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둥이 강민우 저학년을 위한 꼬마도서관 7
김혜리 지음, 심윤정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2년 5월
장바구니담기



정말 유쾌하고 귀여운 녀석을 만났다. 책 표지부터 어찌나 익살맞던지 읽기도 전에 괜한 기대감을 갖게 하더니 책을 보는 내내 입가에 흐뭇한 미소가 떠나질 않았다.
제목과 삽화들이 어쩌면 이리도 어울리게 펼쳐지는지..


핵가족화 된 요즘 가족애를 그리고 있는 이 책 <<바람둥이 강민우>> 진정한 가족의 의미와 사랑을 느낄수 있었던 그런 가슴 뭉클하면서도 하하하 유쾌하게 웃을수 있었던 그런 책이 아닌가 싶다.
손자를 사랑하는 할아버지의 사랑도 할아버지를 생각하는 손자의 사랑도 요즘 같은 세상엔 그리 흔치 않은 이야기 같아 내심 뿌듯하면서도 코 끝이 찡한게 아이들 책이지만 감동 백배였다


"민우야, 넌 고등학교 졸업하면 바로 장가가라. 준비는 내가 다 해 놨으니까 지금부터 맘에 드는 색싯감을 찾아봐라!" - p.9
첫 장부터 이런 조금은 엉뚱하기만 한 글귀가 내 눈을 사로 잡았다.
오잉!! 아직 머리에 피도 안 마른 아이한테 장가 가라고 색싯감을 고르라니.. 이 할아버지 정말 독특하다 못해 특이하기까지 하다..
그런데 더 웃긴게 할아버지를 너무나 좋아하는 민우는 정말 색싯감을 물색하고 다닌 다는 것..
민우가 입학할 때 엄마 아빠는 도시로 돈을 벌러 나가는 바람에 할아버지,할머니와 함께 섬에서 살게 된 민우.. 그러나 엄마 아빠와 떨어져 산다고 기죽거나 의기소침해 하지 않고 오히려 할머니 할아버지의 사랑을 듬뿍 받고 사는 명랑한 아이가 바로 민우다.
유치원때부터 고등학교만 졸업하면 장가를 가라는 할아버지 말에 민우는 정말 색싯감을 고르고 다니는 유쾌한 녀석.. 그로인해 친구들에겐 바람둥이라는 별명까지 얻게 된다..


그런 민우의 레이다 망에 딱 걸린 신붓감은 옆집 사는 착한 경미다.. 입학 하고선 다른 아이가 경미에게 접근을 하니 도장이라도 콕 찍듯이 뽀뽀를 쪽!! 하며 동네 방네 경미는 내 색싯감이라고 광고를 하는 대범한 녀석이 바로 민우였다.. 그런데 얼마후 경미네가 육지로 이사를 가는 바람에 경미와 헤어지게 되어 한동안 시무룩해 하니 할아버지가 안쓰러워 다른 색싯감을 고르라고 까지 한다.
경미도 떠난 섬이 지루해진 민우는 엄마 아빠가 계신 육지로 가고 싶지만 할아버지와 할머니땜에 말을 못하고 끙끙 앓기만 하던 중 자기랑 비슷한 처지인 5학년인 민주를 점 찍는다..
매일 부둣가에 나와서 엄마가 계신다는 육지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에 자기와 비슷한것 같아 끌리는 민우..
녀석이 요즘 유행 한다는 연상녀를 선택을 하다니~~


그러나 민주는 말썽쟁이로 사고만 쳐서 교무실에서 벌만 서는 까칠녀여서 민우는 고민을 하게 된다..
결국 할아버지께 말씀을 드리자 오히려 쿨한 할아버지는 얌전한것 보다는 낫단다..ㅎㅎ
정말 재미있으신 분이시다..
그러던 민주와 민우가 대형 사고를 치고 마는 데..
민우를 살살 꼬드겨 캄캄한 밤에 민우 할아버지 배를 타고 육지로 엄마를 찾으러 가고 싶었던 민주..
사고를 치고 마는데.. 얼마나 엄마가 보고 싶었으면 그랬을까란 마음에 가슴 한켠이 저려 온다..
그날따라 파도가 너무 세게 불어 바다에 나갔다가 배가 뒤집히기 일보직전에 민우를 찾으러 나온 할아버지의 도움으로 위험에서 벗어나게 되는 민주와 민우.. 그로부터 얼마후에 정말 큰 일이 나고 만다..
선장이셨던 할아버지가 그물을 걷어 올리시다 바다에 빠지는 사고가 나고 결국 일어나시지 못하고 돌아가시게 된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공개된 유언장으로 형제들은 시끄러워지고,, 그걸 보던 민우는 왜 어른들은 유언장만 보면 저러는지 모르겠다고 생각을 하는 대목에선 어른인 내 자신이 부끄럽기까지 했다.
아이들의 본보기여야 할 어른들이 오히려 못 난 꼴만 보이니..


유쾌하던 이야기가 할아버지의 죽음으로 잔잔한 가족 드라마로 바뀌지만 할아버지의 죽음으로 진정한 가족애가 무엇인지를 조금은 엉뚱한 민우의 색싯감 찾기로 유쾌함은 물론 할아버지의 죽음으로 잔잔한 감동이 어려있는 반전이 있는 그런 책이 아닌가 싶다.
요즘은 60은 시골에선 막내라는 말도 있듯이 젊은 사람들은 대부분 대도시로 나와서 사니 정작 농사짓고 힘든 일 해야 하는 시골에서는 나이 60이 한창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 책도 나이드신 할아버지,할머니 곁에서 재롱 떨며 사는 민우로 하여금 가족애가 뭔지 사랑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싶었나보다.
아픔을 겪고 나면 한 뼘 성장한다는 말처럼 민우를 보면서 우리 아이들도 한뼘 클수 있는 마음의 그릇들을 가질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 책을 읽게 될 아이들에겐 사랑하는 가족이 있다는 것 하나 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함을 느낄수 있지 않을까 싶다. 가족이라는 것은 이런 것이야~~라며 말을 하고 있는 것만 같은 그런 책이었다.






<사진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