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씨네 가족
케빈 윌슨 지음, 오세원 옮김 / 은행나무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에 대한 아주 좋은 리뷰를 어느 블로그에서 본 신랑의 요청으로 주문했으나, 결국 신랑은 읽지 않고나만 읽게 된 책. 어디가 그렇게 좋았던지 그 리뷰를 한 번 찾아 보고 싶기도 한 책. 결국 나만 낚였다(?) 는 느낌이랄까?

 

제목대로 행위 예술가인 팽 씨네 부부와, 어렸을 적 부터 그들 부부의 기이한 작품 활동의 도구가 되면서 성장한 아들 딸에 관한 이야기인데, 공공 장소에서 온 가족이 이상한 퍼포먼스를 펼치고 - 이경규의 몰래 카메라와 다를 게 무어란 말인가? - 그 상황 속에 놓여진 대중의 반응을 비디오로 기록하고, 즐거움을 느끼는, 그들의 독특한 행위 예술 자체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던 나는 - 그들 부부의 예술관에 대한 깊은 할애없이 표면적인 퍼포먼스들만 몇 개 나열됨-  전체적인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지 못했고, 따라서 이런 행위 예술로 인해, 아니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엄청나게 이기적이고 폭력적이기까지 한 부모의 예술욕을 충족시키기 위한 도구가 되어버린 자식들의 방황하는 삶을 향해서도 시종일관 빈정거림의 태도를 유지했던 것 같다.

 

줄거리 전개만 놓고 본다면, 그나마 후반부 부모가 실종 되면서 뭔가 추리 소설적 재미를 주며 또 다른 반전과 결말을 살짝 기대하게 만들기도 했으나, 그런 것 보다는, 부모의 실종 사건에 대처하는 남매의 심리와 행동 묘사를 통해, 부모를 증오하고, 그들의 피해자이면서도, 어느 새 부모의 양식을 따라하게 되는 역설적 상황과, 부모와의 관계를 진정으로 극복 해야지만, 자기 자신들만의 예술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는 다소 틀에 짜인 결말로 끝이 나더구만. 

 

솔직히 나는, 예나 지금이나 행위 예술은 낯설고, 어렵다. 미국엔 정말 팽씨 부부같은 극단에 다다른 사람들이 있는 건지도 궁금하다. 자신의 삶 자체를 하나의 퍼포먼스로 생각하고, 계획을 세워 실행에 옮긴다는 것이, 예술가의 대단한 열정이라 경탄해야 할지, 삶에 대한 진정성을 어설픈 예술이란 이름으로 모독하는 또라이 같은 짓이라고 해야할지도 모르겠다.

 

암튼, 그 매개가 예술이든, 폭력이든, 지나친 사랑이든, 무관심과 학대든간에, 부모들이 자식들에게 행사하는 권력의 그 엄청난 파괴력이 무섭고 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