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라이어 -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 / 김영사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에서 풍기는 전형적인 자기계발서의 느낌과 달리, 성공 요인을 분석하는 작가의 접근방식은 내 예상을 완전히 빗나갔다. 큰 재미나 감흥은 없었지만 신선은 했다고 할까. 개천에서 용된 유명인사들의 화려한 성공담을 적당히 깔아 독자들을 말랑 말랑하게 녹인 후, 성공 비법 몇 가지를 알려주고, 그대로 따라만 하면 당신도 용이 될 수 있다는 새로운 의욕과 희망으로 가슴 벅차오르게 해주는 그런 책은 적어도 아니었단 말이지.  

내가 아무리 잘나고 노력해봤자 내 통제밖에 있는 환경적, 시대적, 문화적 기회와 행운이 주어지지 않으면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냉정한 현실을 저자는 확실히 짚어준다. 이 책 어디에도 나도 할 수 있다는 식의 달콤한 성공의 환상같은 것은 없다. 난다 긴다는 저자가 오랫동안 연구하고 분석하여 쓴 책의 결론이 결국은 우리가 흔히 들어왔던 '운칠기삼' 인 것이다. 사탕발린 소리가 아니어서 좋으면서도 한편으론 허무하고 무기력해진다.    

나름 내가 찾은 이 책의 효용(?)은 이거다. 이런 운명의 임의성, 우연성앞에 성공한 자, 성공하지 못한 자 가릴 것 없이 우리 모두 자신의 사회적 위치와 업적에 대해 겸손해야 하고, 상대적으로 성공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은 혜택받지 못한 자들에게 빚진 기분으로 나누며 살아야 한다는 사실을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여 다시 한 번 확인해 주었다는 것.   

이런 맥락에서 이 책은 자기계발서 보다는, 오히려 존 롤스의 정의론의 개념과 더 가까운 느낌이다. 쌀농사 문화에 기반한 아시아인의 근면과 끈기를 배우는 것까지는 좋지만, 여름 방학을 실컷 즐기고 상대적으로 널널한 학교 생활을 즐기는 중/상류층 아이가 아니라, 왜 마리타같은 하류층 아이들만 새벽 다섯시 반에 일어나 등교하고 밤 늦도록 숙제를 해야 하는 한국식(?) 교육 방법이 성공을 위한 유일한 출구로 주어지는지 생각하면 여전히 화가 난다. 정녕 이것을 기회의 균등이라 할 수 있을까? 

역시 인생은 아무리 몸부림치고 지랄해 봤자 결국 운칠기삼이란 말인가.  

*책접기 

"그들은 역사와 공동체, 기회, 유산의 산물이다. 그들의 성공은 예외적인 것도 신비로운 것도 아니다. 그들의 성공은 물려받거나, 자신들이 성취했거나 혹은 순전히 운이 좋아 손에 넣게 된 장점 및 유산의 거미줄 위에 놓여 있다. 이 모든 것은 그들을 성공인으로 만들어내는 데 결정적인 요소였다. 아웃라이어는 결국, 아웃라이어가 아닌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