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기후의 변화를 조사한다에서 나오는 중생대의 기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으로 부터 2억 4,000만 년~ 6,400만 년 정도 전까지를 '중생대'라고 합니다. 이 시대에 이르러서 기후는 다시 온난해지기 시작합니다. 남극과 북극의 연평균 기온이 8~9도 나 되었습니다. 현재 온대 지방에서 발견된 그 당시 지층에서는 은행나무나 양치류의 화석이 많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1) 트라이아스기와 쥐라기 

트라이아스기의 건조했던 대륙에서는 대형의 파충류가 나타났습니다. 또 쥐라기에는 바다에도 파충류가 번식하였습니다. 몸길이가 30m나 되고 체중이 40t이나 나가는 공룡이 나타난 것도 바로 이 시대의 일입니다. 바다에 사는 파충류로는 어룡, 우룡,판치류 등이 있었으며, 양서류로는 머리의 크기가 1m 이상인 대형 견두류도 있었으나 트라이아스기 말에 멸종하였습니다. 쥐라기가 되면서 파충류보다 더 진화된 조류인 시조새도 나타났습니다. 또 트라이아스기가 끝나갈 무렵에는 원시적인 작은 포유류도 나타났습니다. 

중생대 중기 무렵은 바다에서는 암모나이트, 육상에서는 거대한 공룡의 전성기였습니다. 일본의 야먀구치현 미네시의 서북부에 있는 오미네의 무연탄갱에서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의 거대한 양치식물의 화석이나 바퀴벌레와 다른 곤충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당시의 이 주변 지역은 상당히 온도가 높았으며, 다습한 기후였음을 알수가 있습니다. 

이 곳의 곤충 화석은 오스트레일리아나 유럽에서 발견된 같은 시대의 곤충과 많이 닮았습니다. 또한 트라이아스기에는 빙하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고 있어 이 시대는 세계적으로 온난한 기후였던 것 같습니다. 식물로는 양치식물 이외에 송백류, 소철, 은행나무 등의 겉씨식물이 트라이아스기 후반부터 번성하였고, 이 시대는 따뜻한 기후였기 때문에 산호초가 시베리아와 알래스카까지 퍼져 있었습니다. 

나는 오늘 이 책을 읽고 트라이아스기시대와 쥐라기 시대를 더 많이 알게되어서 기쁘다. 그리고 그 시대는 따뜻한 기후여서 산호초가 시베리아와 알래스카까지 퍼져 있었다는 것도 알게되어서 기쁘다. 더욱더 과거의 일을 알게되는 것 같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송운 2012-11-05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ㅋㅋㅋㅋㅋㅋㅋ

훈정빈 2012-11-05 1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대박

예진 2012-11-05 1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글씨가 쬐끔하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주 끝으로의 여행이라는 책에서 태양계의 크기를  알아보도 록 하겠습니다. 

지구 바깥의 천체와 달까지의 거리가 구해졌습니다. 그렇지만 그것만으로 태양계의 넓이를 구할 수는 없습니다. 달 다음으로 지구 가까이에 있는 금성도 4,200만km의 거리에 있습니다 이렇게 금성은 지구에서 너무나 멀리 있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를 구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망원경을 사용하여 금성을 관측하게 되면서,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정밀도가 나빠서 1억 km ~ 2억 km 정도였습니다. 그래도 전혀 모르는 것보다는 많이 발전했지요. 

헐.. 망원경의 정밀도가 나빠서 1억km에서 2억km정도였다고 해도 그것은 너무 긴거 아닌가?
만약 정밀도가 좋다면 5~6억km는 가겠네...  옛날에는 망원경이 이런 것들이 있었나?
 

별을 더 정확하게 관측하기 위해서 좀 더 정밀도를 높일 수는 없을까요? 태양계에 있는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의 순 입니다. 이중에서 지구와 가장 가까운 행성은 금성입니다. 1801년에 발견된 '세레스' 라는 천체가 있습니다. 이것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를 도는 천체로, 보통의 행성보다 상당히 작아서 소행성이라고 부릅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는 세레스오 같은 소행성이 잇따라 발견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소행성은 화성과 목성사이에 머물러 있지만, 예외적인 궤도를 지닌 소행성도 몇개 발견했습니다. 화성의 궤도를 가로질러 지구 궤도까지 접근하고, 지구 궤도 의 안쪽까지 도달하는 것도 여러개 발견했습니다. 

