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주의 결혼식 푸른숲 역사 동화 2
최나미 지음, 홍선주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1년 12월
장바구니담기


'시집살이' 이 단어는 우리 여자들에겐 그리 달갑지 않은 단어가 아닐까.. 남자와 여자가 만나서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려살다보면 시집이란 이 단어가 무척이나 큰 철옹성같이 크게 느껴질때가 있다. 생판 모르는 사람들 속에 남편 하나 믿고 시집이라는 것을 가는 우리 여자들 어찌 보면 참 위대하다 못해 자랑스럽기까지 하다.
결혼한지 10년이 훌쩍 넘었어도 이젠 어느 정도 적응도 했고 편해졌다고 싶어도 여전히 시댁은 어렵고 힘이 드는 곳인데 지금이나 옛날이나 시집살이는 힘든건 마찬가지 인가 보다..


이 <<옹주의 결혼식>>은 세종의 명으로 처음으로 시댁에 들어가 시집살이를 해야만 했던 세종의 이복동생 숙신옹주의 친영례를 그리고 있다.
푸른숲주니어의 <푸른숲 역사 동화> 이 시리즈 두 번째인 이 책은 <조선왕조실록>에서 밣히고 있는 역사 최초로 '시집살이'를 했다는 숙신옹주라는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조선의 새로운 혼인풍속 친영례를 그리고 있다.
왜 그 동안 풍습대로 하지 않고 여자가 남자의 집에 들어가 시집살이를 해야 했는지를 이 책은 숙신옹주를 통해서 조곤 조곤 말을 하고 있다.
그 당시에는 혼인을 하면 아이가 어느 정도 클때까지 처가에서 살다가 나중에 시댁으로 들어가는게 일반이었는데 이 친영례는 이런 혼인풍속을 뿌리째 뒤바꾼 처음부터 여자가 남자 집에 들어가 산다는 거였다.
그 당시에는 무척이나 큰 변화가 아닐수 없었는데 왜 세종은 그 첫 스타트를 숙신옹주로 하여금 시작을 했는지..
여기엔 숙신옹주의 처량한 신세가 한 몫했음을 알수 있다.
후궁의 몸을 빌어 태어난 옹주 태어나자 마자 엄마 아빠의 얼굴도 모르고 구중 궁궐 자신의 편 하나 없는 위태로운 처지의 옹주였던 숙신이었기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그러나 이 책에서 그리고 있는 숙신옹주(운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런 고분 고분하고 다소곳한 그런 공주가 아닌 사대문 밖에서나 살 법한 천방지축 왈가닥 소녀를 그리고 있어 더욱더 아이러니 했다.
온전한 내 편도 한 명도 없는 운휘가 어쩜 그리도 씩씩하고 천진난만한지.. 궐에서 규정해 놓고 있는 온갖 법도는 다 무시하고 하지 말아야 할것만 하고 다녀 매일 사고를 치니 당연 세종의 눈에 거슬리는 옹주다.
궁금한 것도 많고 하고 싶은 것도 많은 운휘 그래서 궐에서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무조건 하고 보는 행동파에 겉모습만 여자지 하는 것은 남자니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는데 드디어 대형 사고를 치고 마니 잔치때 썼던 폭죽을 몰래 가져가 터뜨리다가 궐에 불을 낼 뻔해 세종은 단단히 화를 낸다. 결국 세종은 궐에서 제일 무섭다는 염상궁을 운휘 훈육 상대로 낙점을 한다.
이 때부터 운휘와 염 상궁과의 한판승부는 시작한다..


거칠것 없고 씩씩해 보이는 운휘지만 자신을 낳아준 생모가 위독하다는 소식에 몰래 담을 넘다가 세종에게 걸려 생모를 보지 못하고 결국 죽자 운휘는 눈에 띄게 변하게 된다. 말수도 적고 시름 시름 앓다가 궁에서 자신의 처지에 비관도 하지만 그런 자신이 아니면 세종이 시행 하려는 친영례가 시행 되지 못 할거라는 것도 아는 속 깊은 옹주의 모습을 보인다.
궁금한 것은 참지 못하고 해봐야 직성이 풀리는 자신이야 말로 남들이 다 두려워 하고 싫어하는 시집살이가 과연 어떤 것인지 궁금하기까지 하는 못말리는 옹주..


결국 자신을 걱정해 주는 이들을 뒤로 하고 본인 스스로 시집살이를 하겠다며 당차게 말하며 처음으로 시집살이를 시작하는 운휘.. 그러나 자신의 기대와는 다르게 시집살이는 그리 녹록치 않으니 사사건건 못마땅해 하는 시모와 어머니 치마 폭에서 노는 남편 때문에 힘들기만 한 시잡살이 과연 숙신옹주는 시집살이를 잘 할수 있을지..


기록상으로는 조선 중기에나 정착이 됐다는 시집살.. 이 땅에 자리잡은 시집살이를 숙신옹주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꽤 오래부터 전해 내려온줄로만 알았던 시집살이가 생각보다 그리 오래 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어 놀라운 반면 한편으로는 여자 입장에서 보면 많이 아쉽기만 하다.
시집살이의 근본을 알수 있어 신선하기도 했지만 그 당시 유교를 받아 들이고 이 땅에 정착 시키려던 사회상까지 들여다 볼수 있었던 그런 책이어서 아이들에게 역사적으로도 많은 도움이 될 그런 책이 아닌가 싶다.





<사진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