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권으로 보는 세계문화사전 - 청소년을 위한 세계 교양 시리즈 2
피오나 맥도널드.앤서니 메이슨 지음, 장석봉 옮김 / 글담출판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동.서양 근.현대를 넘나들어 총 망라된 문화가 이 한권에 담
겨져 있는 한권으로 보는 세계 문화사전..


온 세계가 하나가 되어 숨쉬고 호흡하는 지구촌이라는 단어가 생겨 났듯이 이젠 문화라는 콘텐츠는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듯 넓게는 국가간에 좁게는 개인간의 경쟁력이지 않나 싶다...
그 만큼 문화는 광범위하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겐 무시할수 없는 아주 필연적인 핵심 키워드가 아닌지..
우리는 문화와 문화속에서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면서 살아가고 있다라고 말을 해도 무관하지 않을까 싶다..

한권으로 보는 세계 문화사전은 우리 청소년들이 꼭 알아야 할 세계 문화를 핵심 키워드 755가지로 구분.. 다양한 사진들과 그림들로 소개를 하고 있었다...
그 만큼 많은 양의 내용들을 다루다 보니 내용이 깊이있게 들어가지 못하다는것...
그냥 우리 아이들이 간단히 접하고 알기에는 괜찮은 책이었다..

 그래도 우리 아이들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근,현대를 아우르며 폭 넓은 범위의 문화를 맛보기에는 충분한 그런 책이어서 아이들이 흥미있게 볼수 있다는 점에서는 큰 점수를 주고 싶다...


▲ 이 책의 구성이다.. 

문화사 '문화'는 흔히들 영화나 예술등을 지칭해서 표현을 하곤 했는데 광범위하
게 보자면 '사람들의 생활 방식,정치 사상'등 '사람들이 살아가는 생활 방식과   

행동'에 관련된 모든것을 문화해야 맞다...  
문자와 음악 집과 가정, 먹을거리, 춤..... 다양하게 다뤄주고 있다...

음악
음악 음악은 가장 오래된 예술 형식.. 최초의 악기는 인간의 목소리란다... 
맨 처음 사람들은 소리를 질러 의사 소통을 시작했기 때문에...
녹음된 음악 中

'포노그래프' 에디슨이 최초로 발명한 측음기..
우리가 많이 듣는 라디오는 1894년 이탈리아의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발명 했단다.. 
계산해보니 115년이나 됐다...ㅎㅎ

디자인 中

커다란 건축물

인도의 타지마할 → 무굴제국의 샤 자한의 아내 뭄 타즈 마할의 무덤.. 세계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무덤 중 하나..
에펠탑 → 프랑스 혁명 100주년 기념으로 파리에 300미터의 높이로 세워짐..

▲ 텔레비젼 방송은 1929년 처음으로 시작.. 위 사진은 1949년의 '프레딕터' 이때는 고가의 사치품이었단다.. 

미술 中
돌조각

▲ 조각은 어쩌면 그림보다 더 오래된 미술 형식일지도 모른다...위 사진들은 너무나 많이 보고 알고 있는 것들... 
밀로의 비너스 →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유명한 조각품.. 가장 이상적인 몸매라고들 하는 비너스 상..

문학 中
어린이 책

▲ 어렷을적에 너무나 좋아했던 문학 작품들..
어른이 된 지금 읽어도 너무나 재미있는 작품들... 이중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는 우리딸이 제일 좋아하는 이야기이다... 
미처 다 보여주지 못한것이 아쉬울 뿐이다.. 이 책은 사진과 그림들이 풍부하다..

이 책을 보면서 느낀것은 역시 국가가 경쟁력이 있어여 한다는 것..
이 두꺼운 책속에 우리 나라는 달랑 두개가 그것도 하나는 사진만 하나는 글로만 실려있다..
우리의 문화 우수하다고 자부하고 있다지만 세계속에서 비춰지는 우리의 자리는 아직도 멀게만 느껴진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목판 인쇄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되었다.. 사진도 없다.. ㅠㅠ 
하나는 줄타기.. 용인 민속촌에 가면 볼수있는 줄타기.. 사진은 실려 있으나 우리 나라 라고는 표기가 안되있다..
반면  일본과 중국은 수도 없이 소개가 되고 있었으니...

이게 바로 국가의 힘.. 곧바로 문화의 힘으로 내 비춰지는것 같아 아쉽기만 했다...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그러나 좀 아쉬운 부분이었다...

그러나 이 책에는 광범위하게 문화라는 콘텐츠를 딱딱한 글들 만으로 채워진 사전이 아닌 수 많은 사진들과 그림들로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해 줌과 동시에 간단하게 곁들여진 설명들이 문화에 대해서 아이들이 쉽게 다가 갈수 있는 기회를 제공 했다는 것에 큰 점수를 주고 싶다...

글들 만으로는 이해가 힘든 부분을 사진과 그림들이 채워주고 있으니 아이들이 지루하지 않고 이해하고 습득하기에 더 없이 좋았던 흥미를 불러 일으킨다는 것이 중요한것 같다...
설명만으로 꽉 찬 사전보다는 아이들이 쉽게 즐겁게 보고 익힐수 있게 만든 책이 아이들에겐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한 책이었다...

 우리 아이들이 살고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
문화가 곧 경쟁력이다.. 무시할수 없는 말인것은 틀림없는것 같다..
지식 확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청소년 시기에 한번 쯤 읽어 보면 좋을 그런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