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의 즐거움 - 개정판 매스터마인즈 1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지음, 이희재 옮김 / 해냄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EBS에서 방영한 칙센트미하이와의 대담 프로를 통해 'FLOW'를 알게 되었고, 요즘 또 한창 운동의 재미에 푹 빠져 있는데다, 일련의 <시크릿>류 작가들의 공통 핵심 가치 중 '집중'이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지라 관심 갖고 읽게 되었다.

 

헌데 'FLOW'의 개념에 대해서 어느 정도 사전 지식이 있었던지 막상 책 자체는 그닥 흥미있는 요소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일반인 수준에서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범주 내에서의 실험과 결과들외에, 오잉? 할만한 이렇다할 꺼리는 없었는데, 아마도 이제는 'FLOW' 자체가 이미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하나의 분야가 되버려 그런지 모르겠다. -유행에 너무 여러 발 뒤쳐졌나?-

 

책에서도 언급되었지만, 몰입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행복도가 높은 것은 아니라고 한다. 존나 일에 몰입하던 그 시절, 나는 진정 행복했었는지 자문해 본다. 여러가지 짜증나는 스트레스 환경 속에서도 일에 대한 몰입 그 자체로 순수하게 즐거웠던 적이 있었는지. 글쎄 잘 모르겠다. 나의 몰입은 진정한 몰입이 아니었나? 그렇지. 그건 그저 단순한 집중이었나 보다. 

 

* 책 접기

 

'우리가 타인을 바라볼 때는 그 사람이 하는 말은 한 귀로 흘려듣고 오직 그의 행동에만 무게를 두면서 행동주의 심리학자처럼 구는 반면, 스스로를 돌아볼 때는 겉으로 드러나 사건이나 행동보다는 자신의 속마음을 더 중시하면서 마치 현상학자처럼 구는 모순된 자세를 종종 보이곤 한다.'

 

'바람직하지 못한 감정은 마음속에 심리적 엔트로피를 조성한다. 무질서도를 뜻하는 엔트로피 상태에 빠지면 우리는 바깥일에 집중하지 못한다. 내부의 질서를 다시 세우는 데 온통 신경을 쏟아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가진 목표의 대부분은 유전과 문화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불교가 우리에게 억눌러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은 바로 그런 목표다.......자신의 목표를 다스리는 요령을 터득하는 것은 성숙한 삶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첫걸음이다. 그것은 자연발생적 욕망에 몸을 맡기는 것과도 다르고 욕망을 무조건 억압하는 것과도 다르다. 최선의 방안은 자기 욕망의 뿌리를 이해하고 그 안에 숨어있는 편견을 인식하면서, 사회적 물질적 여건을 지나치게 흩뜨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자신의 의식에 질서를 가져올 수 있는 목표를 겸허하게 선택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