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스케치 쉽게 하기 : 사람 그리기 스케치 쉽게 하기 7
김충원 지음 / 진선아이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이들의 최고의 놀잇감은 아마도 그리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우리집 아이들은 항상 옆에다가 스케치북과 색연필을 끼고 이것 저것 아무
거나 서로 그려서 비교하고
자랑하고 하는 녀석들입니다...

그렇다고 그림을 잘 그리느냐 그건 아니구요.. 그냥 그림을 좋아하고 그리는 것을 
좋아해서 그리고 노는 걸
좋아한다고 해야지 맞는 말인것 같습니다..
그런 아이들에게 이 스케치 쉽게 하기는 아주 대 환영 받았던 책이었고 우리 아이
들을 아주 행복하게 만들
었던 그런 책이자 놀잇감이었습니다...

그것도 기초부터 쉽게 따라할수 있어서 기초도 배우고 세부적으로 얼굴을 그리고 
사람을 그리기에 많은
도움을 받았던 그런 책이었습니다..

특히 큰 아이는 유독 얼굴을 부 자연스럽게 그려서 항상 제가 의아해 했었는데 아
마도 자신이 없어서 그랬
던것 같습니다..그건 그림을 보면 항상 옆 얼굴만 그리고 
정면 얼굴은 그리지 않아서 제가 물어 봤더니
정면을 그리면 좀 이상해 보여서 그
렇다고 하더라구요...
자신이 없어서 정면을 못 그렸던 울 아이에게 이 책은 아주 고마운 선생님이 된 책
이었습니다...


 
김충원 선생님이 알려주는 데로 따라 하다 보면 어느새 얼굴이 자연스러워 진다
는것...
아주 큰 장점이었습니다.. 아이도 신나고 보는 저도 흐뭇하고...ㅎㅎ
우리 아이 이젠 정면으로 그릴수 있다고 큰 소리 칩니다...

이 책에는 그림 그리기에 자신이 없는 친구들에게 그림을 잘 그릴수 있는 동기 부
여 뿐 아니라 그 비법
까지도 공개가 되 있어 자신이 없는 친구들이라도 아주 쉽고 
재미있게 접근 할수 있다는것이 큰 장점인것
같습니다..

 1. 선 긋는 연습을 많이 하세요.
 2. 닮게 그리려고 애쓰지 마세요.
 3. 그리기 전에 상상해 보세요.
 4. 매일 매일 조금씩 그리세요.
 5. 남에게 보여주지 마세요.
 6. 뒷 모습을 그리세요.


사람 그리기가 어려운 것은 일단 똑같이 그려야 한다는 중압감과 생각이 안난다
는 것... 그리고 남에게 보여줘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두려워 하는 것이라고 말
을 하고 있었습니다..
정말 그런거 같습니다... 내가 그린 그림을 남이 보고 어떻게 말을 할까?

여기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자신감인것 같습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매일 매일 조
금씩 그려 나가다 보면 원하는 그림을 그릴수 있다고 선생님은 충고를 하고 있습니다...

1. 기초연습
그림 그리는데 익숙한 손을 만드는 단계...
선을 긋고 강.약을 조절하는 연습은 열흘 정도는 해야 효과가 나탄난다고 합니다...
2. 윤곽선 스케치
자신이 원하는 선을 자유롭게 긋기 위한 기술이 바로 윤곽선 스케치라고 하네요..
만화가나 애니메이션 작가를 꿈꾼다면 윤곽선 스케치를 많이 연습해야 한답니다...
3. 보조선 스케치
계산된 틀에 맞추어 정확하게 표현하는 기법..
보조선을 사용하면 그림의 완성도를 높일수 있다네요...
4. 빛과 그림자 그리기
입체감을 표현하는 방법.. 명암 스케치
화가들이 눈을 가늘게 뜨는 이유는 빛의 양을 줄여서 어두은 면을 더 어둡게 인식
하기 위한 방법이랍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대로 서서히 따라 하다 보면 어느 정도 그림에 자신감도 붙고 
무엇 보다도 그림이 재미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선생님은 이 한권으로 조금 이나마 스케치에 흥미를 갖기 사작 했다면 그것으로 대
만족, 큰 기쁨이라고 밝히고 계시네요...
                  
                                          딸이 그린 그림
             
                     
               
                                 윗 그림을 보고 따라 그린 그림들

 이제 7살인 울 아들이 그린 그림...
                     


역시 나이 차이가 많이 나서 그런지 차이가 납니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