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릭스로 철학하기
슬라보예 지젝 외 지음, 이운경 옮김 / 한문화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매트릭스빠다. 특히 1편이 너무 좋다. 심오한 메세지에 화려한 볼거리 거기다 자극적 재미까지 겸비한 이 영화를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으랴. 책은 <매트릭스>를 여러가지 철학적 관점에서 분석, 해부한다. 무심코 지나쳤던 장면들, 흘려들었던 대사들에 이런 의미가 있었다니, 워쇼스키 남매가 애초에 의도했던 것이든, 학자들의 자의적 해석이건 간에, 감독이 천재임에는 틀림없다. 그리고, 하나의 영화에서 이렇게 많은 이야기들을 풀어낼 수 있는 학자들도 대단하다. 그들이 <매트릭스>라는 영화를 요리 조리 요리해 놓은 진수성찬들을, 독자들은 그저 하나씩 맛보며 즐기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단언컨대, 책을 읽고 나면, <매트릭스>의 더 많은 것들이 보일 것이고, 예전보다 더 사랑하게 될 것이다.

 

"<매트릭스>에서도 <구토>에서도 본래성은 어렵다. 그것이 드러내는 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서가 아니라, 비본래성이 일반적인 표준이고 규범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사실은 중요하다. 실존주의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본래적이라는 데 동의한다. 그들은 비본래성이 만연하는 이유를 심리적인 저항과 사회적인 교화 탓으로 돌린다.....실존주의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존재의 힘든 진실들을 알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에 비본래적으로 살아간다고 단언한다. 사람들은 삶에 대한 일련의 거대한 거짓말로 자신에게 위안을 주고 싶어한다. 이러한 거짓말들은 거대한 형이상학적 거짓말에서 우리가 스스로에게 말하는 사소한 이야기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들은 모두 우리가 원하는 거짓말들이다. <매트릭스>가 보여 주듯이 예언자의 금언인 "너 자신을 알라"를 열망하는 대신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실에서 도피하여 자신이 만든 (혹은 다른 사람이 만든) '꿈의 세계'에 남는 것을 택한다. '사회적인 교화'역시 사람들에게 비본래성을 철저히 세뇌시키는 역할을 한다.실존주의자들이 설명하듯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배운 대로 세계를 보도록 철저히 길들여져 있기 때문에 어떠한 다른 대안에도 저항하곤 한다....비본래성이 만연한 사회에서, 본래성은 소외되게 마련이고 심지어 광기에 가까운 것으로 취급받는다."

 

"네오와 모피어스 사이의 대련 장면을 떠올려 보라. 이 무술 장면은 마음의 전능한 힘을 보여준다..... 네오를 패배시키는 것은 그의 마음이다. 이것은 모두 마음을 자유롭게 하는 문제이다....네오는 훈련을 통해 기술을 완전히 익혔고 그것은 본질적으로 정신적인 훈련이었다.그러나 그는 여전히 자신의 진정한 본질에 대해서 의심과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다. 예언자가 결코 실제로 네오가 '그'가 아니라고 진술한 적이 없다는 것을 명심하라. 그렇게 말한 사람은 네오 자신이다. 예언자는 네오의 의심, 억류된 마음을 비추는 거울의 역할을 한 것 뿐이다...이 무심은 또한 반성하지 않음이다. 반성하지 않는 것은 궁극적으로 마음을 자유롭게 한다.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마음을 자유롭게 할 필요가 있다고 끊임없이 강조한다. 매트릭스에 살고 있는 다른 사람들 못지 않게 네오 역시 마음의 감옥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마음의 자유는 우리가 이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모든 이성과 논리를 불가피하게 장벽에 부딪힐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을 때, 그리하여 합리화와 반성의 틀을 허물어 뜨릴 때 얻을 수 있다..... 구원을 가져오는 사랑의 힘과 더불어 존재의 상호연결성을 증명하고 있다. 트리니티가 스스로를 믿음으로써 네오도 스스로를 믿게 된다. 그들의 믿음은 반성에 억류된 그들의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던 두려움과 의심을 놓아 보냄으로써 생성된다......불교의 거울 안에서는 마음이야말로 궁극적인 매트릭스이다."

 

"네오가 배워야 할 것은 그가 다른 모든 사람들과 구별되는 특별한 존재인 '그, The One'라는 사실이 아니라 그가 모든 존재들과 '하나 One'라는 사실이다. 물론 그는 이러한 진실을 처음으로 완전하게 이해한 '그 The One'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