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의 분석 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 22
칼 구스타프 융 외 지음, 권오석 옮김 / 홍신문화사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재의식을 빼고 <시크릿>을 이해할 수 있을까? 잠재의식과 의식과의 관계 뿐 아니라, '우주적 마음'의 또 다른 이름이라 할 수 있는 '잠재의식의 창조적 지성' 혹은 개개의 인간이 연결된 '슈퍼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와도 일맥상통하는 '집단 무의식'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어 융의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 책을 사기 전에는 몰랐다- 융과 동료 연구자들이 파트를 나누어 기술한 <인간과 상징> 중 융의 '무의식의 접근'과 헨더슨의 '고대 신화와 현대인' 두 파트만 발췌되어 편집된 것으로 보인다. 

 

생각외로 융 파트의 개념 설명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심화 학습용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상이었는데, 편집의 문제인지 원전이 그런건지 모르겠다. 융 스스로 프로이드 견해와 자신의 견해의 차이점을 왕왕 설명하고자 애쓴 흔적이 보이는데 누가 더 맞고 더 뛰어나고를 떠나, '꿈과 무의식의 나와바리에서 프로이드의 그늘을 벗어날 자 아무도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고대 신화와 현대인'파트도 신화에 대한 개인적 이해 부족으로 크게 재밌게 와 닿지는 않았는데, 융이 이미 밝힌대로 개인의 꿈은 하나하나가 너무나 개별적이고 다양한 변수가 많아서 공통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원칙도 없고, 분석시 분석가와 꿈꾼자 모두의 상당한 노력과 협조와 이해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물론 저자도 미리 경고했지만- 이 모든 꿈과 나아가 신화에 대한 복잡다단한 해석에 대해선 어느 정도 회의적이다. <옛 이야기의 매력>을 읽으면서도 느낀 거지만, 분야를 막론하고 해석이란 항상 일종의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일 수 밖에 없지 않나.

 

각설하고, '무의식은 위대하다. 그리고 끊임없이 진화한다. 꿈과 직관을 통해 무의식은 우리의 의식과 대화를 시도한다. 그러니 무의식이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상징)를 무시하지 마라' 정도가 결론 되시겠다.

 

 

 

 

 

* 책 접기

 

'무의식이 단지 과거의 것만 축적된 창고가 아니라 미래의 심적인 상황이나 생각의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다는 발견은 나로 하여금 심리학에 새로이 접근하도록 해 주었다. 이 점을 둘러싸고 대단히 많은 논쟁이 벌어졌다. 그러나 의식된 먼 과거로부터의 기억뿐만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생각이나 창조적인 관념 - 지금까지 한 번도 의식화된 적이 없는 생각이나 관념 - 도 무의식 속에서 비롯된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것은 마음의 어두운 심층으로부터 연꽃처럼 성장해 가는 것으로서 잠재의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

 

'꿈의 일반적인 기능은, 미묘한 방법으로 마음 전체의 평형성을 이루게 하는 재료를 산출함으로써 심리적인 평형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마음도 또한 진화해 왔다. 그러므로 현대인의 무의식의 내용은 고대인의 마음의 산물과 닮은 데가 있다. 융은 그런 것을 일컬어 원형적 이미지라고 했다'

 

'마음이나 정신은 그 자신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존재의 창조자라는 것을 믿고 있는 사람은 많다. 실제로 도토리가 떡갈나무로 성장하고 파충류가 포유류로 발달한 것과 마찬가지로, 마음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의식의 상태로 성장해 왔다. 마음은 지금까지 오랫동안 발전해 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외계로부터의 자극은 물론 내적인 힘에 의해서도 움직여지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