지구 궤도를 가로지른다는 것은 지구 바로 옆까지 접근한다는 뜻으로, 달보다 가까운 곳까지 온 소행성도 있습니다. 만약 이 소행성과 지구가 충돌하게 되면 지상에서는 엄청난 일이 일어날 것입니다. 공룡이 멸종된 것도 소행성과 충돌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다행히도 이런 충돌이 일어날 가느성은 희박하기 때문에 그다지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처럼 지구에 접근한 소행성까지의 거리도 정확히 재면, 곧 태양계 전체의 크기도 정확히 구할 수 있습니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는 1억 4,958만 8,000km로 정확히 구햅집니다. 이 수치는 항성의 세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수치이므로 잘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나는 오늘 이 책을 읽고 태양계에 대한 길이와 또 다른 소행성들의 크기, 그리고 항성의 크기를 알게되어서 기쁘다. 나는 나중에도 이런 책들을 읽고 과학에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동물들에 관한 질문과 그 대답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닭이 유리 조각이나 모래를 먹어도 아무렇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요?
 

닭은 해부해 보면, 식도 다음에 '근위' 라는 근육이 발달된 부분이 있습니다. 이것을 갈라보면 속에 작은 돌멩이나 모래, 때로는 사기나 유리 조각 등이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모래주머니'라고 합니다. 새에게는 알려진 바와 같이 이가 없으니까 먹을 것을 쪼아 먹으면 그대로 식도로 넘어가 그 중간에 있는 장소에 저장됩니다. 이것을 '모이주머니' 라고도 합니다. 이곳에서 조금씩 근위로 들어가고, 여기서 작은 돌멩이나 모래로 잘게 부수어져 소화되기 쉽게 됩니다. 여기에있는 작은 돌멩이나 모래는 이의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닭은 항상 이런 것을 먹어서 보급하고 있습니다. 

아하! 닭의 근위라는 근육이 발달된 부분이 있어서 작은 돌멩이나 모래, 때로는 사기나 유리 조각등을 먹을 수가 있는 것이구나! 신기하다. 그리고 작은 돌멩이를 모래로 잘게 부수어져 모이처럼 만들수도 있는 구나!!  

2. 개는 왜 전주(전봇대)에 대고 오줌을 눌까요? 

숙캐는 전주가 있으면 먼저 냄새를 맡습니다. 그리고 오줌을 눕니다. 어쩌면 이렇게 오줌이 꼭 있을까 할 정도입니다. 어째서 오줌을 눌까요? 사실은, 그 오줌속에는 자신만 아는 오줌이 있습니다. 이것을 페로몬이라고 하며, 이것은 자기의 점유 구역이라는 사실을 다른 개에게 알리는 것입니다. 이런 행동을 마킹이라고 합니다. 

예로부터 '눈이 오면 개와 아이들이 좋아한다' 고 합니다. 분명히 여러분은 기쁘죠. 개도 힘차게 눈속을 뛰어다니고 오줌을 누며 돌아다닙니다. 이것은 눈으로 냄새가 지워지고, 자기의 점유 구역을 잃어버려 다른 친구의 구역을 침범할 수 있어 기뻐서 눈속을 뛰어 돌아다니는 것은 아닙니다. 페로몬은 보통 몇백만분의 일이라고 하는 농도니까 같은 동물끼리는 서로 알겠지만 우리는 알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개미가 먹을 것을 발견하고 동료에게 알리기 위해 집에 돌아올 때 페로몬을 방울방울 흘리며 돌라와 동료들은 그에 의해서 찾아가, 이른바 '개미의 행렬' 이 이루어집니다. 이것을 '길안내 페로몬 ' 이라고 합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닭은 유리 조각이나 자갈같은 작은 돌멩이를 먹어도 아무런 감각이 없는 이유와 개는 전봇대에 대고 오줌을 누눈가를 알게되어서 기쁘다. 나도 강한 근위가 근육이 발달되었으면 유리 조각도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닌가? 암튼 이런 책들은 역시 재미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지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지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구는 약 50억 인간을 싣고 우주 공간을 끝없이 비행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내부는 마치 반숙한 달걀과도 같습니다. 왜 반속한 달걀과 같다고 했는지 아십니끼? 그 이유는 반숙한 달걀처럼 지구의 내부가 단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지구의 표면부터 차례차례 살펴보면서 함께 알아봅시다. 

