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 홍대용 의산문답 ㅣ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38
신현정 지음, 정윤채 그림, 손영운 기획 / 주니어김영사 / 2011년 10월
구판절판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 - 이 시리즈는 우리 아이들이 꼭 봐야 할 필독서로서 손색이 없는 그런 책들 인것 같다.
고전 하면 정말 생각만 해도 머리에서 쥐가 나는 큰 인내심을 가지고서도 끝까지 보지 못하고 중도에 손을 드는 책들이 바로 고전들 인데 그런 고전들을 아이들에게 부담감 없이 술술 읽히게 할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큰 점수를 주고도 남을 텐데 이 시리즈는 그 이상의 것들을 얻을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
그래서 난 이 인문고전 시리즈를 참 좋아한다.
학창 시절에도 다 보지 못하고 두 손을 들었던 고전을 학부모가 되어 아이들과 함께 다시 읽게 될 줄 누가 알았겠는가..
고전은 영원히 못 볼 책인줄 알았는데 이렇게 만화로 풀어 놓은 고전을 다시 만나서 행운 같기만 하다.
그래서 우리 아이에게 적극 권하면서도 옆에서 같이 보고 있다..
이 시리즈가 50권 이라 전권은 다 보지 못했지만 시간이 되고 여유가 될 때마다 한 권씩 사서 모으는 재미도 있고 아이와 같이 읽고 서로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얻게 되는 기쁨도 무시 못한다.
이번 책 또한 아이도 나도 무척이나 즐겁게 읽었던 그런 책이다.
아이는 낯설은 인물이었을지 몰라도 난 이름은 많이 들어본 인물인데 정확히 누구인지 몰랐다가 이 책으로 정확히 알게 된 분 홍대용에 관한 책이다.
홍대용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혼천의를 만든 과학 기술자인 동시에 전통적 자연관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자연관을 보인 현신적인 사상가였다. 동양과 서양을 결합하고자 힘썼던 과학자 이자 사상가 였던 분이 바로 홍대용이 아닐까 싶다.
그 때만 해도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일본도 서양에 비해 많은 것들이 두쳐져 있었다. 이유는 자연을 보는 관점들이 서양과 많이 달라서 동양에서는 서양의 문물들과 사상들을 받아 들이기가 힘들었던 시대 였는데 홍대용은 놀랍게도 서양 과학을 받아들였던 인물이었다.
동양은 서양과 달이 우주를 포함한 세상 만물의 구성과 움직임을 음양오행설로 봤듯이 서양과의 차이점은 자연의 변화를 그렇기 마련이다 라고 생각을 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니 그에 반하는 여러 가지 복잡한 법칙도 이론도 필요가 없었던 때 였는데 이때 홍대용은 17세기 때 부터 19세기에나 인정을 받았던 지전설을 맞다고 받아들이고 연구를 했었던 인물이 바로 홍대용이다. 놀랍지 않을수가 없었다.
이 <<홍대용의 의산문답>>은 이런 홍대용의 과학자 이자 사상가였던 그의 이야기들이 가득히 소개가 되 있다.
<의산문답> 말 그대로 때로는 허자가 되어 실옹이 묻기도 하고 대답도 하면서 재미있는 스토리와 함께 그의 빛나는 사상들을 따라 가다 보면 이 책에서 전하고자 한 주체적 문화 상대주의 - 내 것이 소중하듯 남의 것도 소중하며 다양하기에 가치가 있고 누구나 세상의 중심이다 라는 핵심을 볼수 있게 된다.
이 한권으로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을 다 말할순 없지만 몇 권만 보더라도 이 시리즈의 소중함과 중요함은 피부로 느낄 것이다.
우리 아이들에게 읽기도 버겁고 딱딱한 고전을 소개해 중도에 포기 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이처럼 재미있고 쉽게 풀어놓아 책 장이 술술 넘어가면서도 알짜배기 핵심만 추려 놓은 고전을 소개해 줄 것인지는 우리 어른들의 몫인것 같다.
우리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도와줄수 있는 것은 이런 책들을 아이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소개를 해 주고 보여줄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최선이 되지 않을까 싶어진다.
고전의 중요성은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다 아는 사실..
이젠 어렵다고 고개 살살 흔드는 고전이 아닌 재미있고 쉽게 다가갈수 있는 이 인문고전으로 아이들의 어깨가 자신있게 젖혀질수 있도록 도와 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 인문고전은 두고 두고 봐야 할 아이들의 필독서다..
<사진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