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의 여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5
아베 코보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무심히 지나치는 모래를 소재로 이렇게 철학적인 소설을 쓸 수 있다니!!

 

다 읽은 후, '이 소설의 메세지는 바로 이거다' 하고 감이 딱 잡히지는 않았지만, 존나 철학적인 책이란 것만은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읽는 내도록, 그리고 다 읽고 나서도, 계속 생각하고 질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작가는 무슨 말을 하고 싶은걸까? 나라면 어땠을까? 모래가 상징하는 건 뭘까? 등등.. 소설 속 모래 마을과 모래 집이 허구의 공간임을 뻔히 알면서도, 그 황량하고 기괴한 이미지에 빠져 들지 않을 수 없었던 묘한 소설. 또한 멋 부리지 않은, 간결한 묘사 또한 인상적 이었다.    

 

자, 그럼 모래에 대한 작가의 통찰을 좀 보자. 

 

"모래는 절대로 쉬지 않는다. 조용하게, 그러나 확실하게, 지표를 덮고 멸망시킨다."

"모래의 불모성은 흔히 말하듯 건조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끊임없는 흐름으로 인해 어떤 생물도 일체 받아들이지 못하는 점에 있는 것 같았다."

"평균 1/8 mm란 것 외에는 형태조차 제대로 갖고 있지 않는 모래... 그러나 이 무형의 파괴력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은 무엇 하나 없다.... 어쩌면 형태를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야말로, 힘의 절대적인 표현이 아닐까.."

"모래 쪽에서 생각하면 형태가 있는 모든 것이 허망하다. 확실한 것은 오로지 모든 형태를 부정하는 모래의 유동뿐이다."

 

모래 vs 주인공.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얼핏 생각나는 나름 두 가지.

 

주인공을 가두고 감시하며, 생존을 담보 (소설속에선 물)로 주인공을 통제하려는 억압적인 사회 (형태가 없으나, 조용하게, 확실하게, 멸망시키는 무형의 절대적인 힘) vs  폭력적 사회 구조 속에서 노동력을 착취 당하나, 결국은 시스템에 길들여져 탈출 의지마저 상실하며 체제 유지에 기여하는 개인.

 

나머지 다른 해석은, 정지된 일상로부터 탈출을 시도하여 유동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나와 (끊임없는 모래의 유동성, 유동성이 곧 모래의 본질이며 이는 곧 인간 본질), 세상과의 최소한의 소통-라디오-만을 유지한 채 현실에 안주하고자 하는 또 다른 나. (두 남녀가 갖고 싶어했던 라디오-세상과의 소통-과 거울-자기 자신과의 소통-중 결국 거울은 갖지 못함으로, 이는 곧 유동성을 추구하는 자기 자신과의 소통의 단절을 의미)

 

그 어느 것이든, 혹은 그 둘 다 이든, 결국은 자유의지로, 모래 집에서의 안주를 선택하는, 한 인간의 내부로부터의 부식 과정 (현실 부정과 회의 --> 탈출시도 --> 노동의 반복과, 성욕 충족을 통한 적응 -> 자식의 잉태를 통한 기존 사회 체제 (가족)로의 편입 --> 유수장치로 상징되는 새로운 희망 설정 --> 현실 안주) 이 세밀하게 잘 포착된 작품이다. 

 

"기다리는 시간은 고통스러웠다. 시간은 뱀의 뱃살처럼, 깊은 주름을 그리며 몇 겹으로 접혀 있었다. 그 하나 하나에 들르지 않으면 나아갈 수 없다. 더구나 그 주름 하나마다, 모든 형태의 의혹이 제각각의 무기를 숨기고 있다. 그 의혹과 논쟁하고 묵살하고 또는 돌파하여 나아가려면 어지간한 노력 가지고는 어림도 없었다."

 

"그들이 노래하고 싶은 것은 왕복표 블루스다. 편도표란 어제와 오늘이, 오늘과 내일이 서로 이어지지 않는 맥락없는 생활을 뜻한다. 그렇게 상처투성이 편도표를 손에 쥐고서도 콧노래를 부를 수 있는 것은 언젠가는 왕복표를 거머쥘 수 있는 사람에 한한다. 그렇기에 돌아오는 표를 잃어버리거나 도둑맞지 않도록, 죽어라 주식을 사고 생명보험에 들고 노동조합과 상사들에게 앞뒤가 안 맞는 거짓말을 해대는 것이다. 목욕탕의 하수구나 변기 구멍에서 피어오르는, 절망에 차 도움을 구하는 편도파들의 아비규환을 듣지 않기 위해 텔레비젼의 볼륨을 높히고 열심히 편도표 블루스를 흥얼거리는 것이다."

 

"반복은 현재를 채색하고, 그 감촉을 확실한 것으로 만들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