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시골의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
프란츠 카프카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프카의, 그 자신으로의 끊임없는 침잠의 기록들을 살짝 엿본 기분이다. 그의 글들을 읽노라면, 이상의 글을 읽는 것 같기도 하고, 암튼, 잘은 모르겠지만 아마 그는 자의식이 엄청 강했던 사람이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한없이 어둡고 날카로웠던 이십대 때 그의 작품을 읽었더라면, 아마 지금보다는 훨씬 더 열광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고.    

 

<변신> - 재밌게 읽었다. 카프카는 역시 천재라는 생각도 들었다. 가장으로서의 무거운 책임감을 벗어 버리고픈 '나'의 무의식이 그 스스로를 해충으로 변하게 했을수도 있다. 혹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막중한 위치에서, 경제력을 잃은 후, 한 순간에 무용지물이 되버린 '나'의 극적인 추락을, 벌레로의 변신으로 표현한 카프카의 발상이 정말 기발했다. '나'는 정말 말 그대로 가족들에게 미미하고, 피하고 싶고, 없어져 버렸음 하는 '벌레'같은 존재가 되버린 것이다. 서서히 변해가는 가족들의 변신 과정을, 벌레가 되버린 '나'의 눈으로 묘사하는 것 만큼 효과적인 방법이 있을까? 해로운 해충이 되버린 것은 '나'지만, 정작 혐오스럽고 징그러운 것은 가족들이다. 얼마간의 재산을 두고도, 아버지는 이를 숨긴 채, 자식의 외판원 수입에만 의존하며 무기력하게 아무 일도 하지 않다가, 아들이 벌레로 변해버리자 오히려 활기를 띠며 일을 시작하고, 어머니는 무정하다 싶을 만큼 벌레로 변해 버린 자식의 존재를 징그럽게만 여기며, 여동생 또한 서서히 오빠에게 무관심해지다, 결국 '나'를 죽음으로 내몬다. '가정'이라는 이름의, 그렇게 견고하고 사랑스럽게만 보이던 왕국이, 주인공의 경제력 상실에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가족들이 얼마나 철저히 이기적이고 위선적인 존재로 변할 수 있는지, 그래서 인간이란 결국 외로운 존재임을 공포가 뒤섞인 기괴한 방식으로 잘 드러낸 작품.

 

<시골의사>와<판결> - 적어도 소설이라면, 독자와의 교감을 전제로, 어느 정도는 힌트라도 주면서 독자의 참여를 끌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건 그냥 작가의 일기나 독백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이해할 수 없는 작품이었다. 카프카의 개인적 가정사나, 연애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전무한 상태에서도, 이 글을 읽고 그토록 깊이있는 철학적 해석이 가능한 사람들이 있다면, 그건 나의 독서 내공이 아직 부족한 탓이겠지. 그런 해석이 가능한 그들이 정말 신기하고 부러울 따름이다.

 

<학술원에의 보고> - 이 작품이 유명한 연극 '빨간 피터의 고백'의 원작인 줄 몰랐다. 원숭이로서의 자신의 본성을 포기하고, 사람들 흉내내기로 출구를 찾아야 했던 원숭이 피터. 모방을 위해, 관찰하고, 배우고, 연습해서 유럽인의 평균치 교양에 도달 했지만, 그것은 진정한 자유가 아닌 단지 출구에 불과했음을 그는 거듭 밝힌다. 그리고 자유란 선택될 수 있는 게 아니란 걸 언제나 전제로 했으므로, 어떤 인간의 심판도 바라지 않는다는 원숭이 피터. 인간은 교육과 노력을 통해 진보를 이뤘지만, 인간의 본성을 잃어버리는 한, 그것은 결국 진정한 자유가 아니라는 카프카의 생각이 드러난 작품. 

 

<굴> - 그의 자의식의 흐름을 쫒아가는데 상당한 에너지와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작품. '굴'이란 무엇일까? 인간이 이루어 놓은 모든 결과물들, 부와 명예와 지식의 집적일 수도 있고, 자기 존재의 본질 그 자체일 수도 있다. 그 굴을 기획하고, 만들고, 그 속에서의 안전과 평화를 사랑하지만, '나'는 끊임없이 불안하다. 외부 침입자에 대한 불안, 완벽하지 못한 건축에 대한 불안, 지키고 감시하고 허물고 쌓고, 그 위태로운 불안과 고독이 작품 전체에 지루하게 흘러, 읽는 독자마저도 지치고, 곤두서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