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잠에서 깼음에도 바로 일어나지 못하고 이불 속에서 뒹굴뒹굴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 많다. 이유를 물어보면 좀 더 자고 싶고 곧바로 일어나기엔 어딘가 억울한 기분이 들어서라고 하는데, 이러한 습관은 매우 좋지 않다. (E북)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팍스(평화)는 우열이 없는 나라끼리의 대화를 통해 성립되기보다는 절대적으로 우세한 나라의 조정이나 판정을 통해, 또는 부득이한 경우에는 물리적인 힘을 통해 성립될 확률이 더 높은 것이 인간 세계의 현실이기도 하다. 팍스 로마나, 팍스 브리타니카, 팍스 아메리카나라는 말부터가 이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 P232

분노나 복수는 상대를 자신과 대등하게 여기기 때문에 생기는 감정이고 일어날 수 있는 행위다. 카이사르가 평생 이것과 무관했던 것은 분노나 복수가 윤리 도덕에 어긋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우월성에 확신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월한 자신이 왜 열등한 타인의 수준으로 내려가서그들과 똑같이 분노에 사로잡히거나 그들과 똑같이 복수심을 불태워야 하는가. - P245

자기 개혁, 특히 자신의 능력에 자신감을 갖는 데 익숙해진 사람들의자기 개혁만큼 어려운 일은 없다. 하지만 이것을 게을리하면 새 시대에 맞는 새로운 체제를 수립하기는 더욱 불가능해진다. 그라쿠스 형제이후, 로마 엘리트들의 고민은 바로 이 점에서 출발했다. - P301

실업은 당사자의 생활수단을 빼앗는 데 그치지 않고 자존심을 유지하는 수단까지 박탈하는 것이다. 보통 사람은 무슨 일이든 일을 함으로써 자신의 존재이유를 스스로 확인한다. 따라서 실업 문제는 복지로는 해결되지 않고, 일자리를 주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 된다. - P3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키케로는 로마의 ‘매스컴’을 대표하지만, ‘매스컴’은 견인차가 될 수 없다. - P211

마키아벨리는 민주적인 토론으로 매사를 결정하는 습관이 없는 민족에게 그런 습관을 이식하려고 애써봤자 헛수고라고 말했다.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각자 하는 역할이 다르고 또 사람에 따라 다르고, 인생의 어느 시기에 만나느냐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에서는 수학 교육에 대한 자아비판을 너무 좋아합니다. 수포자라는 인식 역시 그런 데서 나온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3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들어 나는 생물학자 프랑수아 자코브Francois Jacob의 말을 자주 떠올린다. .. 그는 1977년에 쓴 〈진화와 땜질Evolution and Tinkering〉이라는 논문에서 과학적 사고의 형성에 대한 의견을 표명했다. 그는 보편적인 질문에 대한 집착이 구체적인 질문의 탐구로 바뀌는 과정에서 현대 과학이 탄생했음을 강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