우선 달걀의 껍데기에 해당하는 부분이 지구 표면인 지각입니다. 그리고 달걀의 흰자위는 지구의 맨틀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지각과 맨틀 윗부분의 일부를 합쳐서 달걀 껍데기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한가운데 있는 노른자위에 해달하는 부분이 지구의 핵에 해당합니다. 핵은 고체인 중심 부분과 그 주위에 녹아서 액체 상태로 되어 있는 부분으로 나뉘어 집니다. 

여러분은 혹시 땅에 구멍을 파 본 적이 있습니까? 만약, 그런 일이 있었다면 어느 정도로 깊은 구멍이었나요? 구멍을 어느 정도 깊이 파야 맨틀이나 핵을 볼수 있을까여? 그리고 지구 중심을 향해서 계속 깊은 구멍을 파보기로 합니다.  

이제부터 구멍을 뚫는다고 해도 이 일은 단지 상상에 지나지 않으므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높은 백두산의 정상을 출발지점으로 택하기로 하지요. 백두산 정상의 높이는 해발 2,744m 정도 됩니다. 얼마나 흥미로운 탐험이 될지 매우 기대가 되는 군요! 

나는 오늘 이 책을 읽고 지각과,맨틀,지구의 헥을 알게되어서 기쁘다. 그리고 만약 구멍을 파보면서 핵을 볼수 있냐면 거의 500년 이상 가야된다고 생각한다.  나중에도 이런 과학에 대한 것을 많이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에는 우주에 관한 질문을 하고 대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구는 오른쪽으로 도는데, 금성은 왜 거꾸로 돌까요?
 

지구를 북극쪽에서 보면, 유성은 모두 시계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고, 서서히 거꾸로 도는 금성이외의 유성은 태양과 마찬가지로 역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자전을 하고 있습니다. 위성도 역시 대부분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며 유성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 원인은 태양계가 생겨 났을 때 그 재료가 된 막대한 성간물질이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에 의하여 전체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그러한 소용돌이에서 태양이나 모든 천체가 고정된 것이므로 원래의 운동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겠죠.서서히 그대로 금성이 거꾸로 자전하고 있는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목성, 토성의 외측 가까이에 위성이 몇개가 있는것처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특별한 원인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하! 수,금,지,화,목,토,천,해 중에서 금성이 거꾸로 돌아가는 것이구나! 그리고 목성, 토성의 외측 가까이에 위성이 몇개가 있는것처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특별한 원인이 있다는 것도 알게되었다. 이번에는 별이 하나밖에 없는 성좌가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좌란 우리가 별의 배치를 살피기 위해 신,동물,물건의 형상으로 하늘으 갈라 놓은 구역을 말합니다. 1등성과 2등성이 많이 있는 성좌는 몇천년 고대인이 자연을 통해 스스로 알 수 있는 이야기나 형체에 대해서 그러나, 중세에 들어오면서 당시 천문학자가 예전부터 전해 온 성좌를 만들어 놓은 것이 여럿이 있는데, 1687년에 출판된   독일인 헤베리우스처럼 거의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없는 성좌도 있습니다. 

그 중에는 천문학자 랜드 같이, "나는 고양이를 좋아한다. 오랫동안 내 공적을 도와주어 고양이좌를 덧붙이고 싶다." 고 주장한 사람도 있습니다. 질문의 "하나"라는 것은 4등성을 말하는 것이죠.4등성밖에 없는 성좌는 기린, 게 자리 등 많이 있고 곰자리. 펌프자리 선주자리 등은 각기 4등성 하나밖에 없습니다. 팔분의 자리는 4등성도 없습니다. 

나는 오늘 이 책을 읽고 별이 하나밖에 없는성좌가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인지도 알게되었고, 지구는 오른쪽으로 도는데, 금성은 왜 왼쪽으로 도는지도 알게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