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코드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저자 말대로 물고기는 물을 모른다고, 한국 사람이면서도 한국 사람은 다른 나라 사람과 비교해 어떤 특징이 있는지 스스로 매끄럽게 정리가 안됬고 그래서 읽었다. 내가 모르는 나의 모습을 알고 싶고 찾고 싶은 심리랄까. 워낙 변화가 빠른 한국 사회인 만큼 시의성이 중요한 요소일 수 있는데, 저자만 믿고 2006년 책을 고른 게 조금 후회되긴 하지만, 인용된 사건이나 기사들의 생생함이 좀 떨어지는 것을 제외하곤, 저자가 한국인의 코드로 든 기본 특질들엔 별 변화가 없는 것 같다. 

 

다양한 신문 기사, 칼럼, 책을 통해 제시된 많은 사람들의 견해를 풍부하게 인용하면서, 저자가 생각하는 소위 '한국인 코드'를 정리했는데, 이런 한국인 코드가 생기게 된 원인으로 지적하는 배경들은 다소 천편일률적이다. 어떠한 특성도 그 진원지를 찾으면 좁은 영토, 부족한 자원, 높은 인구 밀도, 압축화된 근대화 과정, 일본 식민지 경험, 한국 전쟁을 통한 치열한 생존 경쟁이 있다. 

 

이런 배경을 통해 형성된 여러 가지 특질들 중, 유독 내게 와 닿은 것은 한 마디로 '이중성' 즉, 두 얼굴의 한국인이다. 한국인은 집단적이면서도 자기 중심적이고, 정치를 저주하는 동시에 숭배하며, 역동적이지만 조급성이 있고, 극단적 평등주의 속에서도 개인의 신분 상승 욕구는 강렬하며, 공적으로는 소극적이나 사적으로는 적극적이다. 그리고 이 동전의 양면을 어떻게 바라보느냐 하는 것은 개개인의 결정에 달려 있을게다. 그래서 누구는 조선놈은 이래서 안된다고 맨날 욕만 하는 것일게고, 누구는 이래서 한국이 이만큼 빨리 발전했다고 하는 것일게고.

 

저자가 이런 한국인의 이중성에 대한 중립적 시선을 유지하려 노력한 탓인지, 나 역시도 내가 미처 깨닫지 못했던 이런 한국인의 모습을 보면서 크게 자랑스럽지도 그렇다고 크게 부끄럽지도 않았다. 불운한 역사가 부정적 기질을 생성했는지, 부정적 기질이 불운한 역사를 초래했는지 모를 일이나 대체로 한국 사회에서 무얼 갖고 얘기하더라도 식민지, 전쟁, 압축화된 근대화 과정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만큼 그것들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력이 어마어마하다는 것 아니겠나. 어렵지만, 이제 남탓, 시대탓은 그만하고 어떻게 그 틀을 벗어날 것인지 고민하고 행동하면 좋겠단 생각을 했다.

 

"늘 극단으로 치닫지만 높은 곳에서 오랜 시간 지켜보면 '쏠림'의 형태로 균형을 취하더라"는 구절이 맘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