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 - 이야기로 만나는 한글 세상 궁금해요 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지음 / 시공주니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


국립한글박물관 기획 및 편저

시공주니어 펴냄




조금은 생소한 책을 만났다.

시공주니어의 '궁금해요 박물관 시리즈'로, 우리나라 주요 박물관 정보를 재미있게 소개하는 시리즈다.

국립한글박물관의 상설 도록인 '한글이 걸어온 길'을 바탕으로 기획하여 펴 낸 책이라고 한다.

 국립한글박물관에 전시된 내용을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내어, 한글의 가치와 역사를 자세히 설명해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국립한글박물관에 대해서 잠깐 소개해보려 한다.

이 책을 읽기 전엔 국립한글박물관이 있는 줄 미처 몰랐기에..


2014년 10월 9일에 한글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문을 열었는데,

위치는 국립중앙박물관 바로 옆이다.

주소는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9

상설 전시실에서는 '한글이 걸어온 길'을 전시하고 있고,

기획전시실과 한글 놀이터와 한글 배움터가 있다.

전시 관람과 활동을 통해 한글을 쉽게 이해하고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등장인물들이 친근한 캐릭터로 소개되어 있다.


아이들을 이끌며 전시 설명을 해주는 '학예사'라는 인물이 소개되었는데,

이 학예사에게는 신비로운 힘이 있다.

아이들이 학예사에게 눈을 맞추고 손을 잡으면, 유물과 관련된 세계로 직접 가 볼 수 있다!

이 책은 한글 세계로의 흥미로운 모험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학예사는 큐레이터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관람객을 위하여 전시회를 기획·개최하고, 작품 또는 유물을 구입·수집·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 또는 그 직업을 가리킨다.

 

 

 

한글 창제 이전의 표기법인 향찰과 이두를 설명하는 그림.


향찰과 이두는 고등학교 때 배우는 내용인데,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에는 좀 어렵다. 보기만해도 그럴 거다.^^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해서 우리말 순서대로 문장을 표기하는 방법인데,

 이렇게 한자를 활용할 수 밖에 없었던 불편함이 한글 창제의 이유가 되었다는 것이 자연스레 설명이 되는 장면.

'한글이 없었다면 어쩔뻔 했어!' 라는 말이 절로 나올 듯..^^


이러한 백성들의 '불편함'을 돌아보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한글을 만들 생각을 했다는 것이 바로 세종대왕의 훌륭한 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글 창제를 기점으로 언어의 발전은 물론이고, 언어를 기반으로 한 모든 분야에서 당시로서는 상상도 못할 발전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세종대왕이 알게 된다면.. 얼마나 놀라워 하실까.. 언어의 힘이란 바로 그런 것.

 

 

 

 

한글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알기 쉽게 그림으로 표현되었다.


 

 

용비어천가.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 사진도 구성되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독자들이 쉽고 친근하게 이해할 수 있는 그림 자료들. 

 

책 중간중간에 QR코드가 삽입되어 있어서

아래 예시처럼 좀더 상세한 내용을 공부할 수 있다.

 

 

 

아이코, 윗부분에 '정형필'이라고 오타가 있네요.

플레이 하면 다음과 같은 영상이 나옵니다.

 

 

박물관을 방문하기 전에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조금은 지루할 수 있는 박물관 관람이 즐거워질 수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을 보면 반가울테니까..^^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쉽게 설명되었지만, 한글에 대한 모든 지식이 담겨 있다.

학교에서도 이 책을 활용하여 한글에 대해 배울 수 있다면 좋을 듯!

선생님들, 많이 활용해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