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고 파헤치는 고고학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30
닉 아놀드 지음, 오숙은 옮김, 토니 드 솔스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부터 '파고 파헤치는 고고학'을 쓰기 전에 한 가지 쓸 것이 있습니다. 바로 고고학!!!!!! 저는 고고학이 무슨 뜻인지를 몰라서 써 봅니다. 

고고학 : 자연계에서 인간이 남긴 각종 물질적 흔적의 성격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밝혀 인간의 행위양상과 사회 ·문화 ·경제적인 여러 측면을 연구하는 과학이다. 문자가 없는 시대의 인간 역사의 이해에 필수불가결한 학문으로서, 고고학의 발달과 더불어 인류가 언제 기원하였으며, 세계 각지의 다양한 문화가 어떠한 과정을 겪어 오늘날과 같은 상태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는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근대 이전의 서양 ·동양 문화권에서도 자연적으로 발견된 고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석이 없던 것은 아니지만, 오늘날과 같은 학문체계로서의 고고학은 19세기 중반에 성립되었다. 고고학이 등장하기 이전의 고대, 특히 선사시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한 해석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화와 종교적 설명에 따라 이루어졌다. 서양에서는 성서의 《창세기》에 따라 인간은 기원전 4004년에 지구상에 등장하였다고 한 영국의 한 주교()의 해석은 서양에서 19세기 중엽까지도 널리 통용되었다.  

마찬가지로 한국과 같은 동양권에서도 고대의 석기는 흔히 오행상생설()에 따라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명이 통용되었다.  

그러나 유물의 재질에 따라 고대의 문화사를 구분하는 기준이 확립되고, 유적을 구성하는 퇴적층의 해석에 대한 방법론이 확립되며, 유물의 형태적 변화가 지닌 시간적 의미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이루어지면서 고고학이 등장하였으며, 이로부터 인간의 과거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고고학은 20세기에 들어와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내용의 종합과학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래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자료분석기법과 연대측정방법의 응용과 더불어, 고고학 연구의 시간적인 폭과 연구대상 역시 비약적으로 확대되었다.  

오늘날 고고학은 500만 년 전 무렵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지구상에서 살아오며 남긴 온갖 대상을 연구한다. 심지어 일부학자들은 현대 물질문명의 부산물인 쓰레기를 통해 현대의 물질문화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는데, 고고학의 연구영역은 계속 확대되어 나갈 것이다.
 

이것도 쓰느라 힘들군.........  

1879년 오도 블런델이라는 영국의 한 신부는 고무 옷과 무거운 금속 헬멧을 뒤집어쓰고서 고부 튜브로 숨을 쉬면서 스코틀랜드의 한 호수 속으로 들어가 보기로 했다. 이 신부는 수중 고고학의 선구자였다. 수중 고고학이란(놀라서 기절하지 말도록!!!) 물 속에서 고고학을 하는 것이다! 아니 벌써 알고 있었겠지만 다시 한 번 알려드리겠다. 

그렇지만 흠뻑 젖은 수중 고고학에 관해 시시콜콜 알지는 못할수도 있습니다. 

이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상야릇 수의 세계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107
샤르탄 포스키트 글, 필립 리브 그림, 김은지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서 나오는 규칙들은 외계에사는 악당 골락을 포함해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다. 일곱 명의 골락을 각각의 우주선에 같은 수만ㅋ므 태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우주선의 수를 바꾸는 것이다. 

골락에게는 두 가지 선택권이 있다. 7명을 모두 태울 수 있는 커다란 우주선을 타거나, 한 명씩 탈 수 있는 작은 우주선 7개를 갖는 것이다. 왜냐하면 수학에서 7은 소수이며, 이것은 수학의 세계에 있는 가장 기본적인 규칙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골락에게 반가운 소식은 6명이 남을 경우 선택권리 훨씬 많이 있다는 것이다. 6명의 골락이 하나의 우주선에 탈 수도 있고, 골락 한 명씩 우주선 6대에 나눠 탈 수도 있고, 3대의 우주선에 2명씩 탈 수도 있고, 2대의 우주선에 3명씩 탈 수도 있다. 

