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mc2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민희 옮김, 한창우 감수 / 생각의나무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과학엔 티클만큼의 관심도 없는 내가 -데이비드 호킨스 말이 맞다면, 의식수준 499라는 인간 지성의 최고점에 이른- 천재 과학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대한 과학적 호기심에 이 책을 읽었을리는 만무하고, 순전히 <시크릿>적 관점과 의문에서 출발하게 되었달까.
즉 '진정한 깨달음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다'거나,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미 이루어졌다고 생각하고 감사하라'는 부분에서 '왜, 이루어지지도 않은 미래의 일을 마치 이루어진 듯 연기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역시, 우주의 마음에서 볼 때 시간과 공간이란 별 의미가 없으며 어쩌면 또 다른 우주(세상)에서는 이미 이루어져 있는지도 모를 일이라는 평행우주 이론?? 내지는 상대성 원리에 입각한 설명을 접한 후, 과연 그 답이 믿을만한 것인지 아닌지 짧은 과학적 지식으론 도저히 판단하기 힘들었으므로 책의 도움을 좀 얻고자 했던 것이다. 딱딱하고 어려울 것이란 예상과 달리 책은 쉽고 재밌다.
결론만 말하라면, 누군가를 앉혀놓고 상대성 원리가 무엇인지 설명해서 이해시킬 자신은 없다. 그저 공식 자체에 대한 간단한 설명만 가능할 뿐, 기차안의 사람과 기차밖의 사람이 느끼는 상대적 속도, 우주선안과 밖의 시간 개념 차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 것에서 시작해서 어떻게 스리슬쩍 또 다른 우주의 가능성으로 이론이 확장되는지 솔직히 잘 모르겠고 또 모른다고 해서 딱히 답답하지도 않다만은, 시크릿빠인 나로서는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었다.
질량을 가진 모든 것은 에너지로, 에너지는 또한 질량을 가진 것으로 환원될 수 있다. 즉 생각은 에너지이고, 이는 질량을 가진 물질 즉 현실로 환원될 수 있으며, 역으로 질량을 가진 모든 것, 설사 무생물이라 할지라도 미세한 진동을 가지고 있는 에너지로서 이들은 생각할 수 있는 존재 자체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가벼운 생각이 질량이 무거운 물질로 현실화 된다는 사실은 과학적으로도 설명 가능하며, 생물, 무생물 모두 에너지를 가진 존재란 관점에서 우리는 모두 본질적으로 같은 존재 (하나)이며, 같은 에너지 장속에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공식에서 어마무시한 빛의 속도를 상수로 취하고 있으므로, 우리의 생각(에너지)
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다 등등등도 유추할 수 있다. 무엇이든 보이지 않으면 믿지 않으려 하고,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으면 아니거나 틀린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고방식에 익숙해진 나로서는 이런 식으로나마, 시크릿에 나름 짧은 과학적 해석을 덧붙이니 내가 완전 허무맹랑한 무엇인가에 빠져있는 것이 아니라는, 심리적 안도감을 얻었다고나 할까.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만의 우주의 진리가 아니라, 우주의 진리가 과학이나 물리적 법칙에도 드러남이 당연한 것이나, 그 선후관계가 뒤바뀐 기존의 사고 방식으로서는, 에너지 보존 법칙, 작용 반작용 법칙, 질량 보존 법칙, 전자기력 같은 개념을 시크릿의 관점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이 너무도 신기하고 재밌었다. 그리고 그 결론은 모든 것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과학계의 역사를 통해 드러난 선구자들의 권위에 대한 투쟁과, 고정 관념 깨뜨리기의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것도 또 하나의 재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