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쪼가리 자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1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자군 전쟁에서 투르크 군의 대포에 맞아, 몸의 왼쪽이 몽땅 날라가버려, 말 그대로 반쪼가리 몸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온 자작의 이야기다. 

 

끔찍한 이야기를 아름답게, 슬픈 이야기를 우스꽝스럽게, 있을 법 하지 않은 이야기를 그럴듯 하게 탈바꿈시키는 작가의 재주가 정말 대단하다. <나무위의 남작>에 이어 겨우 두 번 째 작품이지만, 이탈로 칼비노만큼, 남들과 차별되는 뚜렷한 작품 세계를 가진 작가가 있을까 싶다. 박진영의 노래를 좋아하고 싫어하고는 개인 취향의 문제지만, 일단 노래를 들으면 '앗. 박진영이 만든 노래 아닌가?' 싶은 그런 것 말이다. 구지 예술가가 아니더라도, 자기만의 색깔을 가진다는 것은, 어렵지만 정말 멋진 일인 것 같다. 

 

인간 내면의 선과 악의 분리와 대결이라는 소재는 <지킬 앤 하이드>에서 이미 다뤘던 터라, 다소 식상했다. 그리고, 작품 전체를 아우르는, 슬프면서 아름다운 묘한 환상적 분위기가 워낙 인상적이어서 상대적으로, 작품의 메시지도 좀 묻히는 듯 하다. 

 

예상과 달리, 문둥병 환자들과 위그노 교도들은, 악한 자작 못지 않게 선한 자작도 거부하는데, 이는 선과 악이 절대적 가치라기 보다, 자신에게 얼마나 이익이 되는가로 결정되는 상대적 가치임을 잘 보여준다. 무분별한 절대 악이 인간에게 해를 끼치듯, 무분별한 절대 선도 인간에게 해롭다. '사악하면서도 선한 것이 결국 온전한 인간의 모습'인 것이다. 

 

그래, 역시 중요한 건 균형이자, 단일성이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