이것은 1, 2, 3 그리고 6으로 나눠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 자신의 수와 1을 제외한 다른 수로도 나눠지는 수를 '합성수'라고 한다. 이 합성수를 나누는 수가 '인수'이다. 여기서 6와 인수는 1, 2, 3, 6이다. 하지만 이것도 골락에게는 별로 도움이 못 된다는 것을 잊지 말자! 

나는 여기에서 모르는 단어가 있다. 바로 합성수 인수 이다. 그럼 뜻을 알아보자! 

합성수 : 1과 그 자신 이외의 수를 약수로 가지는 자연수로, 모두 소수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를테면, 4,6,8,9,30 등은 모두 합성수이다. 합성수는 모두 소수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것을 합성수의 소인수분해()라고 한다.  

인수 : 주식회사를 세우면서 발행하는 주식 중에서 각 발기인은 적어도 1주 이상의 주식을 인수하여야 하며(상법 293조), 발기인이 인수하고 남은 부분의 주식에 대하여는 공모()나 연고모을 통해 주주를 모집하게 된다.

이 때 주식인수 청약을 원하는 자는 주식청약서 2통에 인수할 주식의 종류 및 수량과 주소를 기재하고 기명날인해야 하며(302조 1항), 이 주식청약서에 의하여 주식인수를 청약할 수 있다(302조 2항).

발행한 주식이 모두 인수되면 주식인수인은 각 주식에 대한 인수가액() 전액을 주식청약서에 기재된 은행, 기타 금융기관에 납입해야 한다. 인수가액을 모두 납입하면 납입한 다음날부터 주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지니게 한다. 


그리고 책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가 있으므로 알려드리겠다. 

소인수 : 인수 중에서 소수()인 것이다. 예컨대, 12의 약수 1, 2, 3, 4, 6, 12 중에서 2와 3은 소수이지만, 1, 4, 6, 12는 소수가 아니다. 따라서 12의 소인수는 2와 3이다.  

이것으로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양전사 체육쥐 2 - 불량개의 반격
정섭 지음, 김준범 그림, 김윤성 / 스프루스(엘아이지미디어)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바다에는 우리 식탁에 올라와 우리 몸을 건강하게 지켜주는 영양식품들이 많이 있어요. 대표적인 영양식품으로는 흔히 생선이라고 부르는 물고기와 미역, 김 등 우리가 즐거먹는 바다식물(해조류)이 있어요. 

생선 : 생선은 먹을 수 있는 신선한 물고기를 말해요. 생선은 맛도 좋지만 단백질이 풍부해서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 되지요. 또 칼로리는 낮아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고 비타민과 무기질도 풍부해요. 특히 참치, 고등어, 꽁치와 같은 등푸른 생선을 많이 먹으면 피가 맑아지고 머리도 좋아진다. 

식용 바다식물(해조류) : 바다에 사는 식물 중 우리가 흔히 먹는 것들을 해조쥬라고 한다. 그런데 해조류는 크게 색깔을 기준으로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나뉘어요. 

  • 녹조류 : 녹색을 띄는 녹조류에는 파래와 클로렌라가 있어요. 파래에는 요오드와 비타민 U가 많이 들어 있고, 클로렐라는 우리가 자주 먹지는 않지만 단백질이 풍부해요. 
  • 갈조류 : 갈조류에는 우리가 자주 먹는 미역과 다시마가 속해 있어요. 다시마는 칼슘과 요오드 그 밖에 무기질이 풍부하지요. 
  • 홍조류 : 붉은 빛을 띄는 홍조류에는 김이 대표적이다. 김에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비타민도 풍부하다. 그래서 우리 인류가 아주 오래 전부터 식용으로 즐겨 왔었다. 

