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사 3 - 야스쿠니의 악몽에서 간첩의 추억까지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3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2편과 다소 중복된 주제들인 과거청산, 민간인 학살, 박정희, 조봉암, 양심적 병역 거부등에 대해 다루고 있어, 좋게 말하면 한 번 더 되새김질해 좋고, 나쁘게 말하면 전편들에 비해 신선도는 좀 떨어진다.  

3편에서 가장 인상깊은 주제는 아무래도 '간첩'이 아닐까 싶다. <나는 공산주의자다>에서 허영철 선생은 '간첩'이란 용어 자체가 '적국이나 제3국의 이익을 도모하는 자'라는 의미에서 남북한 처럼 같은 조국에서 쓰기엔 틀린 표현이고, 따라서 자신은 간첩이 아닌 '남파 공작원'이라 하셨지만, 암튼 통칭 우리가 '간첩'이라고 부르는 자들이, 대한 민국 근대사에서 정권 유지 목적과 사법부의 묵인 아래 어떻게 생산되고 처리(?)되어 왔는지에 대한 새롭고(?) 의외인(?) 사실들을 많이 접하게 되었다.  

지금도 어릴 적 읽은 만화책에서 도깨비와 악마 등으로 묘사되던 김일성과 간첩들, 버스 안에 붙여져 있던 때려잡자, 자수하자는 식의 반공방첩 표어들의 이미지가 생생한 가운데, '간첩' 이란 존재 자체가 입에 올려서는 안되는 무시무시한 금기라는 무의식 속에, 그들은 나의 의식 속에선 아예 없는 존재나 마찬가지인 상태에서, 이전에 읽은 책 <나는 공산주의자다>의 허영철 할아버지나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의 저자 서경식의 두 형인 서승, 서준식의 억울하고 기막힌 사연들을 단편적이고 간헐적인 방식으로 접했을 뿐이지, 다른 근대사 사안들에 비해, 언론이나 책을 통해 이렇게나마 본격적으로- 사실 본격적이라고 부르기에도 부끄러운 수준이지만- '간첩'의 역사에 대해 접한 것은 처음이다. 모르기도 몰랐고, 관심도 없었고, 뭔지 모르게 무섭기도 무섭고 그랬던 것 같다.     

1950/1960년대의 남파 간첩은 그렇다쳐도, 1970/1980년대 정권 유지 목적으로 조작, 생산, 희생 되었던 국내외 학생들과 지식인들, 나포 선원들등에 대한 마녀 사냥식 묻지마 고문과 판결로 인한 억울한 죽음과 희생을 생각하니 그저 가슴이 답답할 뿐이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인 무법천지가 불과 몇 십년 전이었다니, 우습지만 그나마 늦게 태어난 걸 죽도록 감사하게 생각하게 되고,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모든 국민들이 그 분들의 희생과 가해자의 잘못에 대해 충분히 알고 책임과 배상 조치를 강구하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 되어야 하지만, 아직도 이러고 있으니 부끄럽고 한심하다.    

왜 이 시점에서 로알드 달의 <달리는 폭슬리 Galloping Foxley>가 생각나는지 모르겠다. 끝까지 주인공의 반격을 허용하지 않는 능글맞고 뻔뻔하고 가증스런 폭슬리.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고, 왠지 국가라는 시스템 자체가 고통과 폭력을 동반하며 약자를 향해 무자비하게 돌격하는 폭슬리처럼 느껴진다. 우리 지금 뒤를 돌아보며 반성할 시간도 갖지 못할 만큼 너무 미친 듯이 달리고 있지 않나. 멈추면 폭발하는 버스를 탄 것도 아닐텐데, 개인의 삶도 국가의 삶도 여기서 멈추면 끝장이라는 강박증을 모두가 앓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이런 저런 잡생각을 해본다.     

*책 접기 

'진상규명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사실을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대한민국이라는 국가 안에서 사회와 개인, 개인과 개인, 그리고 국가와 사회, 국가와 개인이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진상 규명의 과정을 통해 국가와 그 대리인들이 범한 범죄와 그 범죄를 저지르게 된 상황이 공개되고, 또 피해의 사실들과 피해자들의 고통이 알려지면 우리는 사회 내에서 타인이 겪은 고통에 대한 공감과 그러한 고통을 가져온 배경과 상황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그 과정에서 사회 구성원이 가졌던 공포와 무관심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