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해록 : 조선 선비가 본 드넓은 아시아 샘깊은 오늘고전 10
방현희 지음, 김태헌 그림 / 알마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장본으로 고급스러움을 같이 겸비한 고전을 만나게 되서 행운이었다...
가끔 이런 양장본에 책갈피까지 같이 있는 책들을 만나게 되면 어쩐지 출판사에 고맙다는 생각이 먼저 들곤 한다..
매번 책을 읽을때는 특히 아이들은 단숨에 읽기 보다는 시간에 쫓기다 보니 한권을 삼사일에 걸쳐서 읽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책들은 책갈피가 있어 표시하기가 쉽다는 게 더없이 좋다는 것이다...
소장본으로도 손색이 없는 그런 책이었다...

배가 부서지지 않는 한 살아날 길이 있다.
우리들은 한 나라 사람으로 한 핏줄과 같다.
살아도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자.
역시 기개 있고 곧은 선비이자 충직한 조선 선비의 면모를 보는듯 하다...

[표해록]은 조선 선비의 눈과 글로 이웃 나라인 중국을 자세히 기록해 놓은 여행기이다..
바다위를 떠돌다 다시 뭍으로 돌아 오기까지 겪은 수많은 일들과 본것들을 기록해 놓은 글인 것이다...
[최부]의 [표해록]은 성종때 추쇄경차관(지역 행정을 감독, 도망친 노비를 찾아내는 관리)으로 제주에 갔다가 부친상을 당해 급히 고향인 나주로 가던 중 거센 풍랑을 만나 표류를 하게 되면서 우여곡절 끝에 당도한 중국에서 조선으로 다시 돌아오기까지의 긴 여정이 상세하게 보고서 형식으로 기록해 놓은 것으로 그 당시의 조선 사람 어느 누구도 가본적 없는 곳을 보고 적은 표류기이자 중국 견문록이란다...

그 당시에는 명나라가 바닷길을 막는 정책을 썼기에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은 서로 교류하기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 표해록은 그런 상황에서 국제 정세를 살펴 볼수 있었던 중요한 자료이자 기록인 셈이다...
그 만큼 이 표해록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고 봐야 할것이다..
그래서 혜초의 왕오천축국전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는 귀중한 가치를 가진 작품인 것이다...

 그럼 최부가 어떤 경로를 거쳐 그의 일행과 바다에서 14일이나 표류한 후에 어렵사리 다시 고국 조선으로 돌아오기까지 걸린 135일을 한번 살펴보자...
갑작스런 부친상을 당해 한시가 급박했던 최부는 그 당시 제주에서 유일한 이동 수단이었던 배를 타고 고향으로 출발하지만 거센 풍랑을 만나 표류를 하게 된다.. 
최부를 비롯한 45명은 14일 동안 바다에서 표류하다 어렵사리 중국의 해안에 닿게 되지만 두번이나 해적과 맞서야 했고 왜구로 몰려 죽임을 당할뻔 했으나 그의 뛰어난 판단으로 힘겹게 살아남았으나 여전히 의심하는 중국 관료들에게 가는 곳마다 매번 그간의 기구한 사연과 험난한 여정을 설명을 해야만 했다...

자신의 신분을 밝히며 비록 소국이었지만 비굴하지 않고 떳떳하게 조선의 선비와 자존심을 세우는 모습을 보여주기까지 한다...
한치 앞도 모른 운명앞에 자신과 일행들을 거느리고 의연하게 대처하는 그 모습에서 우리 조선의 기개와 기상이 엿보이기까지 한다...
황제 앞에서도 상복을 벗지 않겠다고 고집을 부리는 모습은 어쩌면 고지식하기 까지 하지만 올곧은 그의 성품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비록 남의 나라에서 말도 통하지 않는 제 삼국일지라도 주저함이 없이 사대부로서의 자질을 마음껏 발휘를 하는 그의 모습에 도와주는 이들도 생긴다..

무려 135일이나 걸린 긴 여정이었지만 다시 조선으로 돌아 오기까지 그 험난한 여정을 극복하고 마음 고생 몸 고생을 했다지만 최부는 자신이 자나쳐온 수많은 길들을 열린 마음과 눈으로 보고 그것들을 머리속에 고스란히 담아온 것이다...
자신이 지나치면서 본 수차를 우리 농업에 이용하고자 함은 그가 그럭 저럭  자신의 운명을 탓하지 않고 신하로서의 자식으로서의 효를 다 하고자 했음이라 여겨지는 대목이다...

 비록 이 책에는 부모를 생각하는 애절한 효를 바탕으로 그의 안타까운 마음도 느낄수 있었지만 한 조선의 선비의 눈으로 그 당시 중국의 모습을 두루 두루 살펴볼수 있었던 아주 귀중한 자료가 아니었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