이렇게 식용 바다식물들에는 해조류는 크게 색깔을 기준으로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나뉘어있다. 

미역에는 갈슘이 분유와 비슷하게 720mg이나 들어 있습니다. 또한 알긴산이 들어 있어 소화운동을 도와 주고 변비에도 좋대요. 그 밖에도 비타민 B1, B2가 풍부하고 머리를 좋게 해 주는 DHA도 들어 있습니다. 

나는 미역을 잘은 먹지는 않다. 하지만 미역은 맛있다.  

멸치 : 멸치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칼슘이 많이 들어 있어요. 특히 성장기 어린이들에겐 칼슘이 꼭 필요해요. 그래야 키가 쑥쑥 자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멸치에는 머리를 좋게 하는 DHA성분도 14.1%나 들어 있습니다. 그 밖에 핵산도 풍부해서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우수성 식품입니다.  

그럼 안녕히~~ 좋은 날을 가지세요~~(have a nice ba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 동물지도책
바바라 테일러 지음, 케네스 릴리 그림, 임정희 옮김 / 대교출판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동물들은 전 세계 어누 곳에서나 살고 있다.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 황무지에서부터 뜨거운 사막에 이르기까리 나름대로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이렇게 동물이 사는 곳을 '동물의 서식지' 라고 한다. 한 서식지에서 여러 종류의 동물들이 한꼐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각 동물들이 다양한 먹이를 먹고, 다양한 장소에 집을 짓고 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여러 종류의 동물들은 서로 균형을 이루며 살 때도 있지만, 이 균형은 깨지기도 한다. 이 지도는 전 세계의 중요한 서식지를 보여 준다. 동물들은 생존에 도움이 되는 형질을 스스로 발전시킴으로써 서식지에 적응해 왔다. 

지구상에는 비슷한 서식지도 여럿 있는데, 비슷한 서식지에 사는 동물들은 적응하는 방식도 대개 비숫하다. 

극지방과 툰드라 : 살을 에는 듯한 바람, 낮은 기온, 길고 어두운 겨울이 북극과 남극을 아주 황폐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곳에도 많은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는데 특히 바다오 북극 주병의 얼어붙은 땅인 툰드라에 많이 살고 있다. 

침엽수림 지대 : 세계에서 가장 큰 숲은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북쪽 지역에 거려 널리 뻗어 있다. 침엽수림 지대 나무들은 소나무처럼 대부분 잎이 뽀족하며, 일 년 내내 잎이 푸르다. 

활엽수림 지대 : 활엽수림 지대는 침엽수람의 남쪽 지역, 즉 비가 풍부하고 기후가 따듯한 곳에 형성된다. 활엽수림 지대 나무들은 떡갈나무와 너도밤나무처럼 대부분 잎이 넓으며, 가을에 잎이 떨어지면서 추운 겨울에는 휴식기를 보낸다. 

목초 지대 : 목초 지대는 건조해서 나무가 많이 자랄 수 없는 곳에 먹이가 된다. 사바나라고 불리는 열대 목초지는 아프리카에 있으며 남아메리카의 팜파스는 기온이 좀더 낮은 목초 지대이다. 

관목 지대 : 관목 지대는 건도하고 먼지가 많으며, 거친 덤불과 작은 나무가 여기저기 흩어져서 자란다. 지중해, 호주 일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주로 겨울에 비가 내리며, 관목 지대에 사는 동물들은 길고 건조한 더운 여름에 적응하면서 살아간다. 

사막 지대 : 사막 지대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기 때문에, 동물들은 오랫동안 물 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먹이에서 필요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낮에는 아주 덥지만, 밤에는 춥기 때문에 특수한 식물이나 덩물만이 살 수 있다. 

