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머리 여가수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3
외젠 이오네스코 지음, 오세곤 옮김 / 민음사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조리극이 뭔지 네이버에 물어봤다. 대충 정리하자면, 이렇다.

인간 존재와 삶의 문제들이 무질서하고 부조리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등장 인물이 자기 동일성을 잃고, 시간-공간이 현실성을 잃고, 언어가 그 전달 능력을 상실하는 등,  연극 그 자체가 행위의 의미를 해체 당하는 부조리를 만들어 부조리성을 강조하는 '반 연극 기법'을 통해, 관객에게 "인간은 목적을 가지고 태어난 것이 아니라, 목적없이 세계를 표류하는 존재"라는 사상을 전파하는 연극.  

 

위 기준에서 보면, <대머리 여가수>는 그 정의에 꼭 들어 맞는 작품이다. 등장 인물이 자기 동일성을 잃고, 시간-공간이 현실성을 잃고, 언어가 그 전달 능력을 상실하니까. 한 마디로 말해, 뭐가 뭔지 종잡을 수 없는 인물들의 밑도 끝도 없는 대사들만 계속 되다 끝난다는 얘기지. 아무리 반 연극 기법이라고 해도, 무슨 내용인지 정도는 알 수 있게 해야 되는 거 아닌가? 솔직히 어느 정도는 작품 해설이 궁금해, 인내심을 가지고 끝까지 읽었다고도 할 수 있다. 뭐 작품 해설을 읽어도, 그닥 공감되지는 않더라만. 울 신랑 표현을 좀 빌리자면, 이건 부조리극의 '삭힌 홍어' 같은 작품인가? 그 맛을 좀 안다는 사람들은 열광하지만, 못 먹는 사람들은 식겁하는.

 

그렇다면 <수업>이나 <의자> 는, 좀 덜 삭힌 홍어처럼, 나 같은 초보도 대충 그 맛이 뭔지 좀 알 것 같은 느낌이었다.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한 인간 관계 단절과,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언어의 폭력성, 언어의 무의미함 같은 것들을 이야기 하고 싶었구나 하는 작가의 의도 정도는 읽으면서 파악이 됬으니까. 특히 <의자>의 독특한 무대 구성과 마지막 귀머거리 벙어리 변사의 등장은, 상당히 인상적이고 특이했다. 실제 연극 상연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