 달리 독이 약이 되는 예도 있다. 황산 머스터드, 일명겨자가스로 1차세계대전에서 화학병기로 사용되던 강력한독성 물질이다. 겨자가스가 피부에 닿으면 화학적 화상이 일어나며 수포가 생긴다. 신체 면적의 50퍼센트가 넘게 겨자가스에노출되면 며칠에서 몇 달 안에 사망하고, 호흡기로 겨자가스를들이마셨을 경우에는 폐부종으로 치명적인 손상을 받을 수 있다. 그런데 미국의 약학자들이 겨자가스의 작용을 연구하던 중,
겨자가스가 피부로 흡수된 뒤 골수와 림프선에 손상을 입히는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림프종 치료제를 만들려고했다. 겨자가스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든 항암제는 효과가 있었지만, 부작용이 심해서 실용화되지는 않았다. 이 약이 최초의항암제, 머스타젠이다. - P2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핵무기에 몰두하는 누군가가 떠오른다.

방울뱀도 사람을 몇 시간 만에 사망시킬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독을 지녔다. 하지만 신체능력이 강력한 독으로 몰리는 약점이 있다. 그래서 방울뱀은 몸을 숨기고 먹잇감을 기다리는 사냥법밖에 쓸 수 없다. 기어가는 속도가 느리고 조이는 힘이 약하기때문이다. 또한 방울뱀은 독이 통하지 않는 상대를 위협할 수단이 없다. 그래서 방울뱀은 포식자이면서도, 북아메리카에 널리분포하는 킹스네이크의 먹이가 된다. - P2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왕개미, 여왕벌 위에 일개미, 일벌


일개미는 스스로생식 기능을 포기한 대신 개미 사회 전체가 더 효율적으로 움직이고 여왕개미가 제구실을 다 하도록 돕는다.
물론 여왕개미와 수개미도 마찬가지다. 여왕개미는 이름과 다르게 개미 사회에서 아무런 결정권을 갖지 못한다. 집을 넓히거나 이동하는 것, 다른 개미와 전쟁을 벌이는 것 등 중요한 결정은모두 일개미의 몫이다. 여왕개미는 알을 낳는 기계와 같다.
수개미는 여왕개미보다 형편이 더 안 좋다. 때가 돼 결혼비행을 마친 수개미는 모두 수명이 다해 죽는다. 또한 식량 부족과 같은 위기가 오면 수개미가 가장 먼저 버려진다. 평소에 개미 사회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벌 사회도 이와 비슷하다. 특히 꿀벌의 사회는 개미 사회와 거의 같은 모습을 보인다. 수벌은 짝짓기만을 위해 존재하고, 먹이를 모으고 벌집을 만드는 일은 모두 일벌이 한다. 여왕벌은 집 안에서 알을 낳는다. 여왕벌이 나이가 들어 제구실을 하지 못하면,
일벌들이 여왕벌을 죽이고 새로운 여왕벌을 만든다. 일벌이 애벌레를 기르기 위해 몸에서 만드는 로열젤리를 성체가 될 때까지 먹으면 여왕벌이 되고. 먹이를 꿀과 꽃가루로 바꾸면 일벌이 된다.
- P2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당한 항원이 건강한 조직을 만든다.
반대 목소리를 적으로 규정해 지우려고 할수록 조직은 병이 든다.

#기생충 #돼지편충

기생충이 자가면역질환 병세를 호전시키는 원리는 두 가지다.
첫째, 스스로 생존을 위해 면역세포의 움직임을 둔화시키는 것이다. 기생충에 감염되면 조절 T세포가 늘어나는데, 이 세포가면역 반응을 조절해 균형을 잡는다. 둘째, 해를 끼치지 않는 약한면역 항원이 체내에 계속 존재함으로써 인체의 면역 체계가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게 한다. 돼지 편충처럼 해롭지 않은 기생충이 체내에 존재하면, 면역체계는 인체에 해로운 항원과 해롭지 않은 항원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즉 정상세포를 공격하지않게 되는 것이다. - P1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끼 핀 나무를 보면 평온을 느끼는 이유. 엄마를 만났으니까.

비가 오면 최대 40배의 물을 스펀지처럼 머금었다가물이 부족해지면 수분 98퍼센트를 잃을 때까지 잎을 말고시련을 이겨 낸다.
그래서 나무에, 그래서 바위틈에, 그래서 절벽 아래,
누구도 살 수 없는 곳에서누군가 살 수 있는 터전을 만드는 이끼,
이끼가 사는 곳엔 나무가 나타나고이끼가 사는 곳엔 작은 곤충이 나타나고이끼가 사는 곳엔 곤충의 포식자인 새들이 나타난다.
이렇게 생태계가 형성되면 이끼는 자기 자리를 넘겨주고고등식물이 살 수 없는 척박한 곳으로 다시 떠나간다.
그래서 이끼의 꽃말은 ‘어머니의 사랑‘.
지구상에서 새장 속 카나리아와 같은 지표식물이끼. - P1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