산맥 : 산맥은 따뜻한 지역이나 추운 지역 모두에 분포한다. 산맥은 낮은 언덕 숲에서 높은 지대의 목초 지대와 툰드라에 이르기까지, 야생동물에게 다양한 서식지를 제공한다. 산은 높이오를수록 기온이 점점 낮아지는데 높이 올라가면 설선(높은 산이나 극지에서, 일년 내내 눈이 녹지 않고 남아 있는 곳과 그렇지 않은 경계선)이 나온다. 설선을 넘으면 날씨가 아주 추워서 항상 눈으로 덮여 있는 만년설이 나타난다. 

이렇게 많은 지대에서 동물들이 산다는 것이 믿기지가 않다. 험한 곳에도 살고, 추운 곳에서도 산다니!!! 나는 몰랐다. 나도 계속 책을 많이 읽어서 꼭 훌륭한 사람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학이 화끈화끈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3
닉 아놀드 지음, 토니 드 솔스 그림 / 주니어김영사 / 199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화학을 단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당연히 소리를 질려야겠지? 화학 약품 냄새를 맡으며 시험관이나 들여다보는 화학은 그야말로 "으악!" 소리가 절로 나는 끔찍한 분야. 화학은 끔찍한 과학 중에서도 가장 끔찍하다. 

화학은 왜 그렇게 끔찍할까? 평소에 그렇지 않아도 과학을 어지럽다고 느끼는 사람이 화학을 접하면 마치 진흙탕 속에 들어온 듯한 기분이 들 것이다. 화학은 여러분의 머릿속을 온통 뒤죽박죽으로 만들 것이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 crylate)와 같은 이름을 들으면 도망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을까? 그러나 그것은 실은 우리가 입고 있는 스웨터에 들어 있는 아크릴 섬유이다. 

여기서 잠깐!! 내가 모르는 단어를 알려드리겠다. 

화학 : 물질의 성질·조성·구조 및 그 변화를 다루는 학문으로, 물리학과 달리 완전한 체계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나, 라부아지에의 화학적 변화에서의 질량보존의 법칙, 돌턴의 원자설(), 아보가드로는 분자설(), 멘델레예프의 원소의 주기율표 등을 거쳐 양자역학으로 발전되어 현대화학의 기초가 거의 완성되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 섬유보강수지()·강화플라스틱이라고도 한다. 보강재로는 유리섬유·탄소섬유 및 케블라(Kevlar: 미국 뒤퐁사의 상품명)라고 하는 방향족 나일론섬유가 사용되고, 플라스틱(이것을 매트릭스라고 부른다)으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가 많이 쓰인다.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터를 유리섬유로 보강하면 큰 장력강도와 내충격성을 가지는 재료가 된다.

불포화 폴리에스터 자체는 경질()폴리염화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비해서 장력강도는 작지만, 유리섬유로 보강하면 그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장력강도는 커진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구조재료에 이용된다. FRP의 특징은 상온·상압에서의 형성이 가능하여, 특히 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난연성()인 데다가 바닷물 등에 내식성()이 좋은 점이다.

건재(), 요트·소형선박의 선체(), 욕조·컨테이너·헬멧 등에 쓰인다. 탄소섬유·케블라 등과 에폭시수지의 복합재료는 유리섬유 복합재에 비해서 가볍기 때문에, 단위 무게당의 강도(이것을 라고 한다)가 다른 재료와 비교해서 매우 크다. 가볍고 강한 특징을 살려서 항공기의 기재()로 쓰인다.

[그림]과 같이 탄소섬유와 에폭시수지의 복합재를 사용하면 기체의 무게를 약 30% 가볍게 할 수 있고, 날개 면적도 30% 정도 감소할 수 있다. 에폭시수지와 유리섬유로 된 적층판()의 표면 등에 동박()을 입히고, 또 광감광성() 필름을 붙인 것은 산업용 전자기기() 재료로서 대량 생산하고 있다. 

이 뜻은 바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쓰이는 부분이다. 그럼 안녕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