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대니얼 길버트 지음, 서은국 외 옮김 / 김영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왜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로 했는지 모르겠다. <정의란 무엇인가>에 정의에 대한 정의가 없는 것 처럼, 이 책에도 행복이 무엇인지, 왜 행복에 걸려 비틀거린다는 건지에 대한 친절한 설명은 없다. 제목만 보고, 마음 따뜻해지는 에세이식 행복론을 막연히 떠올렸던 나의 예상을 유쾌하게 빗나가는 재밌는 심리학 책이었다.  

책은 풍부하고 다양한 실험 사례를 들어가며, 우리의 두뇌가 작동하는 원리를 흥미롭게 기술하고 있다. 우리 삶을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 개념으로 인식할 때, 우리 뇌는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대로 - 저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편집자(우리 자신)의 편집 의도가 가미된 그림과 같은- 과거에 대한 왜곡된 기억과, 현재에 대한 그릇된 해석을 하게 되고, 당연히 이런 잘못된 기억과 판단을 기초로 해서 하게 되는 내일에 대한 상상도 역시 오류일 수 밖에 없다는 내용이다.  

그러니까 뭐, 결국 결론은 이런건가?  

아무리 이런 저런 미래와 그 미래 속에서 나의 행불행을 예상해서 나름 준비한답시고 현재를 희생한다 해도, 막상 내게 실제로 닥치게 될 미래란 것은 내 상상과는 전혀 다른 버젼(?)이 될 수도 있으니, 이런 오류를 줄이자면, 자신이 남들과는 다른 특별한 존재란 환상일랑 버리고, 미리 겪어 본 자들의 경험담에 귀를 기울이든가, 아니면 그냥 미래일랑 잊어버리고 현실에 충실하면서 살아라. 그게 바로 행복이다.  

어쨌든 행복에 대한 그나마 구체적인 두 결론 -자식이 있어야만, 돈이 많아야만 꼭 행복한 것은 아니다- 를 보고 나니 새삼 마음이 놓이긴 하면서도 한편으론, 행복이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영역에조차, 체제유지를 위한 조작된 이데올로기가 부지불식간에 침투해 있다 생각하니 씁쓸할 뿐이다.     

*책 접기  

"요약하자면 부의 생산이 반드시 개인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경제 시스템의 필요를 채워주고 또한 안정된 사회의 욕구를 해결해주며, 안정된 사회는 행복과 부의 관계에 대한 근거없는 생각을 전파시키는 네트워크로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개인이 노력할 때만 경제는 성장하는 법인데, 개인은 오직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만 노력하기 때문에 그들이 '생산과 소비가 개인적 행복의 필수요소'라는 망상에 빠져야만 경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오히려 잘못된 신념 그 자체가 초복제자가 되어 그 신념을 지닌 사람들이 그것을 전파하는 일을 스스로 하게 만들어 버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