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21
미겔 데 우나무노 지음, 조민현 옮김 / 민음사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마디로, 화려한 대사로 별 사건 없이 시종일관 극을 이끌어가는 김수현표 드라마를 본 듯한 느낌이었다. -물론 대사가 주가 되는 작품을 쓰겠다고 이미 빅토르의 입을 통해 밝히고는 있지만- 몇 군데 날카로운 부분도 있고, 중간 중간 생각을 하고 넘어가게 만드는, 화두 같은 부분도 있었지만, 결국 말장난을 위한 말장난이란 느낌이 강했을 뿐. 깊은 울림은 없었다. '대중의 순진함을 치료'하겠다는 오만한 생각을 이미 밝히고 시작한 서문부터, 사실 별로 맘에 안 들긴 했다.  

 

이 작품은 소설이라기 보다, 사랑, 나와 타자, 나의 본래성과 영원성,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 등에 대한 작가의 두서없는 -작가에겐 미안하지만 볼드 이탤릭체로 간다- 긴 독백에 가깝다. - 그것이 바로 메타픽션이라고 한다면, 할 말은 없지만- 등장 인물 고유의 목소리는 다 사라지고, 혼자 북치고 장구치는 작가의 목소리만 남은 느낌. 자신의 피조물보다 더 튀고 싶은 것은 창조주의 당연한 권리일까? 

 

작품 전체에 흐르는 조롱과 침울한 농담은 물론, 그를 포함한 독자를 향한 것이겠지.   

 

*책 접기

 

"그러나 나는 정반대되는 결론에 도달했다. 먼저 좋아하지 않는 것에 대해선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사람들은 아는 것이 용서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아니다. 용서하는 것이 아는 것이다. 첫 번째가 사랑이고 아는 것은 나중 일이다.....사랑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대상을 어슴푸레하게나마 보는 것! 어슴푸레함. 여기 안개 속에 어슴푸레하게 빛나는 사랑의 직감이 있다. 그 후에 완벽한 시선 속에 분명한 것이 온다."

 

"너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구체적으로 이 여자 저 여자가 아닌 추상적인 여자를 사랑하게 되었지. 그때 에우헤니아를 발견하자 그 추상성이 구체화되어 일반적인 여성이 한 명의 구체적인 여성이 되었고, 너는 그녀와 사랑에 빠진 거야. 이제 너는 그녀로부터 거의 모든 여자를 사랑하게 된거야. 즉 너는 여자라는 집단, 종 전체에 마음을 뺏긴 거지. 이제 너는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구체적인 것에서 종 전체로 옮겨간 거야. 말하자면 여자에서 한 여자로, 한 여자로부터 여러 여자들로 말이야."

 

"생생한 별빛만이 박혀 있는 칠흑같이 어두운 밤, 달빛조차 비치지 않는 그 밤을 향유할 수 없는 가련한 나무들! 인간은 이곳에 이 나무들을 심으면서 그들에게 이렇게 말한 것 같다. '너는 네가 아니다' 그리고 이 말을 잊어버리지 못하도록 전깃불로 야간 조명을 한 것이다... 잠들지 못하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