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오류 -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게 만드는
토머스 키다 지음, 박윤정 옮김 / 열음사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책을 다 읽고 나서 드는 느낌은, 내용을 떠나 구성면에서 꽤 짜임새 있게 잘 써진 책이란 것이다. 보통 이런 종류의 책들이나, 더욱 흔하게는 다큐멘터리, 특히 한국 다큐멘터리를 보면, 부분 부분은 흡인력 있게 진행 되다가도, 다 보거나 읽고 나면, 그래서 도대체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라고 묻고 싶을 때가 있다. 한 마디로 각 부분들이 전체를 향해 일관성 있게 나아가지 못하고 따로 따로 놀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말이다. 반면 이 책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독자에게 확실하게 전달되도록 잘 구성되어 있고, 6가지 생각의 함정들을 뒷받침하는 근거들도, 재밌고 풍부한 사례와 연구 결과들로 채워져 있다. 

 

구성 뿐 아니라, 내용 자체도 '뭐야, 이런 게 다 있었어?' 할 정도로 완전 새롭진 않지만, 사람들이 흔히 범하는 생각의 오류에 대해 잘 정리해 놓았다. 제목도 잘 뽑았다는 생각이 드는게, 책의 내용이 제목 한 줄에 모두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게 만드는 생각의 오류>인 것이다. 우리가 모르고 있는 사실들보다, 우리가 잘 못 알고 있는 사실들이 우리를 더 위험에 빠지게 할 수 있으므로, 이런 생각의 오류들을 살펴보고, 좀 더 합리적이고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게 저자의 집필 의도가 아닐까 한다. 저자 주장대로라면, 우리가 착각하기 쉬운 생각의 함정 6가지를 따라가다 드는 생각 두 가지. 

 

- '세상에 믿을 놈 하나 없다더니, 내 생각과 기억마저 믿을 수 없다면, 도대체 이 세상에 확실한 것은 무엇인가?'  

- 정확한 수치는 잊어 버렸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 생각과 판단은 옳고 남들은 틀렸다고 생각 한다고 한다. 나 역시도 겉으로는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연하게 대하면서도, 맘 속엔 그래도 내 생각이 맞다는 고집이 항상 있었던 것 같다. 마침 이번 북한 사태에 대처하는 가까운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과 책 내용을 연관지어 보다보니, 집단 구성원 대다수의 생각이 아니라고 해서, 소수 의견을 은연중에 무시하고, 은근히 비아냥 거리는 태도를 취하는 사람들의 독단적인 모습과 나 자신을 새로이 발견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집단의 판단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라던지, 자기 생각에 의문을 품기보다 확신하려 드는 인간의 본성과 같은 이 책의 내용이 내 생활을 되돌아 보게끔 하는 하나의 좋은 계기가 된 것이다.     

 

어쨌든, 책을 다 읽고 나서 정작 내 맘에 와 닿는 부분은 여기다.    

"심리학자 로버트 아벨슨의 말처럼, 우리 믿음은 소유물과 같다. 우리가 물건을 사는 이유는 그것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믿음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믿음을 간직하는 이유는 흔히 이 믿음을 뒷받침 해주는 증거 때문이 아니라, 이 믿음이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예전엔 세상의 진실이 무엇인지 궁금했으나, 요즘엔 내안의 진실이 무엇인지가 점점 더 궁금해진다.

 

이렇게 뜬금없는 결론이 나버리니, 책을 일관성 있게 아무리 잘 써 놓은들 무엇 하리오, 제 멋대로 받아들이는 독자들 천지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