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읽는 방법에 관한 책인지라, 예전에 읽었던 <독서력>이란 책도 다시 찾아 읽었다. <독서력>이 독서를 막 시작한 혹은 시작하려는 열의에 가득 찬 초보자들을 위한 책이라면, 이 책은 어느 정도 내공이 쌓인 중/상급자용 이라고나 할까. 책 전체에 고수의 비범한 기운과 책에 대한 사랑이 흘러 넘쳐 읽는 이로 하여금 감탄과 존경을 자아내게 하는 책 이었다. 

특히 독서를 '편집'이라는 다소 생소한 개념으로 정의한 부분이 꽤 인상적이었는데, 저자이자 독자이자 편집자이기도 한 저자의 특이한 이력에서 나온 신선한 분석이 아닐까 한다. 독서란 책에 씌어 있는 것과 자신이 느끼는 것이 섞이는 과정이며, 일방적인 기억이나 단순한 내용 전달 과정이 아닌, 지식의 맥락을 스스로 편집해 나가는 독자의 자기 편집인 동시에 저자와 독자 사이의 상호 편집 행위라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저자의 능독적인 독서법은, 책 표지 디자인을 음미하고 차례를 읽어 내용을 미리 유추해 보는 등의 독전술, 표시, 메모, 줄긋기 같은 책의 노트화, 인용 노트나 연대기 노트 등의 부수적 활용을 이용한 정보 매핑의 독중술, 책장 배열, 서평 작성같은 독후술 등으로 제안되는데, 실제로 연대기 노트나 인용 노트같은 것들의 활용법, 같은 책 여러 번 읽기, 전집 읽기, 비슷한 주제에 관한 책들 찾아 한꺼번에 읽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책읽기, 읽기 힘든 책과 상대적으로 가벼운 책을 섞어가며 읽기, 같은 맥락의 책들중 key book -나는 개인적으로 뿌리책이라 부르지만-을 찾아내기 등, 평소에 내가 하던 혹은 해보고 싶던 방식(?)들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완전 공감하면서 빠져들 수 있었고, 어느 정도 책을 읽게 되면 누구나 은연 중에 이런 방법을 터득하게 되는구나 싶어 신기하기도 했다.  

저자 말대로, 이 책 자체가 나에겐 '일기일회'이며, 그 만남 자체에 감사한다. 책이 아니라면, 내가 어떻게 바다 건너 일본 말 하시는 이 분을 만나, 이런 소중한 비법을, 그것도 정리까지 잘 된 상태로 접할 수 있었을까? 정말 소중한 만남이 아닐 수 없다.     

 *책 접기 

"우리의 머리나 마음도 이른바 뚫려있는 책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안쪽으로 뚫린 책'입니다. 따라서 이 양쪽을 함께 보면 책과 우리의 관계는 말하자면 '거푸집과 주물의 관계'에 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것을 서로가 서로의 '주물 틀 관계'가 되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책은 우리의 일부'이고 '우리 또한 책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감정은 결코 튼튼하지 못합니다. 변하기 아주 쉬운 것입니다. 또 홀로 우뚝 설 것 같기도 하고 무너져 내릴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공감이 우뚝 섬과 무너짐의 경계 지점으로 향하는 것입니다. 즉, 여기에는 '긍정의 영역'도 있고 '부정의 영역'도 있는 것입니다. 이 양쪽의 경계에서 일어날 법한 것을 찾으려고 저는 책을 읽어 왔습니다. 이런 책읽기를 '순수한 책읽기' 혹은 '부서지기 쉬운 책읽기'라고 해도 좋습니다. 이것은 자기 안에 결여나 부족이나 구멍이 생길 수도 있는 조금은 아슬아슬한 책읽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